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직한 한류의 미래상과 발전전략

 1  바람직한 한류의 미래상과 발전전략-1
 2  바람직한 한류의 미래상과 발전전략-2
 3  바람직한 한류의 미래상과 발전전략-3
 4  바람직한 한류의 미래상과 발전전략-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바람직한 한류의 미래상과 발전전략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바람직한 한류의 미래상과 발전전략
서론
한류란 용어가 등장하게 된 시기는 1990년대 후반 중국에 한국의 음악이 소개 되고 드라마가 인기를 끌기 시작 하면서 부터이다. 당시에는 금방 식어버릴 것으로만 생각했던 한류가 하나의 문화 코드로 자리를 잡았고 우리의 중요한 문화수출 품목으로 등극하게 되었다. 한류스타들은 걸어 다니는 중소기업으로 불릴 정도로 많은 수익을 올리고 있으며 그 나라 사람들에게는 우상으로 여겨 질 정도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하지만 한류현상이 지속되어 오면서 한류의 문제점이 많이 등장하기 시작했고 앞으로 이런 상황이 지속 될 경우에는 한류 자체가 위험에 빠질 수도 있는 상황이 되었다. 따라서 한류의 바람직한 미래상과 발전전략(새로운 한류의 소재)을 찾아 봄 으로써 앞으로의 한류를 예측해 보고자 한다.
본론
한류의 문제점
한류 현상은 문화콘텐츠 및 소비재 수출증가와 관광객 증가 등을 통해 한국의 국가이미지 개선 및 대중문화 확산에 크게 기여하고 있으나 드라마·영화 등은 비한류국 수출증가율이 높아 한류의 영향이 크지 않으며, 음반수출 증가도 한류에 편승한 일시적 현상일 가능성이 많아 지속적인 수요 창출에는 한계가 있다. 상품 수출은 일부 소비재를 중심으로 한류스타 마케팅이 성과를 거두고 있으나 그 효과는 한류 스타를 광고에 활용할 수 있는 여력을 갖춘 일부 기업에 한정되어 있고, 전반적인 상품 수출 증대에 효과적으로 연계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한류를 이용한 관광 상품은 한국의 전통문화가 깃든 고유한 상품이 아니라 해당 드라마나 영화 또는 한류스타와 연관된 것이 대부분이어서 단기간 유행에 그칠 가능성이 많아 지속적인 관광객 유인수단이 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한편, 한국 대중문화가 짧은 시간 안에 과다 유입됨으로써 해당국이 문화적 예속을 우려하여 거부감을 유발함으로써 한류에 대한 반대감정을 초래할 수 있으며, 창의적인 콘텐츠가 지속적으로 개발되지 않을 경우 과거 일본문화나 홍콩영화와 같이 일시적인 유행에 그칠 가능성이 있고, 일부 인기 드라마의 내용이 한국의 생활방식이나 대중문화를 대표하는 것으로 오도할 가능성도 많다.
실제로 일본에서 최근 대장금이 높은 인기를 누리고 있지만 전반적인 한국 드라마에 대한 수요는 최근 정점에서 주춤하고 있다. 또한 4천왕이라 불리는 배용준과 이병헌, 원빈, 장동건 등 현재 한류스타의 뒤를 있는 배우가 없어 앞으로도 한국 드라마의 전망을 예측하기 어렵다.
내용 면에 있어서도 미리 짐작할 수 있을 정도로 정형화된 표현방식, 정형화된 세트에서 비롯된 같은 방식의 거실과 인테리어, 시청률 저조로 인한 조기종영과 이에 따른 납득할 수 없는 결말이나 앞뒤가 맞지 않는 전개, 병에 걸려 죽는 주인공이나 가난한 여자와 부자 남자와의 사랑 같은 비슷비슷한 스토리 등 상투적 구성과 전개에 식상해 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관광수지에 있어서도 올해 한류국이 밀집해 있는 중화권으로 출국한 내국인이 중화권에서 온 관광객보다 많아 별다른 실속을 챙기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들어 10월말까지 입국한 중국인 관광객은 59만6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9% 증가했으며, 대만과 홍콩 관광객도 각각 17.8%, 12.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특히 올해 MBC드라마 ‘대장금’이 큰 인기를 끌었던 중국대만홍콩 등 중화권 국가에서 우리나라를 찾은 관광객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같은 기간 중국대만홍콩으로 출국한 내국인 관광객은 각각 30.9%, 30.9%, 15.1% 증가해 증가폭이 훨씬 컸다. 이 기간 한국을 찾은 일본인 관광객도 1.4% 증가에 그치며 ‘한류관광’이 주춤한 사이 일본으로 출국한 내국인 관광객은 9.9% 늘며 증가폭이 7배에 달했다. 또한 중국에서 빅히트한 드라마 ‘대장금’이 중국에 방영되기도 전에 음식의류화장품 등 대부분 사업 분야에서 대장금 관련 상표권 등록을 중국 업체가 싹쓸이하는 등 국내 기업이나 단체보다 한발 앞서 외국 현지 업체가 한류의 이익을 중간에서 챙기는 사례도 이어지고 있으며, 중국을 비롯한 동남아지역에서의 모바일 콘텐츠, 캐릭터 등 한국 문화상품에 대한 불법복제도 심각한 상황이다. 반면 한국 드라마의 배경음악으로 외국 음악 등을 사용하는데 일본에서도 방송할 수 있도록 저작권을 처리해서 수출하지 않아 배경음악을 바꾼 사례나 NHK에서 방송한 ‘올인의 원작자와 관련 문제 등 한국 드라마 수입에 있어서도 저작권 관련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고 한다. 김병직. “‘한류 비즈니스’ 알고보니 속빈강정.” 『한국일보』 2005. 12. 3.
http://news.naver.com/hotissue/read.php?hotissue_id=721&hotissue_item_id=40076&office_id=021&ar
ticle_id=0000130535§ion_id=10
한류의 바람직한 미래상과 발전 전략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