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목적고(특목고)와 자립형사립고 설립 반대 입장

 1  특수목적고(특목고)와 자립형사립고 설립 반대 입장-1
 2  특수목적고(특목고)와 자립형사립고 설립 반대 입장-2
 3  특수목적고(특목고)와 자립형사립고 설립 반대 입장-3
 4  특수목적고(특목고)와 자립형사립고 설립 반대 입장-4
 5  특수목적고(특목고)와 자립형사립고 설립 반대 입장-5
 6  특수목적고(특목고)와 자립형사립고 설립 반대 입장-6
 7  특수목적고(특목고)와 자립형사립고 설립 반대 입장-7
 8  특수목적고(특목고)와 자립형사립고 설립 반대 입장-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특수목적고(특목고)와 자립형사립고 설립 반대 입장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특목고 반대 측의 주장

2-①. 특목고의 목적 상실과 기능변질

2-②. 교육의 평등문제

2-③. 특목고 입학 및 성적 유지를 위한 사교육비용

2-④. 특목고의 값비싼 등록금

2-⑤. 부의 세습화 및 사회 양극화문제

3. 나가며

『참고문헌』
본문내용
2. 특목고 반대 측의 주장

2-①. 특목고의 목적 상실과 기능변질

대원외고의 설립을 시작으로 다양한 특목고들이 속속 세워지고 있다. 특목고의 개념이 생겨난 지 어느덧 30여 년이 흐르게 된 것이다. 초기에 특목고가 세워진 목적은 말 그대로 특수하다. 외고는 ‘외국어 능력을 바탕으로 창조적인 세계의 변화를 주도할 수 있는 유능한 국제인 양성’을, 과학고는 ‘글로벌 시대에 앞선 과학영재 조기 발굴 및 육성’을, 국제고는 ‘국제화·세계화를 선도하기 위한 인문·사회 계열의 인재 육성’을, 영재고는 ‘창의성을 조기 계발해 세계 수준의 과학 인력을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http://www.edbank.co.kr/tt/board/ttboard.cgi?act=read&db=info&page=1&idx=91
이런 거창한 목표를 가지고 설립된 특목고들이 과연 유능한 국제인을 육성하며, 과학 영재들을 길러내는 것일까. 물론 일정부분은 동감할 수 있다. 아무래도 특목고에 재학했던 학생이라면 일반고와는 차별된 커리큘럼으로 외고나 국제고에서는 더욱 많은 시간을 제 2, 3 외국어에 투자했을 것이며, 과학고나 영재고에서는 그 시간을 수학 및 과학에 할애했을 것이다. 그러나 목적에 부합하는 인재가 상대적으로 많이 양성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보면 그저 난감할 뿐이다.
우선 외고는 어찌 보면 출발부터 엉성하다고도 볼 수 있다. 어학 영재를 양성한다고 했는데, 정말로 어학 영재라는 개념이 존재할 수 있을까. 어학은 도구 과목으로서 기능한다. 국제화·개방화 사회에서는 어떤 과목을 전공했든 소통을 위해 필요하다면 어학을 활용하는 것인데, 있지도 않은 ‘어학 영재’라는 개념을 교육 목표로 상정하다 보니 교육이 이상한 방향으로 흐르게 된 것이다.http://h21.hani.co.kr/arti/special/special_general/26919.html
게다가 어학 영재를 기르겠다고 하면서 실제로 어학계열로 진학하는 외고생의 수가 타 계열 진학생 수의 총합보다 훨씬 적다는 점에서도 그 목적을 의심해볼 여지가 있다. 과학고나 예술고 등과 달리 외고의 경우 고교 때 전공과 상관없는 ‘명문대 인기학과’ 진학률이 비정상적으로 높다. 2009년 외고 졸업생 6768명 가운데 어문계열에 진학한 학생은 1689명(25%)에 불과했다. 나머지 75%는 비어문계열에 진학했으며, 인문사회계열(법이나 상경계열)이 60.1%로 가장 많았다. 이공계열 진학률도 9.2%를 차지했다. 외고에서 이공계열 진학이 나오는 실태를 볼 수 있는 것이다. 외고의 입시학원화 경향이 더욱 강해지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2744950
외고가 목적에 부합하는 인재를 육성하는 곳이 아니라, 명문대 및 인기학과 합격의 보증수표가 되고 있는 현실을 볼 때 안타까움이 그지없다. 특히 동일년도 서울대에 입학한 외국어고 출신 학생 10명 가운데 1명만이 어문계열 학과에 진학한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문헌
강영혜,「특수목적 고등학교 정책의 적합성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7.

김영빈·김계현, 『학업우수고교 학생들의 학업서열 하락과 자아개념, 정서의 관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9.

김은실, 『대치동 엄마들의 대원외고 합격전략』, 이지북, 2006.

류호기, 「현장에서 바라보는 공교육의 문제점과 대안」, 『한국 학교교육 현장의 문제 분석』, 한국교육포럼, 2003.

이용관, 「교육복지에서 멀어지는 한국 교육」, 『월간 복지동향』, 참여연대사회복지위원회, 2010.

진보신당, 「전국 60곳의 특목고와 자사고의 2008년 등록금·수익자 부담 경비 분석자료」, 2009.

http://www.edbank.co.kr/tt/board/ttboard.cgi?act=read&db=info&page=1&idx=91

http://h21.hani.co.kr/arti/special/special_general/26919.html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2744950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090304008015

http://ko.wikipedia.org/wiki/%ED%8A%B9%EC%88%98%EB%AA%A9%EC%A0%81_%EA%B3%A0%EB%93%B1%ED%95%99%EA%B5%90

www.snu.ac.kr, 2010학년도 대학신입학생 정시모집 결과 보도자료.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