[교육학] 발견(탐구)학습

 1  [교육학] 발견(탐구)학습-1
 2  [교육학] 발견(탐구)학습-2
 3  [교육학] 발견(탐구)학습-3
 4  [교육학] 발견(탐구)학습-4
 5  [교육학] 발견(탐구)학습-5
 6  [교육학] 발견(탐구)학습-6
 7  [교육학] 발견(탐구)학습-7
 8  [교육학] 발견(탐구)학습-8
 9  [교육학] 발견(탐구)학습-9
 10  [교육학] 발견(탐구)학습-10
 11  [교육학] 발견(탐구)학습-11
 12  [교육학] 발견(탐구)학습-12
 13  [교육학] 발견(탐구)학습-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학] 발견(탐구)학습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수업이론

1. Dewey의 탐구이론

2. Bruner의 발견학습

(1) 학습의 선행경향성(predisposition to learning)
(2) 지식의 구조(structure of knowledge)
(3) 학습의 계열(sequence)
(4) 학습의 강화(reinforcement)
(5) 비판적 고찰

3. Massialas의 사회탐구

(1) 탐구의 의미
(2) 탐구교실
(3) 탐구모형
(4) 탐구수업의 적용
(5) 교사의 역할
(6) 탐구수업의 평가

Ⅲ. 발견·탐구를 위한 교수-학습의 유형

(1) 발견학습
(2) 탐구학습
(3) 집단탐구수업
(4) 역할놀이
(5) 시뮬레이션 게임

Ⅳ. 발견·탐구학습의 장단점

Ⅴ. 결론
본문내용
1. Dewey의 탐구이론

Dewey는 ‘반성적 사고는 탐구를 촉진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는 탐구의 기초가 사고에 있다는 뜻이다. 사고는 우리가 어떤 문제에 부딪쳤을 때 전개되기 시작하여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해답을 발견함으로써 일단 종결되며, 이러한 사고는 비교적 일정한 사고과정에 따라 진행된다는 특성을 지닌다. 이 과정을 Dewey는 다섯 단계(암시-지성화-가설-추리-검증)로 설명하고 있다.
첫째, 암시의 단계로, 우리가 문제에 부딪혔을 때 즉각적으로 생각하게 되는 ‘해야 할 일’ 또는 ‘잠정적인 답’의 암시를 말한다.
둘째, 지성화 단계로, 막연한 문제 사태의 성격을 명료화하는 것이다.
셋째, 가설의 단계로, 지성화의 과정을 통해 나온 잠정적 문제의 답을 도출하는 것이다. 가설은 암시에 비해 지적인 답변이며, 검증을 위한 관찰이나 자료수집 활동의 지침이 된다.
넷째, 추리의 단계로, 가설 검증에 앞서 검증 결과를 예견하는 일이다.
다섯째, 검증의 단계로, 증거에 의해 설정된 가설의 확실성을 밝히는 활동이며, 관찰이나 실험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Dewey는 탐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진리에 도달하는 것으로 보았으며, 탐구가 비록 문제해결의 과정이지만 그 해결은 해결로서 끝나는 것이 아니고 다시 다음 단계의 탐구과정의 수단이 된다고 하였다. 이러한 사고의 과정은 엄격히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 순서가 바뀌거나 어떤 단계가 생략될 수도 있으며 한 단계가 몇 단계로 세분화될 수도 있다.
이후 Dewey가 주장한 사고 과정은 ‘문제제기 - 가설형성 - 가설검증 - 결론’의 과정으로 일반화되었으며 경험 중심 교육에서 크게 활용되었다. 그 이유는 학습자를 교육의 주체자로 보고 그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활동을 강조한 점, 교사 위주의 지식 전달에서 탈피했다는 점,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계열을 지녔다는 점 때문이다.

참고문헌
김호권(1995), 「현대교수이론」, 교육출판사.
변영계 외(2000),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학지사.
정숙경 외(2001),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의 이해」, 동아대학교출판부.
조성일 외(2002), 「교육방법과 교육공학」, 동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