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문화교육] 소학

 1  [전통문화교육] 소학-1
 2  [전통문화교육] 소학-2
 3  [전통문화교육] 소학-3
 4  [전통문화교육] 소학-4
 5  [전통문화교육] 소학-5
 6  [전통문화교육] 소학-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전통문화교육] 소학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Part 1. 小(작을 소) 學(배울 학)
1. 의미

2. 작자
3. 구조와 내용
1)서문과 통론
 2)본문
Part 2. 『소학(小學)』 연구
1. 『소학(小學)』의 연구동향[(1980년-2004년)(박종은, 2006)
2. 『소학(小學)』의 교육방법(도민재, 2008)
3. 『소학(小學)』이 조선시대에 끼친 교육적 의의(곽성기, 1988)
4. 『소학(小學)』 이 현대교육에 주는 시사점(조현규, 2000)
5. 주희가 제시한 소학, 대학 교육과정론의 일반 특성(황금중, 2002)
6. 『소학(小學)』 교육을 통해 함양되는 태도(신동은, 2004)
참고문헌
본문내용
2. 작자
주희(1130~1200) 유청지(1139~1195)
성리학을 집대성한 사람으로 자(字)는 원회(元晦), 중회(中晦) 이고, 호는 회암(晦庵), 회옹(晦翁)이다. 그는 북송오자라 불리는 주돈이, 소옹, 장재, 정호, 정이의 학설을 취합해 성리학의 체계를 구축한 인물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아동교육에 대한 관심도 지대했다. 그는 30대 중반에 『논어』학습에 어려움을 느끼는 초학자들을 위해 『논어훈몽구의』를 펴내기도 했다. 하지만 아동교육에 대한 관심은 그가 50대에 『소학』을 펴냄으로써 완결되었다. 송나라 임안(臨安) 출신으로 자는 자징(字澄)
이다. 지형주(知衡州), 원주지부(袁州知府) 등의 관직을 역임했으며 주희를 만난 뒤부터 본격적으로 성리학에 관심을 기울였다. 유청지는 일찍이 『훈몽신서』(訓蒙新書)라든지, 『계자통록』(戒字通錄)같은 아동용 서적을 편찬한 경험이 있었기 때문에 주희와 뜻을 같이해 훈몽서 편찬 작업을 하기에 안정맞춤이었다.
3. 구조와 내용

















[퇴계 이황의 『성학십도』 중 『제3소학도』]
1)서문과 통론
소학서제 '왜 소학서를 짓게 됐는가': 편찬의의
소학제사 주희의 교육에 대한 입장이 소개

 2)본문
내편(214장)
권 1 교육의 길(立敎) 교육의 기본적인 방침을 중심으로 서술
⦁ 입태잉지교(立胎孕之敎): 태교의 방법과 중요성
⦁ 입보전지교(立保傳之敎): 자식의 올바른 교육을 위해서
부모가 모범을 보여야 함
⦁ 입학교군정지교(入學敎君政之敎): 향삼물과 시서예악을 통한 가르침의 방법
⦁ 사제수수지교(師弟授受之敎): 선생님의 가르침을 배우는 제자된 자의 올바른 태도
참고문헌
참고문헌

도민재(2008). 전통사회 ‘小學’ 교육과 청소년 예절교육의 방향. 유교사상연구, 32, 275-297.
문미옥, 류칠선(2000). 소학에 나타난 아동교육론. 아동학회지, 21(1), 215-234.
박종은(2006). 『소학(小學)』의 연구동향과 과제. 교육연구, 20, 33-50.
신동은(2004). 『小學』의 교육적 원리 연구. 교육철학, 31, 45-80.
윤호창(2007). 小學. 서울: 홍익출판사.
조현균(2000). 朱熹『小學』의 교육철학적 의미. 교육철학, 18, 323-339.
최민애(2004). 『소학』의 현대적 의의와 초등학생 예절교육 활용방안.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황금중(2002). 性理學에서의 小學•大學 교육과정론. 한국사상과 문화, 17, 353-3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