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생몽유록 작품분석

 1  원생몽유록 작품분석-1
 2  원생몽유록 작품분석-2
 3  원생몽유록 작품분석-3
 4  원생몽유록 작품분석-4
 5  원생몽유록 작품분석-5
 6  원생몽유록 작품분석-6
 7  원생몽유록 작품분석-7
 8  원생몽유록 작품분석-8
 9  원생몽유록 작품분석-9
 10  원생몽유록 작품분석-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원생몽유록 작품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目次)

1. 서론

2. 본론

(1) 소설의 구조

(2) 소설의 배경

-내용적 배경
-작자 소개 및 작자 의식의 반영

(3) 소설 속 비판 의식

(4) 작품이 가지는 의의


3. 결론
본문내용
1. 서론


몽유(夢遊)란 말 그대로 ‘꿈속에서 논다’라는 의미로 현실세계의 주인공이 꿈을 통해 다른 세계로 들어가 여러 가지 경험을 하고, 꿈에서 깨어 다시 현실 세계로 되돌아온다는 이야기이다. 보통 현실, 꿈, 현실로 진행되는 액자구성을 취하는데, 꿈은 전통적으로 문학의 요긴한 소재가 되어 왔다. 특히 몽유록은 조선시대 중엽에 크게 유행했으며, 거의 한문으로 이루어져 있고 작자도 한문을 자유롭게 구사할 수 있었던 식자층의 인물들이 대부분이며, 현실세계에서 느꼈던 소외감 및 불만 등을 그들은 꿈이라는 장치를 통해 진술했던 것이다. 따라서 몽유록의 작품 내적 분위기는 우울하거나 비탄적(悲嘆的) 정조를 띠게 된다. 결말 또한 허무한 것으로 끝나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다. 금오신화에서 몽유록의 첫 발걸음을 내 딛었다고 한다면, 그 유형성을 확립 시킨 작품이 바로 원생몽유록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원생몽유록은 어떠한 구조와 소설적 배경을 가지는지, 그리고 이 소설이 가지는 특징은 무엇인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2. 본론


(1) 소설의 구조

【入夢(입몽)-坐定(좌정)-討論(토론)-吟詩(음시) -覺夢(각몽)】
참고문헌
신재홍, (서울대 석사논문,1986), 「한국몽유소설연구」 계명문화사, 1994.
정학성 , (단국대,1985)
황패강, , (집문당,1990)
「한국 고전문학의 이론과 과제」 단국대학교출판부, 1997

林白湖集, 莊陵誌, 南秋江集, 朝野僉載, 海月文集,
增補朝鮮小說史(金台俊, 博文出版社, 1939),
李朝時代小說論(金起東, 精硏社, 1964),
夢遊錄小考(張德順, 국어국문학 20, 1959),
夢遊錄의 作者小攷(李家源, 국어국문학 23, 1960),
元生夢遊錄과 林悌文學(黃浿江, 韓國敍事文學硏究, 檀國大學校出版部, 1972),
白湖 林悌硏究(蘇在英, 民族文化硏究 8, 1974).(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