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판소리][잡가][민요][시조]국악(한국전통음악)의 두 갈래, 판소리(동편제,서편제,중고제,강산제), 잡가(잡가의 종류,서도잡가,남도잡가), 민요(경기민요,남도민요,서도민요), 시조(사대부시조의 재정비,사대부시조의 변이), 가곡, 산조 분석

 1  [국악][판소리][잡가][민요][시조]국악(한국전통음악)의 두 갈래, 판소리(동편제,서편제,중고제,강산제), 잡가(잡가의 종류,서도잡가,남도잡가), 민요(경기민요,남도민요,서도민요), 시조(사대부시조의 재정비,사대부시조의 변이), 가곡, 산조 분석-1
 2  [국악][판소리][잡가][민요][시조]국악(한국전통음악)의 두 갈래, 판소리(동편제,서편제,중고제,강산제), 잡가(잡가의 종류,서도잡가,남도잡가), 민요(경기민요,남도민요,서도민요), 시조(사대부시조의 재정비,사대부시조의 변이), 가곡, 산조 분석-2
 3  [국악][판소리][잡가][민요][시조]국악(한국전통음악)의 두 갈래, 판소리(동편제,서편제,중고제,강산제), 잡가(잡가의 종류,서도잡가,남도잡가), 민요(경기민요,남도민요,서도민요), 시조(사대부시조의 재정비,사대부시조의 변이), 가곡, 산조 분석-3
 4  [국악][판소리][잡가][민요][시조]국악(한국전통음악)의 두 갈래, 판소리(동편제,서편제,중고제,강산제), 잡가(잡가의 종류,서도잡가,남도잡가), 민요(경기민요,남도민요,서도민요), 시조(사대부시조의 재정비,사대부시조의 변이), 가곡, 산조 분석-4
 5  [국악][판소리][잡가][민요][시조]국악(한국전통음악)의 두 갈래, 판소리(동편제,서편제,중고제,강산제), 잡가(잡가의 종류,서도잡가,남도잡가), 민요(경기민요,남도민요,서도민요), 시조(사대부시조의 재정비,사대부시조의 변이), 가곡, 산조 분석-5
 6  [국악][판소리][잡가][민요][시조]국악(한국전통음악)의 두 갈래, 판소리(동편제,서편제,중고제,강산제), 잡가(잡가의 종류,서도잡가,남도잡가), 민요(경기민요,남도민요,서도민요), 시조(사대부시조의 재정비,사대부시조의 변이), 가곡, 산조 분석-6
 7  [국악][판소리][잡가][민요][시조]국악(한국전통음악)의 두 갈래, 판소리(동편제,서편제,중고제,강산제), 잡가(잡가의 종류,서도잡가,남도잡가), 민요(경기민요,남도민요,서도민요), 시조(사대부시조의 재정비,사대부시조의 변이), 가곡, 산조 분석-7
 8  [국악][판소리][잡가][민요][시조]국악(한국전통음악)의 두 갈래, 판소리(동편제,서편제,중고제,강산제), 잡가(잡가의 종류,서도잡가,남도잡가), 민요(경기민요,남도민요,서도민요), 시조(사대부시조의 재정비,사대부시조의 변이), 가곡, 산조 분석-8
 9  [국악][판소리][잡가][민요][시조]국악(한국전통음악)의 두 갈래, 판소리(동편제,서편제,중고제,강산제), 잡가(잡가의 종류,서도잡가,남도잡가), 민요(경기민요,남도민요,서도민요), 시조(사대부시조의 재정비,사대부시조의 변이), 가곡, 산조 분석-9
 10  [국악][판소리][잡가][민요][시조]국악(한국전통음악)의 두 갈래, 판소리(동편제,서편제,중고제,강산제), 잡가(잡가의 종류,서도잡가,남도잡가), 민요(경기민요,남도민요,서도민요), 시조(사대부시조의 재정비,사대부시조의 변이), 가곡, 산조 분석-10
 11  [국악][판소리][잡가][민요][시조]국악(한국전통음악)의 두 갈래, 판소리(동편제,서편제,중고제,강산제), 잡가(잡가의 종류,서도잡가,남도잡가), 민요(경기민요,남도민요,서도민요), 시조(사대부시조의 재정비,사대부시조의 변이), 가곡, 산조 분석-11
 12  [국악][판소리][잡가][민요][시조]국악(한국전통음악)의 두 갈래, 판소리(동편제,서편제,중고제,강산제), 잡가(잡가의 종류,서도잡가,남도잡가), 민요(경기민요,남도민요,서도민요), 시조(사대부시조의 재정비,사대부시조의 변이), 가곡, 산조 분석-12
 13  [국악][판소리][잡가][민요][시조]국악(한국전통음악)의 두 갈래, 판소리(동편제,서편제,중고제,강산제), 잡가(잡가의 종류,서도잡가,남도잡가), 민요(경기민요,남도민요,서도민요), 시조(사대부시조의 재정비,사대부시조의 변이), 가곡, 산조 분석-13
 14  [국악][판소리][잡가][민요][시조]국악(한국전통음악)의 두 갈래, 판소리(동편제,서편제,중고제,강산제), 잡가(잡가의 종류,서도잡가,남도잡가), 민요(경기민요,남도민요,서도민요), 시조(사대부시조의 재정비,사대부시조의 변이), 가곡, 산조 분석-14
 15  [국악][판소리][잡가][민요][시조]국악(한국전통음악)의 두 갈래, 판소리(동편제,서편제,중고제,강산제), 잡가(잡가의 종류,서도잡가,남도잡가), 민요(경기민요,남도민요,서도민요), 시조(사대부시조의 재정비,사대부시조의 변이), 가곡, 산조 분석-15
 16  [국악][판소리][잡가][민요][시조]국악(한국전통음악)의 두 갈래, 판소리(동편제,서편제,중고제,강산제), 잡가(잡가의 종류,서도잡가,남도잡가), 민요(경기민요,남도민요,서도민요), 시조(사대부시조의 재정비,사대부시조의 변이), 가곡, 산조 분석-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악][판소리][잡가][민요][시조]국악(한국전통음악)의 두 갈래, 판소리(동편제,서편제,중고제,강산제), 잡가(잡가의 종류,서도잡가,남도잡가), 민요(경기민요,남도민요,서도민요), 시조(사대부시조의 재정비,사대부시조의 변이), 가곡, 산조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국악(한국전통음악)의 두 갈래
1. 아악, 당악, 향악
2. 정악(아악), 민속악

Ⅲ. 판소리
1. 동편제(東便制)
2. 서편제
3. 중고제
4. 강산제
5. 판소리의 조
1) 우조(우조길)
2) 평조(평조길)
3) 계면조(계면길)
4) 설렁제(덜렁제)
5) 경드름
6. 판소리의 발성법과 성음 음악
7. 판소리의 종류
1) 춘향가
2) 심청가
3) 홍보가
4) 수궁가(토별가)
5) 적벽가(일명 화용도 타령)
6) 변강쇠가(가루지기타령, 횡부가)
7) 장끼타령(자치가)
8) 배비장타령
9) 옹고집타령
10) 강릉매화타령
11) 왈자타령(무숙이타령)
12) 숙영낭자타령(가짜신선타령)

Ⅳ. 잡가
1. 잡가의 종류
1) 경기잡가
2) 12잡가(긴잡가)
3) 휘몰이 잡가
4) 입창(立昌) = 선소리
2. 서도잡가
3. 남도잡가

Ⅴ. 민요
1. 경기민요
2. 남도민요
3. 서도민요

Ⅵ. 시조
1. 사대부 시조의 재정비
1) 고응척(1531-1605)
2) 장경세(1547-1615)
3) 이신의(1511-1627)
4) 조존성(1533-1627)
5) 박선강(1555-1617)
2. 사대부 시조의 변이
1) 김광욱(1580-1656)
2) 이휘일(1619-1672)
3) 위백규(1727-1798)
4) 안서우(1664-1735)
5) 신헌조(1752-1809)

Ⅶ. 가곡

Ⅷ. 산조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개요
한국의 전통 음악은 지금까지 우리 민족이 이 땅에서 이루어 놓은 음악 전체를 가리키는 말이다. 그런데 전통 음악을 잘못 해석하면 옛날 음악이 되어 버리는데 그렇게만 해석하면 부족하다. 전통이란 옛날부터 오늘날을 거쳐 미래에도 지속되는 하나의 흐름 전체를 말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런 각도에서 전통음악이란 용어를 해석하고 이해해야 한다. 그 흐름에서는 수많은 음악이 생겨나고 발전하고 또 변하기도 하며 없어지기도 하는 것을 포함하는데, 결국 전통음악의 흐름 자체는 우리 나라 사람의 생활과 우리에게 어울리는 음악이 주류를 이루어 갈 것이고, 예술성이 높고 생명력이 있는 것들이 살아남는 것 또한 당연한 일이다. 이와 같이 ‘전통음악’이란 용어는 우리 나라 역사 속의 음악이란 뜻이 짙고 옛날음악이면서도 오늘날까지 그 음악이 살아 있는 지속적인 음악이란 뜻이 있다. 또한 우리 나라 민족의 유구한 역사와 전통, 그리고 생활과 정서 속에서 나타나고 성장하여 다듬어진 음악의 전부를 말한다고 할 수 있다.

Ⅱ. 국악(한국전통음악)의 두 갈래
국악을 분류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1. 아악, 당악, 향악
아악은(협의의 아악) 원래 고려 예종 때 수입된 중국의 정악을 말하는 것으로 현재는 문묘제례악만 남아있다. 당악은 당나라의 음악뿐 아니라 고려시대에 송나라에서 들어온 중국의 속악을 총칭한다. 현재는 보허자와 낙양춘 두 곡만이 남아 있다. 향악이란 당악에 대한 한국음악을 일컫는 말로 아악과 당악을 제외한 모든 곡이다. 그러나 여기에는 속악에 속하는 판소리, 민요, 농악 등은 포함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러한 분류방법은 적당하지 못한 방법이다.

2. 정악(아악), 민속악
국악을 나누는 방법 중 많이 쓰이는 방법으로 정악 즉 아악이란, 협의의 아악과 당악, 향악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좀더 자세히 알아보면 정악은 발생연대가 비교적 오래된 것으로 문헌이나 고악보로 전해진다
참고문헌
* 곽준(1992), 판소리와 장단, 서울 아트스페이스
* 서한범(1992), 국악통론, 태림 출판사
* 이성재(1998), 재미있는 국악 길라잡이, 서울미디어
* 정병욱(1984), 한국의 판소리, 집문당
* 장사훈, 알기 쉬운 국악이론, 세광음악출판사
* 정노식, 조선창극사, 동문선
* 최동현(1986), 판소리 연구사, 전주 도서출판 인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