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의 유래와 그 정형성의 변화

 1  시조의 유래와 그 정형성의 변화-1
 2  시조의 유래와 그 정형성의 변화-2
 3  시조의 유래와 그 정형성의 변화-3
 4  시조의 유래와 그 정형성의 변화-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시조의 유래와 그 정형성의 변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시조의 근원
1>시조의 모체
2> 시조의 발생
(2)시조 형태의 특징

3. 결론

본문내용
1. 서론
시조는 우리 시가 문학사에서 가장 오랜 생명력을 지니면서 가장 풍성한 유산을 남겨준 문학형태이다. 시조는 현대에도 악곡상의 명칭과 문학 형태상으로 시조로 명명된다. 시조라는 명칭이 쓰여진 것은 영조(英祖)시대 사람인 신광수의 [석북집(石北潗)] 관서악부(關西樂府) 15에서 일반으로 시조의 장·단을 배한 것은 장안에 사는 이세춘으로 비롯된다. 라는 기록이라고 한다. 그 수부터는 시조라는 명칭이 종종 쓰였음을 볼 수 있다. 이학규(李 學逵)[洛下生稿]의 고불고시집 감사 24장이나, 서유구의 [임원십육지] 유예지 권6 양금자보에는 시조의 악보까지 실려 있으면 유만공의 세시풍요에서도 알 수가 있다. 이런 기록들을 미루어 보면 ‘시조’라는 명칭은 조선왕조 영조 때에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이 시조라는 명칭의 어원은 ‘시절가조’ 즉 ‘당대의 유행가조’라는 말이 줄어서 된 말이므로 엄격히 말해서 ‘시조’라는 명칭은 문학 장르의 명칭이라기보다 음악곡조의 명칭이라고 하겠다. 정병욱, 『한국고전시가론』, 신구문화사, 1990, p177
그렇게 불리워지던 시조가 근대에 들어와 서구 문학의 영향으로 새로운 문학 장르가 등장하면서 그것들과 구분하기 위해 3장 45자 내외의 특정한 형태를 갖춘 시형을 음악상의 명칭인 ‘시조’로 부르게 된 것으로 본다. 오랫동안 많은 사람들에 의하여 글로 지어졌고 노래로 불려졌던 이 시조는 문학상으로 ‘시조시형’이란 개념으로 알려져 있는 동시에, 음악상으로는 ‘시조창’이라는 두 가지 개념으로 불려져 왔다고 하겠다. 정병욱, 같은곳
이러한 명칭을 가진 시조의 유래와 형태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자

참고문헌
☜ 참고 문헌 ☞
정병욱, 『한국고전시가론』, 신구문화사, 1990
김준영, 『한국고전문학사』, 형설출판사, 1971
김홍규, 『한국문학의 이해』민음사, 1994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지식산업사,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