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현대사] 대한제국기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관계연구

 1  [근현대사] 대한제국기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관계연구-1
 2  [근현대사] 대한제국기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관계연구-2
 3  [근현대사] 대한제국기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관계연구-3
 4  [근현대사] 대한제국기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관계연구-4
 5  [근현대사] 대한제국기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관계연구-5
 6  [근현대사] 대한제국기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관계연구-6
 7  [근현대사] 대한제국기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관계연구-7
 8  [근현대사] 대한제국기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관계연구-8
 9  [근현대사] 대한제국기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관계연구-9
 10  [근현대사] 대한제국기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관계연구-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근현대사] 대한제국기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관계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통상압력과 개항시기 한반도주변의 정세
ⅰ). 19세기 열강의 통상압력과 그에 따른 한반도 상황
ⅱ). 개항이후 급변하는 한반도정세

Ⅲ. 大韓帝國期 列强들의 한반도정책
ⅰ). 지역세력인 일본
ⅱ). 해양세력인 영국과 미국
ⅲ). 대륙으로 동아시아와 연결된 러시아
ⅳ). 대륙세력 독일과 프랑스

Ⅳ. 맺음말
본문내용

Ⅰ. 머리말
한반도를 얘기할 때 항상 빠지지 않는 말이 바로 “지정학적 위치”라는 말이다. 이는 한반도의 지리적 위치가 대륙세력과 해양세력의 교두보가 되는 지점에 위치하고 있어 항상 두세력간의 힘의 균형지대에 있다는 말이다. 그러한 까닭에 두 세력간의 힘의 균형이 깨어지거나 혹은 한쪽이 월등하게 향상 또는 저하되면 언제나 힘의 충돌이 일어났던 것이다. 전자의 경우는 청․일전쟁(1894), 러․일전쟁(1904), 한국전쟁(1950)이 있으며, 후자로는 몽고의 일본정벌(1274, 1281), 임진왜란과 정유재란(1592~1598)이 있다.

특히나 19세기말에서 20세기초의 한반도 상황은 제국주의로 대표되는 세계사적인 흐름에서 러시아, 중국의 대륙세력과 일본, 영국, 미국의 해양세력 속에서 온전히 자존을 지켜내지 못한 체 끊임없는 개항압력에 시달리게 되고 결국은 준비도 되지 않은 상태에서 문호를 개방하고 말았다.
한국 역사상 국제법에 따른 최초의 근대적인 협약은 운요호(雲楊號)사건으로 말미암아 체결된 1876년의 朝․日조약(강화도조약)으로, 이는 단순히 국가간에 체결된 협약이라는 의미를 넘어 그동안 쇄국일변도였던 조선이 최초의 개항을 했다는데 더 큰 의의가 있는 것이다. 이를 필두로 1882년 朝․美조약(朝美修好通商條約)이 체결되었으며, 이후 불과 몇 년 사이 여러나라들과 수교하여 1886년 이후에는 동양의 청, 일은 물론 이거니와 서양의 열강이던 영국, 프랑스, 러시아, 독일, 미국과도 모두 수교하게 된다.
참고문헌
구대열 著, 『한국 국제관계사 연구1 -일제시기 한반도의 국제관계-』. 역사비평사, 1995.
洪淳鎬 著, 『韓國國際關係史理論 -時代狀況의 力學構造-』, 大旺社, 1993.
董德模 著, 『韓國의 開國과 國際關係』, 서울대학교출판부, 1980.
崔文衡 著, 「列强의 對韓政策과 韓末의 情況 -특히 1882年~1894年의 美․英․露의 態度를 중심으로-」, ꡔ淸日戰爭을 前後한 韓國과 列强ꡕ, 韓國精神文化硏究, 1984.
金源模 著, 『近代韓美交涉史』, 弘盛社, 1979.
申採湜 著, 『東洋史槪說』, 三英史, 1993.
韓國政治外交史學會, 『韓佛外交史』, 평민사, 1987.
韓國史硏究協議會, 『韓佛修交100年史』, 韓國史硏究協議會, 1986.
韓國史硏究協議會, 『韓英修交100年史』, 韓國史硏究協議會, 1984.
韓國史硏究協議會, 『韓露關係100年史』, 韓國史硏究協議會, 1984.
韓國史硏究協議會, 『韓獨修交100年史』, 韓國史硏究協議會, 19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