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법교육론] 교육과정 상의 작문 교육 내용 체계와 변화 양상

 1  [국어문법교육론] 교육과정 상의 작문 교육 내용 체계와 변화 양상-1
 2  [국어문법교육론] 교육과정 상의 작문 교육 내용 체계와 변화 양상-2
 3  [국어문법교육론] 교육과정 상의 작문 교육 내용 체계와 변화 양상-3
 4  [국어문법교육론] 교육과정 상의 작문 교육 내용 체계와 변화 양상-4
 5  [국어문법교육론] 교육과정 상의 작문 교육 내용 체계와 변화 양상-5
 6  [국어문법교육론] 교육과정 상의 작문 교육 내용 체계와 변화 양상-6
 7  [국어문법교육론] 교육과정 상의 작문 교육 내용 체계와 변화 양상-7
 8  [국어문법교육론] 교육과정 상의 작문 교육 내용 체계와 변화 양상-8
 9  [국어문법교육론] 교육과정 상의 작문 교육 내용 체계와 변화 양상-9
 10  [국어문법교육론] 교육과정 상의 작문 교육 내용 체계와 변화 양상-10
 11  [국어문법교육론] 교육과정 상의 작문 교육 내용 체계와 변화 양상-11
 12  [국어문법교육론] 교육과정 상의 작문 교육 내용 체계와 변화 양상-12
 13  [국어문법교육론] 교육과정 상의 작문 교육 내용 체계와 변화 양상-13
 14  [국어문법교육론] 교육과정 상의 작문 교육 내용 체계와 변화 양상-14
 15  [국어문법교육론] 교육과정 상의 작문 교육 내용 체계와 변화 양상-15
 16  [국어문법교육론] 교육과정 상의 작문 교육 내용 체계와 변화 양상-16
 17  [국어문법교육론] 교육과정 상의 작문 교육 내용 체계와 변화 양상-17
 18  [국어문법교육론] 교육과정 상의 작문 교육 내용 체계와 변화 양상-18
 19  [국어문법교육론] 교육과정 상의 작문 교육 내용 체계와 변화 양상-19
 20  [국어문법교육론] 교육과정 상의 작문 교육 내용 체계와 변화 양상-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문법교육론] 교육과정 상의 작문 교육 내용 체계와 변화 양상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목차

Ⅰ. 한글 맞춤법
1.1 한글 맞춤법의 특성
1.2 한글 맞춤법의 내용
[1] 자모
[2] 소리에 관한 것
[3] 형태에 관한 것
[4] 띄어쓰기
[5] 그 밖의 것
Ⅱ. 표준어의 개념과 기능
2.1 표준어란 무엇일까?
2.2 표준어의 기능
2.3 표준어의 내용
[1] 발음 변화에 따른 표준어
[2] 어휘 선택의 변화에 따른 표준어
Ⅲ. 문제풀이
[1] 교재 풀어 다지기 (378쪽)
[2] 조원 제작 문항 및 풀이
Ⅳ. 질의응답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정답 및 해설】강낭콩, 윗도리, 상추, 미숫가루, 으레, 아지랑이, 돌, 둘째, 열두째, 미장이, 멋쟁이, 무, 쇠고기/소고기, 머무르다/머물다, 횟수
① 강낭콩 : ‘강낭콩’은 중국의 강남(양자강 이남)에서 온 콩이라 하여 원래 ‘강남콩’으로 불렸지만 ‘강남콩’이 가지는 어원적 의미가 많이 퇴색되어 ‘강낭콩’으로 쓰이게 되었다. 어원에서 멀어진 형태로 굳어져서 널리 쓰이는 것은 그것을 표준어로 삼는다.
② 윗도리 : ‘웃-’ 및 ‘윗’은 명사 ‘위’에 맞추어 ‘윗-으로 통일한다. 다만, 위, 아래 대립이 없는 단어는 ‘웃-’으로 표기한다. 윗도리는 윗도리와 아랫도리로 위, 아래 대립이 있으므로 ‘윗’으로 표기한다.
③ 상추 : 모음의 발음 변화를 인정하여, 발음이 바뀌어 굳어진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
④ 미숫가루 : ‘미숫가루’의 ‘미수’ 원래 발음은 ‘미시’였다. ‘미싯가루’의 ‘ㅣ’모음이 발음상 ‘ㅜ’발음으로 변화하여 ‘미숫가루’로 불리게 되었다. 모음의 발음 변화를 인정하여, 발음이 바뀌어 굳어진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
⑤ 으레 : 모음이 단순화한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
⑥ 아지랑이 : ‘ㅣ’모음 역행 동화 현상에 의한 발음은 원칙적으로 표준 발음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⑦ 돌 : 어린아이가 태어난 날로부터 한 해가 되는 날, 생일, 주기
⑧ 둘째 : ‘제 2, 두 개째’의 뜻
⑨ 열두째 : 다만, 십 단위 이상의 서수사에 쓰일 때에는 ‘두째’로 한다.
⑩ 미장이, ⑪ 멋쟁이 : 기술장이에게는 ‘-장이’, 그 외에는 ‘-쟁이’가 붙는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
⑫ 무 : 준말이 널리 쓰이고 본말이 잘 쓰이지 않는 경우에는 준말만을 표준어로 삼는다(제3절 14항)
⑬ 쇠고기/소고기 : 복수표준어. 쇠고기를 원칙으로 하고 소고기도 허용한다.
⑭ 머무르다/머물다 : 준말과 본말이 다 같이 널리 쓰이면서 준말의 효용이 뚜렷이 인정되는 것은 두 가지를 다 표준어로 삼는다. ‘머무르다’는 본말이고 이의 준말인 ‘머물다’역시 다 같이 널리 쓰이면서 표준어로 삼는다.
⑮ 횟수 : 한자어로만 된 합성명사에는 사이시옷을 적지 않지만, 다음 한자어에는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는다.(곳간, 셋방, 숫자, 찻간, 툇간, 횟수 등)

7. 다음 예문 중에서 띄어쓰기가 바르게 된 번호를 찾고, 틀린 곳은 바르게 고치시오.
① 눈 같이 흰 목련화가 피었다.
② 그 아이는 샛별같은 눈을 가졌다.
③ 비가 올 것 같다.
④ 당신과의 약속 대로 내일 여행을 떠납시다.
⑤ 이 약은 쑤시는데 바르는 약이다.
⑥ 10여일 간 비가 계속 내렸다.
⑦ 날씨가 많이 추워 졌다.
참고문헌
Ⅴ. 참고 문헌 및 출처

1. 단행본
김혜숙(2005),「우리말글 교육의 모습과 쓰임」, 월인
김혜숙(2007),「(모도리가 떠나는)국어학과 국어교육 여행 」,월인
이희승·안병희(2010),「새로 고친 한글 맞춤법 강의」, 신구문화사
이희승 외(2010), 「한글 맞춤법 강의」, 신구문화사
강희숙(2003), 「국어 정서법의 이해」, 역락
이호권․고성환(2007), 「맞춤법과 표준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임지룡 외(2009), 「학교 문법과 문법 교육」, 박이정
이기문․이호권(2008), 「국어사」,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 인터넷 사이트
국립국어원(www.korean.go.kr) 어문규정
우리말 배움터(http://urimal.cs.pusan.ac.kr/urimal_n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