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학] 송당본향당신본풀이와 유사 서사물(敍事物)과의 비교분석

 1  [한국학] 송당본향당신본풀이와 유사 서사물(敍事物)과의 비교분석-1
 2  [한국학] 송당본향당신본풀이와 유사 서사물(敍事物)과의 비교분석-2
 3  [한국학] 송당본향당신본풀이와 유사 서사물(敍事物)과의 비교분석-3
 4  [한국학] 송당본향당신본풀이와 유사 서사물(敍事物)과의 비교분석-4
 5  [한국학] 송당본향당신본풀이와 유사 서사물(敍事物)과의 비교분석-5
 6  [한국학] 송당본향당신본풀이와 유사 서사물(敍事物)과의 비교분석-6
 7  [한국학] 송당본향당신본풀이와 유사 서사물(敍事物)과의 비교분석-7
 8  [한국학] 송당본향당신본풀이와 유사 서사물(敍事物)과의 비교분석-8
 9  [한국학] 송당본향당신본풀이와 유사 서사물(敍事物)과의 비교분석-9
 10  [한국학] 송당본향당신본풀이와 유사 서사물(敍事物)과의 비교분석-10
 11  [한국학] 송당본향당신본풀이와 유사 서사물(敍事物)과의 비교분석-11
 12  [한국학] 송당본향당신본풀이와 유사 서사물(敍事物)과의 비교분석-12
 13  [한국학] 송당본향당신본풀이와 유사 서사물(敍事物)과의 비교분석-13
 14  [한국학] 송당본향당신본풀이와 유사 서사물(敍事物)과의 비교분석-14
 15  [한국학] 송당본향당신본풀이와 유사 서사물(敍事物)과의 비교분석-15
 16  [한국학] 송당본향당신본풀이와 유사 서사물(敍事物)과의 비교분석-16
 17  [한국학] 송당본향당신본풀이와 유사 서사물(敍事物)과의 비교분석-17
 18  [한국학] 송당본향당신본풀이와 유사 서사물(敍事物)과의 비교분석-18
 19  [한국학] 송당본향당신본풀이와 유사 서사물(敍事物)과의 비교분석-19
 20  [한국학] 송당본향당신본풀이와 유사 서사물(敍事物)과의 비교분석-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학] 송당본향당신본풀이와 유사 서사물(敍事物)과의 비교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차 례

Ⅰ. 들어가며
Ⅱ. 송당본풀이 내용요약
1. 송당본풀이 채록본 정리
2. 송당본풀이 내용요약
Ⅲ. 송당본풀이와 유사 서사물(敍事物)과의 비교분석
1. 삼성신화와의 비교분석
2. 이공본풀이의 ‘원강암이’와 ‘백주또’와의 비교분석
3. 김녕궤눼깃당, 세화본향당 본풀이와의 비교분석
- 미식신(米食神)과 육식신(肉食神)과의 문화 갈등
4. 백주또 자신(子神)의 계보분석
Ⅳ. 나오며

본문내용
표에서 살펴 보았듯이 송당본풀이는 대부분 진성기가 채록한 것으로 진성기 한 사람의 조사성과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으며, 본이 다양하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고 할 수 있다. 장주근이 채록한 고봉선본은 앞서 진성기가 채록한 6편보다 시기가 앞선 것으로, 수심방의 자료이기에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제주 당의 뿌리로 당신 본풀이가 널리 알려진 까닭에 비교적 쉽게 접근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했지만, 자료를 찾고 분석하는 과정에서 한 가지 아쉬운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제주도 무가를 집대성한 현용준이 채록한 무가본에는 송당본풀이가 빠져 있다는 점이다. 단지 현용준이 집필한 「무속신화와 문헌신화 (집문당, 1992)」와 「제주도 신화의 수수께끼 (집문당, 2005)」에 필요에 따라 요약본이 발췌되어 있을 뿐이다.
심방의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는 본풀이는 구술자의 능력과 처한 환경(성별, 나이, 채록시기)에 따라 더해지거나 각색되는 등, 변형의 가능성이 높다. 앞서 예시되었던 8개의 송당 본풀이에는 각자 나름대로의 장․단점이 있다. 이상문본은 서사구조를 갖추어 이야기 내용은 풍부하나, 애월읍 곽지리에 거주하던 심방으로 송당본향당과는 거리가 있다.
또한 고대중본은 고대중 심방이 송당본향당의 메인심방이었던 까닭에 실제로 굿판에서 구연되었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하지만 고대중본은 이상문본에 비해 이야기의 구조가 단조롭다. 더불어 김오생본은 서사성을 거의 찾아볼 수 없지만, 백주또의 자손들이 어느 마을의 당신으로 좌정하게 되었는지, 그 계보를 정리하고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그 외에 임진생본, 김을봉본, 양기정본은 앞서 고대중본, 김오생본과 마찬가지로 서사성이 희미하고 내용 또한 아주 짧다. 뿐만 아니라 가장 늦은 시기인 1984년에 채록된 박인주본 또한 이야기의 전개가 이상문본 보다는 다른 본의 줄거리와 비슷하지만 전개 내용이 짧아 아쉬움을 더해주고 있다. 본고에서는 8개의 채록본 중 풍부한 이야기의 서사구조를 갖춘 이상문본을 토대로 송당본풀이의 내용을 요약해봤다.
참고문헌
1. 고대경, 「신들의 고향」, 중명, 1997
2. 김정숙, 「자청비, 가믄장아기, 백주또: 제주섬 신화 그리고 여성」, 각, 2002
3. 문무병 「제주도 당신앙 연구」, 제주대학교, 1994
4. 문화․역사 마을 만들기 북제주군 추진협의회, 「북제주군 송당리 조사보고 서」, 각, 2004
5. 이영권, 「제주역사기행」, 한겨레신문사, 2004
6. 장주근, 「제주도 무속과 서사무가」, 역락, 2001
7. 조동일, 「동아시아 구비 서사시의 양상과 변천」, 문학과 지성사, 1997
8. 진성기, 「제주도 무가본풀이사전」, 민속원, 1991
9. 진성기, 「제주무속학사전」, 제주민속연구소, 디딤돌, 2004
10. 현용준, 「무속신화와 문헌신화」, 집문당, 1992
11. 현용준, 「제주도 무속연구」, 집문당, 1986
12. 현용준, 「제주도 신화의 수수께끼」, 집문당, 2005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