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거능력과 증거력, 소명과 증명의 차이, 불요증 사실

 1  증거능력과 증거력, 소명과 증명의 차이, 불요증 사실-1
 2  증거능력과 증거력, 소명과 증명의 차이, 불요증 사실-2
 3  증거능력과 증거력, 소명과 증명의 차이, 불요증 사실-3
 4  증거능력과 증거력, 소명과 증명의 차이, 불요증 사실-4
 5  증거능력과 증거력, 소명과 증명의 차이, 불요증 사실-5
 6  증거능력과 증거력, 소명과 증명의 차이, 불요증 사실-6
 7  증거능력과 증거력, 소명과 증명의 차이, 불요증 사실-7
 8  증거능력과 증거력, 소명과 증명의 차이, 불요증 사실-8
 9  증거능력과 증거력, 소명과 증명의 차이, 불요증 사실-9
 10  증거능력과 증거력, 소명과 증명의 차이, 불요증 사실-10
 11  증거능력과 증거력, 소명과 증명의 차이, 불요증 사실-11
 12  증거능력과 증거력, 소명과 증명의 차이, 불요증 사실-12
 13  증거능력과 증거력, 소명과 증명의 차이, 불요증 사실-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증거능력과 증거력, 소명과 증명의 차이, 불요증 사실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증거능력과 증거력



Ⅱ. 증명과 소명



III. 요증사실


Ⅳ. 불요증사실
본문내용
2. 증거의 종류 - 본증, 반증, 반대사실의 증거

- 당사자가 자기에게 증명책임 있는 사실을 증명하기 위하여 제출하는 증거를 본증이라 하고, 상대방이 증명책임을 지는 사실을 부정하기 위해 제출하는 증거를 반증이라고 한다.
본증의 경우에는 법관이 요증사실의 존재가 확실하다고 확신을 갖게 되지 않으면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없으며, 증명책임의 효과로서 불이익을 받게 된다. 그러나 반증의 경우에는 요증사실의 존재가 확실치 못하다는 심증을 형성케 하면 된다.
반증과 구별할 것에 반대사실의 증거가 있다. 이는 원칙적으로 법률상의 확정이 되었을 때 이를 깨드리기 위하여 그 추정을 다투는 자가 제출하는 증거이다. 이것은 반증이 아니고 본증이다.
【판시사항】
확정되지 아니한 판결서를 증거로 사용활 수 있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판결서 중에서 한 사실판단을 그 사실을 증명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것을 불허하는 것은 아니어서 이를 이용하는 경우에 판결서도 그 한도 내에서 보고문서라고 할 것이고 판결서가 확정되지 아니한 것이라고 하여 증거로 사용될 수 없다고 할 수 없으며 다만 신빙성이 문제될 수 있을 뿐이다.

(출처 : 대법원 1992.11.10. 선고 92다22107 판결【건물철거등】 [공1993.1.1.(935),80])



【판시사항】
[1] 구 농촌근대화촉진법상의 농지개량사업에 의한 환지의 소유권 귀속 주체(=종전 소유자) 및 소유권 귀속 시기(=환지계획 고시일 다음날)
[2] 민사소송법상 녹음테이프의 증거능력 및 증거조사 방법(=검증)
[3] 당사자 일방이 녹음테이프를 녹취한 녹취문을 증거로 제출하고 이에 대하여 상대방이 부지로 인부한 경우, 그 녹취문이 오히려 상대방에게 유리한 내용으로 되어 있었다면 녹음테이프 검증 없이 녹취문의 진정성립을 인정할 수 있다고 본 사례

【판결요지】
[1] 폐지된 구 농촌근대화촉진법(1994. 12. 22. 법률 제482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26조, 제127조, 제129조는 농지개량사업에 의한 환지계획에 의하여 교부될 환지는 농림수산부장관이 환지계획을 고시한 날의 다음날부터 이를 종전의 토지로 보도록 규정하고 있으므로, 환지계획을 고시한 날의 다음날부터는 종전의 토지소유자는 같은 법 제133조에 의한 환지등기가 없어도 환지된 토지의 소유권을 취득하고, 사업시행자가 소유자를 오인하여 소유자가 아닌 다른 사람에게 환지를 하였다 하더라도 다른 사람이 소유권을 취득하는 것이 아니며, 종전 토지의 소유자는 환지처분 후 종전 토지의 소유권에 기하여 환지된 토지의 소유권을 주장할 수 있고, 소유권 없는 자 앞으로 경료된 소유권이전의 등기가 같은 법 제126조 제4항의 사실증명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것이라 하여 다를 바 없다.
[2] 자유심증주의를 채택하고 있는 우리 민사소송법하에서 상대방 부지 중 비밀리에 상대방과의 대화를 녹음하였다는 이유만으로 그 녹음테이프가 증거능력이 없다고 단정할 수 없고, 그 채증 여부는 사실심 법원의 재량에 속하는 것이며, 녹음테이프에 대한 증거조사는 검증의 방법에 의하여야 한다.
[3] 당사자 일방이 녹음테이프를 증거로 제출하지 않고 이를 속기사에 의하여 녹취한 녹취문을 증거로 제출하고 이에 대하여 상대방이 부지로 인부한 경우, 법원은 녹음테이프의 검증을 통하여 대화자가 진술한 대로 녹취되었는지 확인하여야 할 것이나, 그 녹취문이 오히려 상대방에게 유리한 내용으로 되어 있다면 그 녹취 자체는 정확하게 이루어진 것으로 보이므로 녹음테이프 검증 없이 녹취문의 진정성립을 인정할 수 있다고 본 사례.

(출처 : 대법원 1999. 5. 25. 선고 99다1789 판결【손해배상(기)】 [공1999.7.1.(85),12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