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군신화를 보는 시각

 1  단군신화를 보는 시각-1
 2  단군신화를 보는 시각-2
 3  단군신화를 보는 시각-3
 4  단군신화를 보는 시각-4
 5  단군신화를 보는 시각-5
 6  단군신화를 보는 시각-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단군신화를 보는 시각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目次
Ⅰ. 근대에 의한, 근대를 위한 단군신화
Ⅱ. 단일민족신화의 성과와 한계
Ⅲ. 민족사를 한국사로 다시쓰기
본문내용
Ⅰ. 근대에 의한, 근대를 위한 단군신화
단군은 우리에게 여전히 신화로 존재한다. 오늘의 한국인들에게 단군이 신화인 것은 고조선 건국신화의 주인공이기 때문이 아니라 단군을 신화로 만드는 표상체계 때문이다. 물론 문헌으로 전승된 고조선 건국신화 역시 그 표상체계의 일부를 구성하는 단위임에 틀림없지만 그것만으로 단군이 지금 우리에게 신화일 수는 없다. 곧 단군이 '자연스레' 민족의 기원으로 인식되는 데에는 다른 조건이 요청된다. 삼국유사 이래 다양한 문헌에서 전승되어 오던 단군신화는 한반도의 역사 속에서 시기와 상황, 시대적 가치관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되어왔고 수정이 되거나 첨삭되기도 했다. 고조선이 민족 최초의 국가이며 단군이 국조라는 인식의 궤는 고려시대에 유용하였던 신화를 근대시기의 요청에 맞게 재생산해낸 것이다. 국권피탈의 위기감과 한일합방의 절망감은 단군담론으로 가시화되고 이것은 국가, 민족, 역사 담론과 결부되어 이 시기의 역동성을 근간으로 소비되고 전유되었다. 흡사 김춘수 시인의 꽃이란 시에 등장하는 "내가 너를 꽃이라 부르기 이전에 너는 하나의 몸짓에 불과했다"란 구절의 그 이름 부르기와 같은 행위로 인식론적 전환을 한 '國祖단군'은 민족계보 구성을 위해 국조의 개념으로 해석되고 전유되다 민족종교의 신격인 종교적 주체로 변모하기에까지 이른다. 특히 이 시기에 대두된 단군은 '교과서'안에서 근대계몽기 교과서가 기실 단군보다 더 관심을 갖는 것은 국가를 위기에서 구한 영웅적 인물들이다. 안시성전투에서 당태종의 눈을 화살로 쏘아 중상을 입힌 양만춘의 일화나 당나라 소정방의 사죄에 관한 일화가 중국에 대한 독립의식의 산물로 강조되어 있다. 또 실질적인 식민화의 길로 접어든 이후인 1906년 교과서부터는 대일의식의 산물로 민영환 자결, 민비학살, 박재상 밀사 일화, 왕인박사에 대한 기록들이 교과서에 들어온다. 이들 모두 민족국가의 자존을 보증하는 상징적인 영웅들이고 민족적 위기의 산물이나 단군이 더 중요한 까닭은 이런 위대한 인물들의 기원에 좌정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 '교육행위'를 통해서, 소멸의 위기에 처한 '민족'이라는 역사적 장 위에서 소통되기 위해, 역사적 주체로 재생산되었다는 점에서 종래의 단군과 그 성격을 달리한다.
참고문헌

[참고 문헌]
단군신화 연구의 현황과 과제 -이정재(1996)
근대계몽기 단군신화 담론의 서사적 재현 -홍순애(2009)
근대계몽기 단군 신화의 탈신화화와 재신화화 -조현설(2005)
단기 연호, 개천절 국경일, 홍익인간 교육이념 -정영훈(2007)
다문화 사회에서 한국인은 누구인가? -김기봉(2007)
고대왕국의 풍경, 그리고 새로운 시선 -이근우(2006)
하고 싶은 말
단군신화를 보는 시각에 대한 레포트입니다.

좋은 성적 받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