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의 분리장벽 정책과 인권에 관한 담론

 1  이스라엘의 분리장벽 정책과 인권에 관한 담론-1
 2  이스라엘의 분리장벽 정책과 인권에 관한 담론-2
 3  이스라엘의 분리장벽 정책과 인권에 관한 담론-3
 4  이스라엘의 분리장벽 정책과 인권에 관한 담론-4
 5  이스라엘의 분리장벽 정책과 인권에 관한 담론-5
 6  이스라엘의 분리장벽 정책과 인권에 관한 담론-6
 7  이스라엘의 분리장벽 정책과 인권에 관한 담론-7
 8  이스라엘의 분리장벽 정책과 인권에 관한 담론-8
 9  이스라엘의 분리장벽 정책과 인권에 관한 담론-9
 10  이스라엘의 분리장벽 정책과 인권에 관한 담론-10
 11  이스라엘의 분리장벽 정책과 인권에 관한 담론-11
 12  이스라엘의 분리장벽 정책과 인권에 관한 담론-12
 13  이스라엘의 분리장벽 정책과 인권에 관한 담론-13
 14  이스라엘의 분리장벽 정책과 인권에 관한 담론-14
 15  이스라엘의 분리장벽 정책과 인권에 관한 담론-15
 16  이스라엘의 분리장벽 정책과 인권에 관한 담론-16
 17  이스라엘의 분리장벽 정책과 인권에 관한 담론-17
 18  이스라엘의 분리장벽 정책과 인권에 관한 담론-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이스라엘의 분리장벽 정책과 인권에 관한 담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제1장 화약고에 그려지는 도화선, 분리장벽(요약)
┗ KEYWORD

제2장 팔레스타인 땅에서의 갈등의 역사
제1절 세 개의 종교의 이해
1. 유대교, 기독교 그리고 이슬람교
2. 디아스포라, 유대인 차별의 역사
가. 디아스포라
나. 유대인 차별의 역사
제2절 팔레스타인 땅의 주인들
제3절 국제사회의 개입과 분쟁의 심화
1. 영국의 이중적인 태도(1914~1947)
2. 이스라엘 독립국가 선포와 중동전쟁(1948~1973)
가. 이스라엘 독립국가 선포
나. 중동전쟁

제3장 인권이 침묵한 땅-팔레스타인을 구하기 위해
제1절 아랍민족 해방을 위한 움직임
1. 팔레스타인해방기구(PLO)
2. 무장투쟁단체의 독립운동
제2절 분리장벽
1. 분리장벽 이스라엘은 보안장벽(Security Wall)이라 말하지만, 팔레스타인-아랍인을 포함한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을 분리하는 분리장벽(Apartheid Wall), 혹은 인종차별정책이라 부른다.
의 실체
가. 분리장벽의 건설
나. 분리장벽의 목적 - 성지탈환
다. 분리장벽의 목적 - 팔레스타인-아랍인들의 고립
라. 되풀이되는 역사
2. 분리장벽으로 인한 팔레스타인-아랍인의 고통
가. 생존권
나. 이동권과 주거권 및 교육권, 의료권
다. 연대권과 평화권
제3절 팔레스타인 땅의 인권보장을 위해
1. 국제사회의 노력
2. 팔레스타인 땅에 피는 평화
가. 이스라엘군인의 양심적 병역거부
나. 젊은 이스라엘 평화주의자들
다. 막스 레인 핸드인핸드 스쿨

제4장 결론

제5장 참고문헌
본문내용
제2절 팔레스타인 땅의 주인
유대인들이 시오니즘을 전개하며 그동안 세계 각지에서 벌어들인 막대한 자금력으로 팔레스타인 땅으로 몰려드는 것은 유대인들에게는 유대교적 믿음에서 나오는 염원의 실현일지 모르나, 유대인들이 팔레스타인 땅을 떠나있던 지난 1800년간 이 곳에 거주해 온 아랍민족에게는 달가운 일이 아니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세계 각국의 지원을 받아 유대인이 팔레스타인에 이스라엘을 건국하게 되었다. 이에 팔레스타인에 거주하던 팔레스타인-아랍인들과 주변 아랍계 국가들은 반감을 갖고 중동전쟁을 일으켰으나 모두 패하고, 유대인들의 이주는 가속화 되었다.
이스라엘은 국가적 차원에서 팔레스타인-아랍인들의 땅을 빼앗고 1950년 3월 14일 이스라엘 정부는 팔레스타인-아랍인의 토지를 몰수한 것을 정당화 하기 위하여 ‘부재자 재산법(the Absentee's Property Law)'을 채택하였다. 이 법에 따라서 유엔의 팔레스타인 불할안이 의결ㄹ된 날인 1947년 11월 29일 현재 아랍국가의 시민이었거나 아랍국가에 거주하고 있던 사람들과 팔레스타인인이라 할지라도 본인의 거주지를 떠나 있던 사람들은 이유를 불문하고 모두 부재자로 분류되었다. 이 때 부재자의 재산은 그 재산의 점유자에게 귀속된다고 승인하였으며 당시 재산 점유자들은 전 재산을 이스라엘 정부에게 팔았다. 이로써 이스라엘 정부는 손쉽게 100만 팔레스타인-아랍인 재산 강탈을 제도화 하였다. 홍미정, 「팔레스타인 땅, 이스라엘 정착촌」,2004년 pp.28-29

유대인 팔레스타인 땅으로의 이주를 장려하는 제도 부재자 재산법이 채택된 지 3개월이 채 안된 7월 4일 크네세트는 ‘귀환법(Law of Return)’을 통과시켰다. ‘귀환법’은 “모든 ‘유대인’은 새로운 이주자로서 이스라엘로 돌아올 권리를 가지며 완전한 이스라엘 시민권을 받는다”고 규정하였다. 결국 이스라엘 정부는 ‘부재자재산법’과 ‘귀환법’제정을 통해서 제도적으로 팔레스타인-아랍인들을 추방시키고 이스라엘인들을 정착시켰다. 홍미정, 「팔레스타인 땅, 이스라엘 정착촌」2004년 p.30
를 마련하였고, 일부 부유한 팔레스타인-아랍인들은 그 상황을 이용해 부동산 장사를 하면서 더욱 부를 축적했기에 유대인들의 이주를 반기기까지 했다. 안팎의 공격에 팔레스타인-아랍인들은 견뎌낼 재간이 없어서 난민으로서 주변 국가들을 떠돌아다니거나 팔레스타인 내에서 하루하루 생명의 위협을 받으며 살고 있다.

제3절 국제사회의 개입과 분쟁의 심화
1. 영국의 이중적인 태도(1914~1947)
중동지역을 실질적으로 지배하던 오스만 제국이 멸망해가자 유럽열강들은 중동지역의 새 주인이 되기 위해 중동문제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아랍민족들에게 민족주의를 부추겨 오스만 제국에 독립운동을 전개하게끔 했다. 그 중 영국은 제1차 세계대전에서 오스만투르크 제국과 독일, 오스트리아에 영국연합군이 승리하면 아랍민족들에게 독립을 주겠다는 ‘후사인-맥마흔 협정’을 체결한다.
아랍민족들은 적극적으로 영국에 협조했고 그 덕에 1차 세계대전에서 영국이 승리해 팔레스타인은 영국의 점령 하에 들어가게 된다. 하지만 영국은 유대인들의 세계적 영향력을 의식해 팔레스타인에 유대인의 국가가 설립되는 것을 지지하는 ‘벨푸어선언’을 발표
참고문헌
단행본 :

1. 노먼 핀켈슈타인,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의 이미지와 현실”, 돌베개, 2004, pp25-130
2. 노암 촘스키, “숙명의 트라이앵글1”, 이후, 2001, pp.189-194
3. 노암 촘스키, “숙명의 트라이앵글2”, 이후, 2001, pp.279-340
4. 홍미정, “팔레스타인 땅, 이스라엘 정착촌”, 2004
5. 오수연, “이라크 전쟁의 기록 아부알리, 죽지마”, 2004, pp.16-67
6. 성서와 함께 편집부, “보시니 참 좋았다”, 1988, pp.11-12
7. 김재명, “나는 평화를 기원하지 않는다”, ``2005, pp.23-93

인터넷 사이트 :

1. http://www.pal.or.kr/tree/index.php (검색일 : 2008. 05. 27.)
2. 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arabafrica/190715.html
(검색일 : 2008. 04. 28.)
3. http://www.hani.co.kr/section-007100007/2003/11/007100007200311122305310.html (검색일 : 2008. 04. 28.)
4. http://www.palbridge.org/(검색일 : 2008. 05. 27)
5. http://action-for-palestine.blogspot.com/(검색일 : 2008. 04. 28.)
6.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22&aid=0000043017(검색일 : 2008. 04. 28)
7. http://www.refusersolidarity.net/ (검색일 : 2008. 05.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