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어학 동동

 1  인문어학 동동-1
 2  인문어학 동동-2
 3  인문어학 동동-3
 4  인문어학 동동-4
 5  인문어학 동동-5
 6  인문어학 동동-6
 7  인문어학 동동-7
 8  인문어학 동동-8
 9  인문어학 동동-9
 10  인문어학 동동-10
 11  인문어학 동동-11
 12  인문어학 동동-12
 13  인문어학 동동-13
 14  인문어학 동동-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문어학 동동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목차
1. 서론
2. 본론
2.1 원문과 현대역
2.2 동동 분석
2.2.1. 동동의 유래
2.2.2. 작자에 대한 고찰
2.2.3. 동동과 장생포의 관계
2.2.4. 동동무
2.3. 동동 내용 연구
2.3.1. 제목에 대하여
2.3.2. 구조와 형식
2.3.3. 어석
2.3.4. 주제
3. 결론
4. 동동이 나에게 갖는 의미
1. 서론
동동은 『악학궤범』 제 3권 고려사 악지 속악정재에 노래하는 절차가 있고, 제 5권 성종조 향악정재 도의에 이란 노래 연주에 따른 노래말이 춤과 함께 기록되어 있다. 그것은 두 손에 상아(象牙)로 만든 소형의 박(拍)을 치면서 춤춘데서 바뀌어진 것이다. 즉 원래의 이름은 가사에서 지은 것이고, 아박(牙拍)의 이름은 그 무구(舞具)에서 붙여진 것이다. 그리고 『대악후보』에 노래말은 없고 “動動 (餘音井邑餘音界面調)”란 제목으로 여음의 가락이 4행강이 있으며, “動動指入舞童牙拍呈才女妓呈才同”이란 제목으로 40행강의 가락이 나타나 있다.
동동의 형식은 전편 13장으로 된 연장체(聯章體)로, 첫머리의 서장(序章)을 제외하고는 달거리(月令體)로 되어 있다. 이제까지 동동에 대한 연구는 그 유래와 작자, 내용과 어석, 동동무 등 다양하게 진행되었다. 그러나 오랫동안 다방면에 걸친 연구가 진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의견이 분분할 뿐 어떤 결론도 명확하게 내려지지 않았다.
이번 발표에서는 그간의 연구결과들을 검토하여 동동에 대한 논의와 동동 내용연구로 나누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동동에 대한 논의에서는 동동의 유래, 작자층에 대한 고찰, 동동과 장생포의 관계, 동동무 에 관한 연구들을 살펴본다. 이어 동동 작품에 대한 내용 연구에서는 동동의 제목, 구조와 형식, 어석, 주제를 다양한 견해를 아우르며 살펴보기로 한다.
2. 본론
2.1. 원문과 현대역
動動
德으란 곰예 받고
福으란 림예 받고
德이여 福이라 호
나라 오소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