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교사와 국가, 학부모와의 관계

 1  [교육학]교사와 국가, 학부모와의 관계-1
 2  [교육학]교사와 국가, 학부모와의 관계-2
 3  [교육학]교사와 국가, 학부모와의 관계-3
 4  [교육학]교사와 국가, 학부모와의 관계-4
 5  [교육학]교사와 국가, 학부모와의 관계-5
 6  [교육학]교사와 국가, 학부모와의 관계-6
 7  [교육학]교사와 국가, 학부모와의 관계-7
 8  [교육학]교사와 국가, 학부모와의 관계-8
 9  [교육학]교사와 국가, 학부모와의 관계-9
 10  [교육학]교사와 국가, 학부모와의 관계-10
 11  [교육학]교사와 국가, 학부모와의 관계-11
 12  [교육학]교사와 국가, 학부모와의 관계-12
 13  [교육학]교사와 국가, 학부모와의 관계-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학]교사와 국가, 학부모와의 관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교사와 학부모
가. 교사와 학부모의 관계 형성
나. 교사와 학부모의 관계 형성의 유형
① 적극적 관여형
② 피해의식형
③ 무조건적 신뢰형
④ 비판적 참여형
⑤ 관계 형성의 문제점
다. 교사와 학부모의 협력
① 교사의 학부모에 대한 태도
② 학부모의 교사에 대한 태도
③ 바람직한 학부모 참여를 위한 방안(이진분, 1991)
라. 뿌리칠 수 없는 유혹 – 촌지
2. 교사와 국가(지역 사회)
가. 교사와 지역 사회의 관계성
나. 지역 사회 주민으로서의 교사
다. 지역 사회의 지도자로서의 교사
라. 지역 사회 주민들의 교육 참여
‘축제 잔칫상’에 흥을 얹어 드려요 -지역‘이벤트 닥터’정강환교수-
“축제는 즐거워야 하고, 어깨가 들썩여져 자기도 모르게 뛰어들고 싶어야 한다”고 믿고 있다. 물론 말처럼 간단치는 않았다. 그가 처음 기획한 축제는 서산 해미읍성 역사체험축제. 병인박해로 천주교 신자 등 2,000명 이상이 숨진 역사를 지닌 해미읍성을 관광상품으로 포장하는 일이었다. 천주교 성지(聖地)인 이곳에서 떠들고 노는 일은 언감생심. 정교수는 해미읍성 전체를 무대로 해 역사 속의 실제 사건이나 현장을 직접 체험해 보도록 했다. 해미읍성에 남아있는 조선시대 동헌 등을 이용해 당시의 관아와 장터를 재현하는 등 해미읍성을 일종의 역사 테마파크로 꾸민 것. 그리하여 아무것도 나올 것 없어 보이던 낡고 텅빈 성에 주민들의 웃음을 채워넣었다. 성문에서는 수문장이 옛날 복식을 한 채 교대식을 행하고, 성 안에서는 보부상·포졸·소달구지 등이 거리를 활보했다. 또 호주·유럽의 고문박물관이나 죄수 체험 프로그램처럼 읍성에 조선시대의 감옥을 꾸몄다. 구경온 사람들이 수감자가 되어 보게 했다. 곤장을 직접 맞는 기회도 주었다. 비용 절감을 위해 지역 학생들을 단역 배우로 출연시켰다. 해미읍성축제는 해마다 10만명 이상이 다녀가는 축제로 자리잡았다.
정교수는 군수나 지역 유지 몇 사람의 입맛에 맞추는 행사에도 일침을 가했다. ‘영감님들’ 비위를 거스른 탓에 처음엔 쓴소리를 들어야 했다. 그래도 굽힘 없이 주민들 입맛을 돋우는 ‘잔칫상’을 차렸다.
“한동안 관(官) 주도 축제가 나는 평가에 따라 민간 주도로 대거 바꾼 적이 있습니다. 그러나 관 주도형도 추진력이 높은 장점이 있어요. 민간인은 소방차 1대 빌리기도 어렵거든요. 윗사람들 전화 한통이면 금방 해결되는데 말입니다. 대체로 광역시 단위에선 전문가 중심이 좋고, 기초자치단체에선 관 주도가 효율적인 것 같습니다”
*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교사와 학부모
가. 교사와 학부모의 관계 형성
학교에서 교사가 아동에게 많은 영향력을 주고 아동의 행동을 변화시킴에 있어 교사는 결코 단독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항상 가정과 연관되어 작용하게 된다(Havighurst, 1957). 어느 경우든 아동들에 대한 교사의 영향은 가정과 고립되거나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으며, 아동을 교육함에 있어서 학교의 교사와 가정의 학부모가 그 책임을 공동으로 져야 함은 자명한 일이다. 부모의 ‘교육권’은 혈연적 ․ 신분적 관계에 있는 자녀에 대해서 행하는 본래적 ․ 의도적인 가정 교육인데 비해 교사의 ‘교육권’은 교육 전문직으로서의 교육자적 입장에서 교육의 수혜자인 아동에 대한 집단적 교육에 의한 공교육의 행사이다. 이 양자의 교육은 상호 간섭하고, 대립하는 관계가 되어서는 안되며, 상호 조화 ․ 통일하면서, 입체적 ․ 총합적으로 실천해 가지 않으면 안된다. 각기의 입장에서 그 교육적 기능의 수행을 존중하고 상호 협동함으로써, 아동의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따라서 오늘날 학교 교육에서 아동의 성취를 도울 수 있는 자원인사로서 부모의 참여가 강조되고 있다(Lee, 1985). 교사가 부모를 무력하고 중요하지 않은 존재로 여기고 부모의 교육적 관심과 태도의 개발을 증진시키지 못한다면, 결과적으로 아동들의 성취는 저지된다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