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도덕교육론]길리건과 상호성 훈련

 1  [초등도덕교육론]길리건과 상호성 훈련-1
 2  [초등도덕교육론]길리건과 상호성 훈련-2
 3  [초등도덕교육론]길리건과 상호성 훈련-3
 4  [초등도덕교육론]길리건과 상호성 훈련-4
 5  [초등도덕교육론]길리건과 상호성 훈련-5
 6  [초등도덕교육론]길리건과 상호성 훈련-6
 7  [초등도덕교육론]길리건과 상호성 훈련-7
 8  [초등도덕교육론]길리건과 상호성 훈련-8
 9  [초등도덕교육론]길리건과 상호성 훈련-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초등도덕교육론]길리건과 상호성 훈련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길리건과 상호성 훈련
Ⅰ. 여는 글
중고등학생 시절, 따분하고 지루하게만 느껴졌던 교과서 속의 철학자들의 이야기는 그저 성적을 올리기 위해 암기해야만 하는 대상에 불과했다. 그 분들이 얼마나 위대한지를 깨닫기까지 생각보다 오랜 시간이 걸렸다. 역설적이게도, 교과서를 벗어났을 때 교과서 속의 인물들이 얼마다 대단한지를 실감하는 듯 했다. 교과서는 아니었지만, 참고서 한 켠에 작은 이름으로 존재했던 ‘캐롤 길리건’의 윤리가 이토록 나에게 새로운 울림을 줄 것이라고는 미처 상상하지 못했다.
캐롤 길리건은 여성학에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반드시 알아야 하는 인물 중 한 명이다. 여성이기 때문에 그녀의 윤리가 공감할 수 있다고 하기 보다는, 종전의 지배적인 윤리인 콜버그의 윤리에 도전했다는 점과 새로운 시각으로 윤리를 바라볼 수 있게 해 주었다는 데에서 그녀의 위대함을 발견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콜버그가 제시한 여섯 단계수준의 윤리가 여성에게는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주장하였는데, 이는 여성이 보다 ‘관계적이고 배려적인 측면’을 중시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콜버그에 의하면 여성의 수준은 3단계인 좋은 소년 소녀 단계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이는 여성의 윤리적 수준을 남성보다 낮게 평가한 것으로 여성에게는 다른 윤리적 체계, 다른 윤리적 발달 수준이 존재한다는 것이 길리건의 주장이다.
이번 보고서 에서는, 길리건의 주장처럼 도덕성에 과연 성차가 존재하는지를 살펴보고, 초등학교 교육 현장에서 길리건과 나딩스의 배려 윤리가 어떤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는지를 탐구하고자 한다.
Ⅱ. 이론
가. 길리건의 배려 윤리 이론
미국의 여성 윤리학자 길리건은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에의 비판으로 ‘여성의 도덕발달’을 들어 인간관계의 보살핌, 애착, 책임을 강조하는 대인지향적인 여성의 도덕성 발달단계 3수준을 제시하고 있다.
서양사회에서 배려가 윤리적 가치를 적극적으로 인정받아 이에 대한 윤리학적 논의가 본격적으로 일어나기 시작한 것은 1982년 길리건이 ‘다른 목소리로’라는 저서를 내면서부터이다. 길리건은 서양의 기존 윤리관을 ‘남성중심의 성차별적 윤리관’으로 규정하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배려윤리를 주장하였다.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을 비판하며, 소년만을 대상으로 도덕성 발달단계를 설정하고 여기에 비추어 여성의 도덕적 발달이 남자에 비해 낮다고 규정한 점, 즉 성차별적 편견을 비판한다.
그녀에 따르면, 여성들은 인간 관계의 맥락 안에서 그들 자신들을 정의할 뿐만 아니라 따뜻하게 배려할 수 있는 그들의 능력이라는 견지에서 그들 자신을 판단한다고 한다. 아울러 여성들에게 있어서 도덕적 문제들은 경쟁적인 권리들보다는 오히려 ‘갈등적인 책임감’으로부터 나오는 것이며, 그것의 해결을 위한 사고의 양식도 추상적이고 형식적인 것이 아니라 상황적이고 화술적인 것을 요구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여성들은 남성들과 뚜렷하게 구별되는 도덕적 언어를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여성들이 사용하는 도덕적 언어의 문법과 어휘는 남성들의 것과는 근본적으로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길리건에 의하면, 도덕성은 ‘정의’와 ‘따뜻한 배려’라는 두 가지 상호 의존적인 요소들로 이루어져 있다고 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도덕적 문제들을 파악하는 특수한 방식을 나타내는 것이며, 동시에 각각의 요소들은 서로 다른 발달의 유형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즉, 콜버그가 그의 발달 이론에서 배타적으로 ‘정의’에 대해서만 관심을 기울인 것을 비판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