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극작가론] 최인훈 -달아 달아 밝은 달아

 1  [현대극작가론] 최인훈 -달아 달아 밝은 달아-1
 2  [현대극작가론] 최인훈 -달아 달아 밝은 달아-2
 3  [현대극작가론] 최인훈 -달아 달아 밝은 달아-3
 4  [현대극작가론] 최인훈 -달아 달아 밝은 달아-4
 5  [현대극작가론] 최인훈 -달아 달아 밝은 달아-5
 6  [현대극작가론] 최인훈 -달아 달아 밝은 달아-6
 7  [현대극작가론] 최인훈 -달아 달아 밝은 달아-7
 8  [현대극작가론] 최인훈 -달아 달아 밝은 달아-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극작가론] 최인훈 -달아 달아 밝은 달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작가소개

2. 등장인물 구도

3. 인물 분석

4. 공간과 주제 의식

5. 소재와 극작술 분석

6.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보기

본문내용
3. 인물 분석
1) 심청은 어떠한 인물인가?
극의 중심에는 중심에 속하는 인물이 바로 심청이다. 심청은 시종일관 고난을 겪고, 노동력으로, 성적으로 착취를 당하는 인물로 그려진다. 심청에게 행복했던 유일한 기억은 김서방에 대한 것이다. 김서방에 대한 기억을 제외하고서는 암울하고 비극적인 경험만을 하고 고향인 도화동으로 돌아오게 된다. 결말에서 미쳐버린 심청은 김서방과 심봉사를 기다리며 갈보처럼 웃는 것으로 끝을 맺는다.
심청은 자신의 고난에 찬 기억들을 아름다운 것으로 승화시킨다. 자신을 성적으로 착취한 해적과 중국인들을 왕자라고 묘사하는가 하면 유곽을 용궁으로 묘사한다. 미쳐버린 심청이 자신의 경험을 왜곡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기억을 왜곡할 수밖에 없을 정도로 심청이 경험했던 고난은 말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라 할 수 있다. 이는 심청의 입장에서 자신의 고난을 극복하고 초월하고자 하는 방편이다. 달로 표상되는 이상향을 그리며 자신의 희망의 끈을 놓지 않는 심청에게서 일면 숭고한 면이 느껴지기도 한다.
그러나 결말에서 심청에게 놓인 현실은 비극적이기만 하다. 아이들의 눈에 비친 심청은 미친 할머니이고, 보이지 않는 눈으로 깨진 거울을 들여다보며 교태 섞인 웃음을 짓는 심청에게서 희망의 빛을 찾기란 불가능하다. ‘달아 달아 밝은 달아’에서 나타나는 유토피아를 지향하는 의식은 희망이 전무하기 때문에 오히려 비극적인 파토스를 불러일으키는 역설이라 할 수 있다. 심청이 지향하는 것도 결국에는 이루어질 수 없는 허황된 것임을 결말에서의 심청의 모습을 통해 강하게 드러내고 있다.
심청은 미쳐서까지 자신의 가치를 고수하는 인물이다. 심청이 고난을 겪게 된 것도, 유교적 이데올로기로 표상되는 효를 다하기 위함이었다. 그럼에도 아버지를 기다리고, 아버지를 만나기 위해 다시 고향으로 돌아온다. 이러한 심청의 모습은 자신을 지배하는 세계의 이데올로기를 극복하려는 의지를 상실한 것으로 비춰지기도 한다. 그러나 그것을 감내하고 자기 스스로 초월하고자 하는 일면이 존재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모든 고통을 감내하며 살아남은 심청에게서 숭고함을 발견할 수 있다. 문제는 숭고함을 불식시킬 정도로 비극적인 상황에 놓인 심청이다. 더 이상 나아질 것 같지 않은 상황에 심청을 위치시키면서 심청의 유토피아는 결코 존재할 수 없음을, 따라서 심청도 허황된 인물일 수 있음을 암시한다 하겠다.
참고문헌
박미리,「최인훈 희곡에 대한 연극적 고찰」, 한국극예술연구, 2002.
유정숙,「최인훈 희곡 연구」, 우리어문연구, 2006.
최상민,「최인훈의 “심청”재현과 의미」, 한민족어문학, 2006.
최준호,「최인훈: 아름다운 언어로 구축된 최인훈 희곡의 연극성」, 시학과 언어학, 2001.
홍진석,「의 주제의식 고찰」, 한국언어문학,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