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학사] 해외문학파 논쟁의 개괄과 평가

 1  [현대문학사] 해외문학파 논쟁의 개괄과 평가-1
 2  [현대문학사] 해외문학파 논쟁의 개괄과 평가-2
 3  [현대문학사] 해외문학파 논쟁의 개괄과 평가-3
 4  [현대문학사] 해외문학파 논쟁의 개괄과 평가-4
 5  [현대문학사] 해외문학파 논쟁의 개괄과 평가-5
 6  [현대문학사] 해외문학파 논쟁의 개괄과 평가-6
 7  [현대문학사] 해외문학파 논쟁의 개괄과 평가-7
 8  [현대문학사] 해외문학파 논쟁의 개괄과 평가-8
 9  [현대문학사] 해외문학파 논쟁의 개괄과 평가-9
 10  [현대문학사] 해외문학파 논쟁의 개괄과 평가-10
 11  [현대문학사] 해외문학파 논쟁의 개괄과 평가-11
 12  [현대문학사] 해외문학파 논쟁의 개괄과 평가-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문학사] 해외문학파 논쟁의 개괄과 평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1. 들어가며

2. 해외문학파란?

3. 해외문학파를 둘러싼 논쟁
1) 이념적 논쟁-임화와의 논쟁
2) 비 이념적 논쟁

4. 해외문학파의 한계와 의의
1) 해외문학파의 한계
2) 해외문학파의 의의

5. 나가며
본문내용

③ 번역된 사상과 문학, 논쟁하는 글쓰기
임화와 해외문학파는 조선의 신문학을 공통적으로 ‘이식의 문화’로 보았다. 그들은 독자의 순리에 따라 사회주의 서적과 외국서적을 읽었고, 문인이 되면서 각자의 작가의 윤리를 세운다. 그리고 이들은 자기가 수용한 외국사조속에서 문학을 펼친다. 그래서 이들에게 ‘번역’ 번역은 다시쓰기의 복잡한 과정이며, 이 과정은 사람들이 역사를 통해 획득한 언어와 타자성에 대한 종학적인 생각과 관련되어 있다. 출처: 조윤정, 위의 논문, p.391
은 매우 중요하다.
1920년대의 조선 독서계는 사회주의 서적이 주도하였다. 그만큼 사회주의 서적의 수요가 문학서적을 능가할 정도로 많았다. 이 책들은 사회주의자들이 사회주의 원본을 번역한 것이다. 그러나 이들은 사회주의를 자신의 언어로 전달하기보다 체계적으로 잘 정리된 맑스주의 원전이나 일본 사회주의자들의 책을 번역하여 대중에게 선전하려했다. 조윤정, 위의 논문, p.390
사회주의는 식민지 조선의 해방 의식에 큰 기여를 하였다. 그러나 프로문학파는 사회주의 이론을 일본으로부터 그대로 수용했으며, 그것을 조선의 상황에 맞게 주체적으로 해석하지 못하였다는 한계점을 가진다.
이러한 프로문학파의 한계를 해외문학파는 ‘모방적 직역적 국제주의’ 조윤정, 위의 논문, p.391
라고 비판한다. 해외문학파는 월등한 외국어 능력으로 ‘번역’의 분야에서 프로문학파를 앞서간다. 다양한 외국어를 모르는 프로문학파는 일본을 거쳐야만 해외의 사회주의 서적들을 읽고, 번역할 수 있었던 반면, 해외문학파는 원본을 가지고 번역했기 때문이다. 해외문학파는 원본이 어떤 것인지 경험해보지 못했던 사람들에게 ‘원본의 이미지’를 만들어낸다. 조윤정, 위의 논문, p.393
임화가 프로문학파의 비정치적 태도를 문제 삼았던 것과 달리, 이헌구를 비롯한 해외문학파는 시종일관 임화를 ‘번역가, 해석가’로서 문제 삼는다. 조윤정, 위의 논문, p.396
1933년에 작성된 이헌구의 「평론계의 부진과 그 당위」에서 임화는 이데올로기라는 척도로 독재를 행사하는 ‘정책평론의 아류’, ‘정밀한 조사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