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돈이사상비판

 1  주돈이사상비판-1
 2  주돈이사상비판-2
 3  주돈이사상비판-3
 4  주돈이사상비판-4
 5  주돈이사상비판-5
 6  주돈이사상비판-6
 7  주돈이사상비판-7
 8  주돈이사상비판-8
 9  주돈이사상비판-9
 10  주돈이사상비판-10
 11  주돈이사상비판-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주돈이사상비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一, 들어가는 말
二, 本體: 無極과 太極, 誠(神), 動靜과 生
三, 心性: 誠性과 剛柔之性
四, 工夫: 幾, 無欲(主靜), 思
五, 맺는 말
본문내용
一, 들어가는 말

우리에게 ‘濂溪’로 잘 알려진 周敦頤(1017-1073)는 『宋史』「道學傳」에서 도학의 창시자, 송명리학의 시조로 추앙되었다. 기실, 그는 북송 때에 지방의 미관말직에 머물렀으며, 중앙에서 활동하고 인정받던 학자도 아니었다. 그런 그가 이런 지위를 획득하게 된 까닭은 우선 程顥(明道)와 程頤(伊川) 형제의 영향이라고 판단된다. 정씨 형제는 송명리학을 정초시킨 중요 인물인 바, 그들이 바로 주돈이를 스승으로 모셨기 때문이다. 그들은 주돈이에게 배우던 시절에 ‘과거시험을 위한 공부’가 허망함을 깨달았고, ‘공자와 안연이 무엇을 즐거워했는지’ 탐구하게 되었다. 그러나 또한 그 뿐이었다. 정씨 형제는 주돈이의 학문에 대해 직접 언급하지 않았다. 오히려 형이상학적 관심이 지대했던 朱熹에 의해 더 높이 추숭되어 『太極圖說』과 『通書』가 널리 알려졌고, 그로 말미암아 상기한 지위가 주어졌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과연 주돈이의 이런 지위는 합당한 평가에 근거한 것인가? 역사적 측면에서 판단하는 것은 필자의 능력 범위 밖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오직 이론적인 측면, 특히 주요 개념이라는 측면에서 주돈이 사상의 체계를 비판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胡寶瑔(淸), 周子全書, 臺北: 武陵, 1990

勞思光, 新編中國哲學史(三․上), 臺北: 三民, 1981
陳郁夫, 周敦頤, 臺北: 東大, 1990
侯外廬 등, 宋明理學史(上), 北京: 人民, 1983
牟宗三, 心體與性體(一), 臺北: 正中, 1968
馮友蘭, 中國哲學史新編(5), 臺北: 藍燈, 1991
唐君毅, 中國哲學原論(導論篇), 臺北: 學生, 1986
陳來(안재호 역), 송명성리학, 예문서원, 1997
方東美, 新儒家哲學18講, 臺北: 黎明, 1983
하고 싶은 말
주돈이사상비판에 관한 레포트 입니다.

많은 도움 되세요~ ^^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