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문학사] 최찬식의 작품 추월색 연구

 1  [근대문학사] 최찬식의 작품 추월색 연구-1
 2  [근대문학사] 최찬식의 작품 추월색 연구-2
 3  [근대문학사] 최찬식의 작품 추월색 연구-3
 4  [근대문학사] 최찬식의 작품 추월색 연구-4
 5  [근대문학사] 최찬식의 작품 추월색 연구-5
 6  [근대문학사] 최찬식의 작품 추월색 연구-6
 7  [근대문학사] 최찬식의 작품 추월색 연구-7
 8  [근대문학사] 최찬식의 작품 추월색 연구-8
 9  [근대문학사] 최찬식의 작품 추월색 연구-9
 10  [근대문학사] 최찬식의 작품 추월색 연구-10
 11  [근대문학사] 최찬식의 작품 추월색 연구-11
 12  [근대문학사] 최찬식의 작품 추월색 연구-12
 13  [근대문학사] 최찬식의 작품 추월색 연구-13
 14  [근대문학사] 최찬식의 작품 추월색 연구-14
 15  [근대문학사] 최찬식의 작품 추월색 연구-15
 16  [근대문학사] 최찬식의 작품 추월색 연구-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근대문학사] 최찬식의 작품 추월색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1. 작가
2. 줄거리

3. 인물 연구
3. 1 작품 속의 전체 등장인물

3. 2 주요 인물의 성격
① 이정임

② 김영창

③ 강한영

④ 이시종

⑤ 그 밖의 인물들

3 .3 영웅적 주인공

3. 4 신학문과 신사상을 가진 인물들


4. 의 흥미성

4. 1 사건 진행의 전후 순서를 전도시킨 구조 및 추리적 구성법

4. 2 여학생의 등장

4. 3 정삼각형 연애구조

4 .4 선과 악의 대립 구조

5. 에 드러난 남녀이합(男女離合)

5. 1 헤어짐과 만남의 구조 그리고 행복한 결말

6. 에 나타난 근대의 모습

6. 1. 신세대의 등장
신여성의 옷차림

① 신여성, 여학생
② 신지식인
③ 모던보이
6. 2 당시 유행코드

① 남성의 유행

② 신여성의 유행
6. 3 신식결혼식과 청첩장

7. 의 한계

7.1 선∙악의 이분법과 우연성

7. 2 개화의식의 추상성

7.2.1 해외 유학의 계기

7.2.2 계몽의식의 장식성

8. 추월색의 의의

8. 1 구 조- ‘신’∙‘구’의 갈등

8. 2 문 체 - 인물 ∙ 배경의 현실적 묘사

8 .3 소재에 나타난 근대적 의식

9. 마치며


본문내용
② 김영창
정임의 정혼자로 민요(民擾)를 만나 부모를 잃지만, 스미트의 도움을 받아 영국으로 유학을 떠난다. ‘한 번 들은 말과 한 번 본 글자를 다시 잊지 않는 영특함’으로 훌륭한 청년 문학가로 성장한다. 영창 역시 정임과의 혼사 약속을 중시하여 정임의 생사를 알기 전까지는 다른 사람과 혼인하지 않는다. 우에노 공원에서 정임을 도와주는 장면을 통해서는 어려움에 빠진 사람을 용감하게 도우려는 그의 인간미를 살펴볼 수 있다.
③ 강한영
호탕하고 자유분방한 성품에 개화된 의식을 지닌 인물이다. 정임의 계속된 거절에도 꿋꿋하게 사랑을 고백하는 뻔뻔하리만치 호탕한 모습과 넉살을 보이지만,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지 못하는 가벼운 인물이다. 신학문을 배웠으나 그 뜻이 옅고, 정임에 대한 사랑도 순수한 것이기 보다는 정임의 외적 모습에 반한 것으로 여성편력이 지나친 인물이다. 방탕하고 반인륜적인 모습으로 그려진다.
④ 이시종
늦게 얻은 딸을 애지중지하는 이정임의 아버지이다. 기존의 윤리와 전통을 내면에 지니고 있으나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적응해 나가는 처신에 밝은 성격이다. 정임의 정혼자인 영창이 행방불명되자 딸의 행복을 위해 다른 곳으로 출가할 것을 요구한다.
⑤ 그 밖의 인물들
김 승지는 한말의 대표적인 무능한 관리의 모습을 대표한다. 스미트 박사는 기독교적인 박애사상을 가진 인물로 어려움에 빠진 영창을 구원해주는 인물이다. 당시 교양과 사회적 능력을 모두 갖춘 전형적인 영국 신사의 이미지를 보여준다. 정임의 외숙모는 구습을 개혁하고자 하는 진취적 성격의 여성으로 정임과 영창의 결혼식에서 신 결혼관에 대한 연설을 하기도 한다.
3 .3 영웅적 주인공
이 소설의 주인공인 정임과 영창은 용모가 수려하고 영특하며 고난을 극복할 줄 아는 용기있고 비범한 인물이다. 이러한 이상적 인물을 주인공으로 내세우는 것은 고전소설의 대표적 특징인 영웅적 주인공의 등장과 흡사하다. 이와 같이 영웅적 인물들이 전형적인 인물이 될 수밖에 없다는 단점을 감수하고서라도 작가가 영웅적 인물들을 창조한 것은 독자들의 기대 심리에 부응하여 그들에게 자기만족과 위안의 시간을 제공하고자 하였던 것이라 해석할 수 있다. 류승렬 1991
독자들은 정임과 영창을 통해 자신의 암담한 현실을 잠시나마 잊고 완벽하지 않은 삶으로부터 도피할 수 있었을 것이다. 완벽한 인물들이 모든 역경과 고난을 해결하고 행복에 이르는 고소설적 인물상과 줄거리는 당시 독자들에게 큰 사랑을 받았던 의 가장 큰 매력 중 하나이다.
3. 4 신학문과 신사상을 가진 인물들

참고문헌


김윤식 ,정호웅,「한국소설사」, (주)문학동네 , 2000
문흥구, ‘최찬식의 추월색 연구’,「성신어문학 제9집」, 동암어문학회, 1997
이숭원,‘최찬식의「추월색」고’,「국어교육」, 한국어교육학회, 1981
임종국,『한국인의 생활과 풍속(상)』민족문제연구소 엮음
이영순, 1977
권영민,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3
류승렬, 1991
김주리,『모던걸, 여우 목도리를 버려라:근대적 패션의 풍경』(서울:살림, 2005)
조이담․ 박태원 『구보씨와 더불어 경성을 가다』(서울:바람구두, 2005)
신명직,『모던뽀이, 경성을 거닐다:만문만화로 보는 근대의 얼굴』(서울:현실문화연구) 2003
박한용,『사진으로보는 서울2:일제침략아래서의 서울(1910~1945)』(서울: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2
조풍영,『서울잡학사전:개화기의 서울풍속도』(서울:정동), 1989
박영숙,『서양인이 본 꼬레아:한영 만남 200주년 기념』(서울:삼성언론재단), 1997
김은신,『(한권으로 보는)한국최초 101장면:우리 근대문화의 뿌리를 들춰보는 재밌는 문화기행』(서울:가람기획), 1998
이경민,『기생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근대기생의 탄생과 표상공간』 (서울:사진아카이브연구소), 2005
최찬식 외,『추월색․자유종․설중매』(서울:범우사), 19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