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비문학] 민요속 의식요

 1  [구비문학] 민요속 의식요-1
 2  [구비문학] 민요속 의식요-2
 3  [구비문학] 민요속 의식요-3
 4  [구비문학] 민요속 의식요-4
 5  [구비문학] 민요속 의식요-5
 6  [구비문학] 민요속 의식요-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구비문학] 민요속 의식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민요란?
● 민요속의 의식요
● 의식요와 무가
● 의식요의 갈래
1) 세시의식요
2) 장례의식요
3) 신앙의식요
● 맺음말
● 생각해보기
● 참고문헌

본문내용
● 민요란?
예로부터 서민의 생활 속에서 불리어진 노래를 말한다. 우리 민족의 심성과 정서를 솔직하고 소박하게 담고 있는 민족 정서의 결정체로서 민족의 생활. 감정. 풍습. 종교 등의 내용들이 깊이 표현되어 있는 음악이라 할 수 있겠다.

음악적인 측면으로서의 민요의 특징
첫째, 특정한 개인이 창작한 것이 아니거나 창작한 사람이 문제가 되지 않음.
둘째, 악보로 기록되어 전해지지 않으며, 입에서 귀로 전승된 음악이라 할 수 있음.
셋째, 엄격한 규범 형식이 없이 여러 지역이나 노래 부르는 사람에 따라 또는 같은 사람이 부르더라도 부를 때마다 조금씩 달라지기도 함.

즉, 민요는 배우지 않고도 스스로 터득하여 부를 수 있는 비교적 쉽게 따라 부를 수 있는 음악이라 할 수 있겠다.

● 민요속의 의식요
의식요란 의식을 거행하면서 부르는 민요를 말한다. 의식요에는 주로 사람의 일생에 따르는 통과의례와 일년 동안의 세시명절에 따르는 세시의례 및 불교의식, 무속의식, 속신의식 등의 신앙의례를 거행하면서 부르는 것이 있다. 이런 점에서 의식요의 작은 갈래는 의식의 변별성에 따라 세시의식요, 장례의식요, 신앙의식요로 나누어진다. 이 경우 특히 다른 영역과 겹치는 부분이 많다. 이를테면 의식과 노동이 겹쳐서 나타나는 장례 의식 같은 경우가 그렇고, 또 신앙의식도 생각하기에 따라서는 민요의 범주를 넘어서는 것도 있어서 문제되기도 한다. 그러나 무가나 불가의 경우 종교적 특수집단의 노래이나 민요로서의 의식요는 비전문적인 민중의 노래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다만 무가 ‘서우제노래'에서 민요화한 것이나 불가 ‘꽃 염불 노래'에서 민요화한 것 등은 의식요인 것이다.

참고문헌
구비문학의 이해 - 유영대 외 저 월인
우리민요선집 - 삼호출판사 편집부 저 삼호출판사
조선민요연구 - 고정옥 저 동문선
우리의 소리를 찾아서 2 - 의례요, 유흥요, 서사민요, 기타 민요 최상일 돌베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