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교육과정발달사와 7차에서 강조한 학습방법

 1  사회과교육과정발달사와 7차에서 강조한 학습방법-1
 2  사회과교육과정발달사와 7차에서 강조한 학습방법-2
 3  사회과교육과정발달사와 7차에서 강조한 학습방법-3
 4  사회과교육과정발달사와 7차에서 강조한 학습방법-4
 5  사회과교육과정발달사와 7차에서 강조한 학습방법-5
 6  사회과교육과정발달사와 7차에서 강조한 학습방법-6
 7  사회과교육과정발달사와 7차에서 강조한 학습방법-7
 8  사회과교육과정발달사와 7차에서 강조한 학습방법-8
 9  사회과교육과정발달사와 7차에서 강조한 학습방법-9
 10  사회과교육과정발달사와 7차에서 강조한 학습방법-10
 11  사회과교육과정발달사와 7차에서 강조한 학습방법-11
 12  사회과교육과정발달사와 7차에서 강조한 학습방법-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추천자료
  • 사회과교육과정발달사와 7차에서 강조한 학습방법
  • 교사용 지도서 성격,구성, 교사용 지도서 유의점, 교사용 지도서 내용, 교사용 지도서 활용사례, 교사용 지도서 활용전략, 교사용 지도서 시사점
  • 사회과 수준별수업(교육과정, 학습) 교수학습중점, 사회과 수준별수업(교육과정, 학습) 평가, 사회과 수준별수업(교육과정, 학습) 제고 방안
  • 사회과(사회수업,사회교육)개념,특징, 사회과(사회수업,사회교육)목표, 사회과(사회수업,사회교육)수업방향,학습내용, 사회과 교수기법,제고방향
  • [수업관찰]수업관찰의 의미,과정, 사회과(사회과교육) 수업관찰방법, 도덕과(도덕과교육) 수업관찰방법, 수업관찰의 분석적방법,적용과제
  • 초등학교 사회과(사회과교육)교과목표, 초등학교 사회과(사회과교육)수준별교육과정,통일교육,경제교육, 초등학교 사회과(사회과교육)교수학습방법
  • 사회과 수준별수업(교육과정,학습)교수학습, 사회과 수준별수업(교육과정,학습)운영실제,학습자료, 사회과 수준별수업(교육과정,학습)문제점,해결방안
  • 학습지도 이론, 학습지도 원리, 학습지도 방법, 수학과교육,국어과교육 학습지도, 사회과교육,실과과교육 학습지도, 도덕과교육 학습지도 분석
  • 국어과,수학과 수준별학습자료(지도자료), 사회과,과학과 수준별학습자료(지도자료), 경영대요과 수준별학습자료(지도자료), 실업가정과 수준별학습자료
  • 국어과교육,영어과교육 학습전략, 사회과교육 학습전략, 미술과교육 학습전략, 과정중심쓰기학습전략, ICT(정보통신기술)활용학습전략, 토론학습전략
  • 소개글
    사회과교육과정발달사와 7차에서 강조한 학습방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ꋎ 우리나라 사회과 교육 과정 발달사
    1. 교수요목의 시기 (1946~1954) : 사회과의 도입
    2. 제 1차 교육 과정의 시기 (1954~1963) : 사회과의 시작
    3. 제 2차 교육 과정의 시기 (1963~1973) : 사회과의 정착
    4. 제 3차 교육 과정의 시기(1973~1981) : 사회 과학으로서의 사회과
    6. 제 5차 교육 과정의 시기 (1987~1992) : 사회과의 성숙
    7. 제 6차 교육 과정의 시기 (1992~1997) : 통합 사회과의 구축
    8. 제 7차 교육 과정기 (1997~)

    ꋏ 제 7차 교육 과정에서 강조한 학습 방법과 그 이유
    - 수준별 교육 과정의 편성 ․ 운영


    - 사회과 심화‧보충형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 방향
    본문내용
    ꋎ 우리나라 사회과 교육 과정 발달사

    1. 교수요목의 시기 (1946~1954) : 사회과의 도입

    한국의 사회과는 1946년 미군정하에서 미국의 콜로라도 주의 Social Studies를 초등학교 교수 요수요목에 도입함으로써 성립하였다. Social Studies를 ‘사회 생활’로 번역하여 사용하였으며, 이는 공민, 지리, 역사, 실업을 총합한 교과로서 사회 생활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기본적인 교양을 내용으로 하였다. 이 시기의 사회과는 교과의 지식 체계를 중심으로 영역별 체계가 뚜렷하게 드러났으며, 각 영역별 내용은 사실적 지식을 중학생의 생활 경험에 맞추어 조직하였다. 중학교 교수 요목은 1,2,3 학년에 걸쳐 공민, 역사, 지리 영역으로 나뉘어 조직되었으며, 목표도 공민, 역사, 지리로 나누어 진술되어, 이른바 ‘川’자 형의 배열을 이루었다.
    표 - 교수 요목기의 사회과 편제

    2. 제 1차 교육 과정의 시기 (1954~1963) : 사회과의 시작

    새로 제정된 사회 생활과 교육 과정은 교수 요목기에 비하여 지적 체계를 극히 존중하는 “교과 중심 교육 과정”의 특징을 지니고 있었다. 그러나 미국 Social Studies의 진보주의 교육관의 영향을 강력하게 받아 경험 중심 교육 과정을 동시에 지향하고 있으므로 제 1차 교육 과정은 교수 요목의 연장선상에 있다고 보겠다. 중학교 사회는 1,2,3학년에 걸쳐 지리, 역사, 공민으로 나누어 조직되고 있어, 이른바 ‘川’자 형의 3분법이 공식화되었다. 편제상의 분과와 함께 목표 지술도 각 부분별로 이루어졌으며 시간 배당, 지도 내용도 각 부분별로 제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