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교육론] 9, 10학년 쓰기 영역

 1  [국어교육론] 9, 10학년 쓰기 영역-1
 2  [국어교육론] 9, 10학년 쓰기 영역-2
 3  [국어교육론] 9, 10학년 쓰기 영역-3
 4  [국어교육론] 9, 10학년 쓰기 영역-4
 5  [국어교육론] 9, 10학년 쓰기 영역-5
 6  [국어교육론] 9, 10학년 쓰기 영역-6
 7  [국어교육론] 9, 10학년 쓰기 영역-7
 8  [국어교육론] 9, 10학년 쓰기 영역-8
 9  [국어교육론] 9, 10학년 쓰기 영역-9
 10  [국어교육론] 9, 10학년 쓰기 영역-10
 11  [국어교육론] 9, 10학년 쓰기 영역-11
 12  [국어교육론] 9, 10학년 쓰기 영역-12
 13  [국어교육론] 9, 10학년 쓰기 영역-13
 14  [국어교육론] 9, 10학년 쓰기 영역-14
 15  [국어교육론] 9, 10학년 쓰기 영역-15
 16  [국어교육론] 9, 10학년 쓰기 영역-16
 17  [국어교육론] 9, 10학년 쓰기 영역-17
 18  [국어교육론] 9, 10학년 쓰기 영역-18
 19  [국어교육론] 9, 10학년 쓰기 영역-19
 20  [국어교육론] 9, 10학년 쓰기 영역-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교육론] 9, 10학년 쓰기 영역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제7차 교육과정 - 9,10학년 쓰기 영역
Ⅱ. 개정 교육과정 -  9학년 쓰기 영역
Ⅲ. 교육과정 양자비교
Ⅳ. 9·10학년 쓰기 영역 교육 과정 해설서
요약 정리 및 교과서 구현도 (평가  및 비판 포함)
Ⅴ. 대안 활동
본문내용
Ⅲ. 교육과정 양자비교



① ‘텍스트’ 층위를 내용요소체계의 상위에 두고 이러한 텍스트를 구성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를 ‘지식, 기능, 맥락’으로 구분하여 영역의 하위 범주로 제시
☞분절적, 기능중심의 교육과정→ 텍스트 중심의 통합적 국어교육강조
② 맥락이 내용체계의 한 축으로 등장: 실제적인 쓰기과정의 총체적이고 사회·문화적인 면모를 강조
☞7차에서 ‘실제’가 담당했던 역할의 상당 부분을 잠식하게 되었다. ‘맥락’은 ‘실제’처럼 ‘지식’과 ‘기능’에 공히 대응    하는 통합논리로써 작용하며 ‘맥락’에 의해 ‘지식’의 적합성과 ‘기능’의 적절성이 뒷받침되고 실질적으로 ‘지식’, ‘기    능’이 ‘맥락’에 포섭되며, ‘맥락’안에서 실현된다.
③ 수준별 교육의 내실화
☞7차: 학년별 내용을 ‘내용’과, ‘기본’, ‘심화’로 구분하여 제시→ 수준별 교육 지향
☞개정:‘수준별 학습활동의 예’를 삭제하고 ‘4.방법’항의 교수·학습 운용에서 수준별 교수·학습의 유의사항을 신설→ 수준별          교육의 내실화(수준별교육의 운영권한과 학습자 수준의 해석권을 단위학교 및 담당 교사에게 부여)








④ ‘실제’에서 ‘정보전달, 설득, 사회적 상호작용, 정서표현’이라는 네 범주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개별장르를 영역별, 학년별로 제시

Ⅲ. 교육과정 양자비교




① 일상생활, 사회생활에 필요한 실제적인 쓰기 능력을 길러주는데 초점
☞[10-쓰-(4)]청중이 공유하고 있는 체험,사고,가치를 고려하면서 식사문을 쓴다.
② 실제 텍스트 쓰기 과정에 작용하는 구체적인 지식, 기능을 반영해야 하고, 이들은 서로 긴밀한 관계를 맺는 형식으로 제시
☞[9-쓰-(3)]인용과 해설의 방법을 사용하여 책이나 글을 평가하는 글을 쓴다.
  -인용과 해설의 개념·기능·방법 이해하기, -인용과 해설의 방법을 사용하여 자신의 생각 뒷받침하기
② 텍스트 쓰기 과정에 수반되는 다양한 맥락을 반영
☞[10-쓰-(3)]시사문제에 대하여 자신의 관점을 명료하게 드러내는 시평을 쓴다.
-시사문제와 관련된 사회·문화적 맥락에 대해 이해하기
③ 텍스트 혹은 장르를 중심으로 관련 지식, 기능, 맥락 등이 하나의 흐름 속에 놓이게 함
④ 분리된 단편적 지식이나 기능을 익히기보다는 하나의 완전한 텍스트 쓰기에 초점을 맞춤
⑤ 매체특성을 이용한 글쓰기 활동
☞[9-쓰-(5)]영상 언어의 특성을 살려 영상으로 이야기를 구성한다.

⇒개정 시안은 쓰기 교육의 기본 성격을 다양한 의사소통 상황 맥락에서 실제로 텍스트를 생산하는 능력을 길러 주는 것으로 보고 있으며, 쓰기 교육의 주 내용은 텍스트를 생산하는 과정에 작용하는 지식, 기능, 맥락을 중심으로 구성했음을 알 수 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