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적해제]동사강목에 대한 서평

 1  [한국 사적해제]동사강목에 대한 서평-1
 2  [한국 사적해제]동사강목에 대한 서평-2
 3  [한국 사적해제]동사강목에 대한 서평-3
 4  [한국 사적해제]동사강목에 대한 서평-4
 5  [한국 사적해제]동사강목에 대한 서평-5
 6  [한국 사적해제]동사강목에 대한 서평-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 사적해제]동사강목에 대한 서평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동사강목의 의의

-동사강목서술을 통해 본 사학사상
본문내용
-동사강목서술을 통해 본 사학사상

일반적으로 근대 이전의 사서는 사료의 편찬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동사강목도 예외가 아니었다. 많은 사료를 원문 그대로 인용하고 있지만. 적어도 강목에서는 그 표현에 저자의 견해를 나타내는 용어로 바꿔 쓰고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저자의 견해가 반영되고 있기에 편찬이라는 용어가 적절하지 않기 때문에 서술이란 용어를 쓴다. 그러나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동사강목의 경우 서술과 편찬의 두 가지 특징을 공유하고 있으므로 경우에 따라 두 용어를 함께 쓰기로 한다.
안정복이 동사강목을 쓰게 된 동기는 무엇일까를 먼저 살펴보자. 자신이 지은 서문에서 그는 기존 사서에 대한 비판을 가하고 있다. 요컨대 그가 기존 사서에 대해 갖고 있는 불만은 첫째, 사료를 널리 구하지 않은 점, 둘째, 서술에서 요령을 잃는 점, 셋째, 의론에 어긋난 점, 넷째, 잘못된 서술과 신빙성 없는 서술 등이었다.
따라서 그는 사료를 널리 수집하고, 주자의 자치통감강목의 의례에 따라 사료 비판을 하여 쓰겠다고 말하고 있다. 실제로 그는 중국사를 널리 이용하고, 당시까지 거의 주목하지 않았던 일본 측 자료를 많이 보충하였고, 삼국유사와 동국여지승람 중에서 유물 유적의 자료를 이용하여 사료 수집에 많은 노력을 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강목 형식의 서술 방법을 택함으로써 사건의 줄거리와 그 내용을 강과 목으로 구분해 썼다. 이는 사학사적인 입장에서 볼 대 감동본미론의 선구적인 형식이라 할 수 있는 요령 있는 서술 형식이다. 그리고 지금가지 사서에 기록되어 왔던 신화와 설화는 믿을 만한 내용이 아니라 하여 철저히 삭제하였다.
또한 그는 동사강목의 서문에서 사가의 예를 밝혔다. 이는 그가 역사서술에서 가장 중시하여야할 바를 예거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점들이 기왕의 역사서에서 소홀히 다루어졌다고 생각한 것이 동사강목의 서술한 또 하나의 동기하고 할 수 있다.
통계를 밝힘에 있어 동국통감에서는 기록문헌이 적다는 이유로 단국조선으로부터 삼한까지를 외기로 처리하였고, 동사회편에서는 삼국의 건국부터 고려 말까지를 서술하였다. 이에 대하여 동사강목에서는 단국조선부터 고려 말까지 똑같은 강목 형식으로 서술하였으며, 각
참고문헌
한국근세사학사 정구복 지음. 경인문화사.
안정복의 역사의식과 동사강목의 의의.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