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철학 및 교육사] 한국교육사상사1 -고대사회, 삼국시대의 교육

 1  [교육철학 및 교육사] 한국교육사상사1 -고대사회, 삼국시대의 교육-1
 2  [교육철학 및 교육사] 한국교육사상사1 -고대사회, 삼국시대의 교육-2
 3  [교육철학 및 교육사] 한국교육사상사1 -고대사회, 삼국시대의 교육-3
 4  [교육철학 및 교육사] 한국교육사상사1 -고대사회, 삼국시대의 교육-4
 5  [교육철학 및 교육사] 한국교육사상사1 -고대사회, 삼국시대의 교육-5
 6  [교육철학 및 교육사] 한국교육사상사1 -고대사회, 삼국시대의 교육-6
 7  [교육철학 및 교육사] 한국교육사상사1 -고대사회, 삼국시대의 교육-7
 8  [교육철학 및 교육사] 한국교육사상사1 -고대사회, 삼국시대의 교육-8
 9  [교육철학 및 교육사] 한국교육사상사1 -고대사회, 삼국시대의 교육-9
 10  [교육철학 및 교육사] 한국교육사상사1 -고대사회, 삼국시대의 교육-10
 11  [교육철학 및 교육사] 한국교육사상사1 -고대사회, 삼국시대의 교육-11
 12  [교육철학 및 교육사] 한국교육사상사1 -고대사회, 삼국시대의 교육-12
 13  [교육철학 및 교육사] 한국교육사상사1 -고대사회, 삼국시대의 교육-13
 14  [교육철학 및 교육사] 한국교육사상사1 -고대사회, 삼국시대의 교육-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철학 및 교육사] 한국교육사상사1 -고대사회, 삼국시대의 교육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부족국가의 교육
1절. 부족국가의 성립
2절. 부족국가의 문화와 교육
3절. 단군신화와 교육
2. 삼국시대의 교육
1절. 삼국의 성립과 발전
2절. 삼국의 교육
1. 고구려의 교육
2. 백제의 교육
3. 신라의 교육 (화랑도)
3. 통일신라시대의 교육
1. 통일 신라의 사상과 문화
2. 통일 신라의 교육체제
4. 교육사상가
1. 원효 (617~686)
2. 설총 (연대미문)
3. 최치원(857~?)
본문내용
1. 부족국가의 교육

1절. 부족국가의 성립

부족사회는 여러 씨족의 혈연을 중심으로 한 공동체적인 유대관계를 맺으면서 부족사회의 사회구조를 기반으로 하여 유지되어 간다. 그리하여 대소의 족장 사이에는 지배와 피지배의 관계가 형성되고, 그와 같은 지배력의 증대는 국가의 기초를 이루어 초기국가의 형태를 갖추는 요인이 되었다.
고대의 우리 민족은 크게 북방계열과 남방계열로 구분된다. 북방계열은 옥저, 부여, 동예 등의 부족국가가 있었으며, 남방계열은 한반도 남부의 마한, 진한, 변한의 삼한으로 대표된다. 이들 부족국가는 모두 언어, 복장, 생활상에서 거의 비슷하였다. 그 중에서 부여는 북방계열의 부족국가 중 가장 고도의 문화 수준을 가진 나라였다.

2절. 부족국가의 문화와 교육

부족연맹국가에서의 교육 형태는 종교적인 의식을 통한 사회 교화적 성격을 지녔다고 추론할 수 있다. 특히 고대사회에서의 교육은 제도화, 형식화되기 보다는 종교적 의식, 사회적 규범, 실제적 생활을 통해 그 기능이 유지되었으므로 이러한 다양한 삶의 양식들을 통해 그 자취를 유추해볼 수 있다.

고조선은 후반에 접어들어 중국과의 교섭이 빈번해져 학문, 예법 등이 상류사회에 유입되기도 하였으나, 형식적 교육이 존재하지 않아 실제적인 교육의 정도는 파악하기 힘들다. 고조선 사회의 신앙은 자연에 대한 공포심에서 출발하여 일반적으로 여러 신을 섬기는 국가였으며, 특히 군장은 질서유지와 함께 제사를 중시하는 이른바 제정일치의 사회였다. 대개 태양을 숭배하는 관념이 일반화되어 여러 가지 설화 속에서 태양과 연관 짓는 경우가 많았으며, 모든 씨족은 토템신앙을 중심으로 하여 정신적 유대를 강화하였다. 고대신앙의 주류인 천신, 지신, 조상신을 섬기는 삼신사상, 모든 자연현상에 영혼이 깃들어 있다는 정령신앙과 조상숭배사상, 그리고 민간신앙으로서의 무격신앙 등을 매개로 하여 생활신앙 속에서 생활교육을 추구해 왔다고 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고조선 사회상에 나타난 도덕적, 사회 교화적 성격을 몇 가지 사실을 들어 논의해 보기로 한다.
첫째, 홍익인간의 이념이다.
홍익인간은 고대 우리 민족의 건국이념으로서 지금의 우리나라 교육의 이념인데,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즉 홍익인간은 자기희생적이며 봉사적인 정신을 기르기 위한 교육이념인 것이다.
둘째, 팔조 금법의 사상이다.
팔조 금법은 고조선의 법률로서 고조선 사회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관습법인 동시에 사회 교화법이라고 할 수 있으며 우리 민족 고유이자 최초의 법이었다. 팔조 금법은 그 내용의 일부인 3개 조항만이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① 사람을 죽인 자는 즉시 사형에 처한다.
② 다른 사람의 신체에 상해를 입히면 곡물로서 배상한다.
참고문헌
1. 정호표, 김병희(2001). 교육사상사. 교육과학사

2.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1997). 한국교육사. 교육과학사

3. 윤완(2003). 교육의 역사와 철학. 원미사.

4. 손인수(1998). 한국교육사 연구- 상 . 문음사.

5. 김병희(1998). 신화와 교육 : 단군신화에서의 교육의 의미{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 36, no. 4, pp 1- 17}.

6. 박재문(2001). 한국교육사. 학지사.

7. 이문원(2002). 한국의 교육사상가. 문음사.

문제 출처 - 탁영진(2006). 탁영진 교육학. 탁설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