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 근세 교육 사상: 17세기 이후 교육사상의 변화와 특징

 1  서양 근세 교육 사상: 17세기 이후 교육사상의 변화와 특징-1
 2  서양 근세 교육 사상: 17세기 이후 교육사상의 변화와 특징-2
 3  서양 근세 교육 사상: 17세기 이후 교육사상의 변화와 특징-3
 4  서양 근세 교육 사상: 17세기 이후 교육사상의 변화와 특징-4
 5  서양 근세 교육 사상: 17세기 이후 교육사상의 변화와 특징-5
 6  서양 근세 교육 사상: 17세기 이후 교육사상의 변화와 특징-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서양 근세 교육 사상: 17세기 이후 교육사상의 변화와 특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17~18세기 교육
◎ 시대적 배경
1. 실학주의 교육
1) 실학주의 교육의 실제
2) 실학주의의 교육사상가 - 코메니우스(1592~1670)
◉ 코메니우스의 교육이론
2. 자연주의 교육
1) 자연주의의 특징
2) 자연주의의 교육사상가 - 루소
■ 19세기의 교육
◎ 시대적 배경
1. 신인문주의 교육사상
1) 신인문주의의 특징
◉듀이의 교육이론
본문내용
1. 신인문주의 교육사상
1) 신인문주의의 특징
심리학적 계발주의의 기초가 된 신인문주의는 합리주의와 여러 면에서 대조된다. 합리주의가 주지적, 개인적, 반역사적인 색채가 강한데 반해, 신인문주의는 정의적, 국민적, 역사적인 색채가 강하였다. 신인문주의는 정의적, 국민적, 역사적인 색채가 강하였다. 신인문주의는 고전문화의 형식적 모방에 그쳤던 구인문주의를 비판하고, 그리스의 고전 속에 담겨진 정신과 사상을 본받으려 하였다. 고전의 정신은 지성과 정서와 의지가 조화롭게 발달된 인간을 지향한다. 신인문주의자들이 고전을 연구하는 이유는 고전의 연구를 통해 당대의 문화적 향상을 기하는 데 있었다. 신인문주의는 개성을 존중하면서도 사회성과 역사성을 중시하였으며, 국가주의와 공존할 수 있는 사상체계를 가지고 있었다. 심리학적 계발주의는 자연주의의 교육원리를 발전시킨 것이다. 심리학적 계발주의는 기본적으로 교육을 어떤 종류의 지식을 전달하는 인위적 과정으로 보지 않고, 인간성의 내면에 있는 제능력을 계발하는 과정으로 본다. 그것은 아동의 발달과 교육의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를 통하여, 교육의 내부적 조건을 개선하는 이론을 발전시켰다. 그것은 교육이 기초해야 할 원리를 인간 정신의 활동과 발달에 관한 지식 속에서 찾으려 하였다. 관찰과 실험을 통해서 심리학적 제원리를 과학적으로 설정하는 일은 19세기 중엽에 와서 이루어지기 시작하였으며, 그 원리를 교육에 적용시키는 일은 더 나중에 이루어졌지만, 그런 교육의 기초를 마련하려는 노력은 이미 19세기 초기에 시작되었다. 무엇보다도 분명해진 것은 인간성에 관한 과학적인 해명이 가능하고, 올바른 교육관과 효과적인 교수법은 이런 연구의 성과에 기초하여야 한다는 점이다. 심리학적 계발주의는 교수법과 교실의 분위기를 개선하고, 교사의 성격과 역할을 개선하고, 나아가 교육의 본질에 관한 보다 포괄적이고 진실한 개념을 보급하는 데 기여하였다. 페스탈로치, 헤르바르트, 프뢰벨 등은 독자적인 교육이론을 가지고 실천에 옮긴 대표적 교육사상가들이다. 듀이는 미국의 철학자이자 교육학자로 버몬트주 벌링턴에서 태어났다. 그는 보편적 교육학설을 세워 세계 사상계에 큰 공헌을 하였으며, 과거의 개념적 철학용어를 씻어내고 시민의 경험으로부터 나온 풍부한 철학내용을 쌓고자 하였다. 동시에 지식을 과학과 기술에 연결시킴으로써 사회와 인생 속에 살아 있는 지식을 불어 넣으려는 합리주의적 입장을 추구했다. 또 사회의 개조를 커뮤니케이션, 즉 토론과 대담을 통하여 실현하고자 하였으며, 그의 철학이 교육학을 통해서 형성되어 간 원인은 바로 여기에 있다. 그의 철학은 인간의 인식을 환경에 적응시키는 과정으로 파악하며 개념, 판단, 추론을 그 과정의 도구 혹은 기구로 보는 실험주의적 논리를 기반으로 하였는데, 자신의 그와 같은 입장을 도구주의라고 이름했다. 그는 사회에 관한 지식을 철학에서 찾고, 경험을 통한 관념의 갱신을 찾는 실험주의 원칙을 교육이론에 적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