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인조반정

 1  [역사] 인조반정-1
 2  [역사] 인조반정-2
 3  [역사] 인조반정-3
 4  [역사] 인조반정-4
 5  [역사] 인조반정-5
 6  [역사] 인조반정-6
 7  [역사] 인조반정-7
 8  [역사] 인조반정-8
 9  [역사] 인조반정-9
 10  [역사] 인조반정-10
 11  [역사] 인조반정-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역사] 인조반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광해군의 집권상황
1-1 - 광해군의 출생
1-2 - 광해군의 왕위 계승 과정
1-3 - 광해군의 정치


2. 인조반정
2-1. 인조반정의 명분
2-2. 인조반정의 진행순서
2-3. 인조반정이 쉽게 이루어진 이유


3. 인조반정 후의 정세
3-1. 인조, 조선 제 16대 왕으로 등극, 광해군의 최후
3-2. 반정의 정당화와 그 문제점
3-3. 이괄의 난
3-4. 굴욕의 역사


- 【참고문헌】


본문내용
1. 광해군의 집권과정 및 상황

1-1. 광해군의 출생

광해군은 선조의 둘째 아들로 이름은 혼이고 후궁
공빈 김 씨가 어머니이다. 우리가 알고 있는 광해군
과는 다르게 왕자들 중에서도 특히 품행이 바르고 효
성이 지극했으며, 학문이 독실한 것으로 밝혀졌다. 몇
가지 사례를 살펴보면,
'선조가 왕자들 앞에 여러 가지 물건들을 늘어놓고 마음대로 고르게 하니 왕자
들이 다투어 보물을 골랐는데 유독 광해군만은 붓과 먹을 집었다.' - 정무록

'선조가 여러 왕자들에게 "반찬감 가운데 무엇이 으뜸이냐?"라고 묻자 광해군은 "소금입니다"라고 대답했다. 선조가 다시 그 까닭을 묻자 광해군은 "소금이 아니면 백 가지 맛을 이루지 못하기 때문입니다."라고 했다. 선조가 다시 "네게 부족한 것이 무엇이냐?"라고 묻자 광해군은 "모친이 일찍 돌아가신 것이 마음에 걸릴 뿐입니다."라고 했다. 광해가 세자가 된 것은 순전히 이 말에 힘입은 것이었다.
- 공사견문록

1-2. 광해군의 왕위 계승 과정

1) 왕세자 책봉
1592년 4월 13일에 임진왜란이 발발하였다. 조정에선 민심 안정을 위해 왕세자 책봉이 시급했다. 이런 전쟁 중의 비상사태에 대처하기 위해 세자로 책봉된 광해군은 책봉례도 제대로 갖추기 못한 채 세자로서 전시임무를 수행해야했다. 선조는 그에게 분조 分朝 . 조정을 나눔. 임진왜란 때, 선조가 본조정과 별도로 임시로 설치한 조정
를 맡기게 된다. 분조란 조정을 두 개로 나누는 것을 의미한다.
세자로 책봉하려면 명나라의 승인이 필요했다. 하지만 명은 장자 임해군이 있다는
이유로 광해군의 세자 책봉을 거절했다. 그 이유는 광해군이 적자도 아니고 장자도
아니기 때문이었다.

2) 왕위계승
전란이 끝난 후인 1602년에 인목대비는 영창대군을 출산한다. 이에 대신들은 암
암리에 영창대군의 지지파와 광해군의 지지파로 분리 된다. 하지만 선조의 병이 악
화되자 현실적인 판단에 근거해 광해군에게 선위 교서를 내리지만, 영의정 유영경
은 이를 감춰버린다. 나중에 발각되지만, 그 때는 이미 선조가 운명을 달리 한 후였
다. 이로써 왕위 계승의 결정권은 인목대비에게 넘어가게 되고 유영경은 인목대비
에게 영창대군을 즉위시키고 수렴청정 할 것을 권하지만 현실성이 없다고 판단하고
언문 교지를 내려 광해군을 즉위시킨다. 이는 1608년 2월 2일로 광해군의 나이 34
세 때의 일이다.

1-3. 광해군의 정치

광해군의 정치는 내(內)적 과 외(外)적 정치로 나누 어 볼 수 있다. 먼저 내적으로는 전란 후의 민생 안정책으로 대동법이 있다. 대동법이란 현물로 바치던 공물을 봄과 가을에 쌀로 바꾸어 내도록 하는 것인데, 가난한 백성들이 세금을 내는데 아주 안정적이었고, 백성들의 반응도 매우 좋았다.
또한 흩어져 버린 서적들을 수습한 일도 있었다. 대표적으로 『동의보감』과 『동국신속삼강행실도』가 있는데 은 전쟁으로 인한 굶주림과 전염병 때문에 인구가 줄어들고 있던 현실을 타개하기 위해 간행되었다. 귀양 중이던 허준의
참고문헌
「한권으로 정리된 이야기 조선왕조사」 윤태영, 구소청
「조선왕조사 전」 김경수
「왕의 투쟁」 함규진 지음
「조선왕조사」 이성무 지음
「광해군일기」
「인조실록」
「승정원일기」
「연려실기술」
「이야기 조선 왕조사」 이근호, pp.360~386
「사림의 성장과 임진・병자양란」 김종성, pp.240~262
「두산대백과사전」
「브리태니커백과사전」
「조선왕조사」 이성무, pp.542~558
「조선중기 정치와 정책(한국역사연구회 17세기 정치사연구반)」
仁祖實錄(인조실록)
三田渡碑竪立始末(金聲均, 鄕土서울 12, 서울市史編纂委員會, 1961)
壬亂·胡亂時의 劉海와 劉興祚(全海宗, 趙明基博士華甲記念佛敎學史論叢, 19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