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 김광섭에 대하여

 1  이산 김광섭에 대하여-1
 2  이산 김광섭에 대하여-2
 3  이산 김광섭에 대하여-3
 4  이산 김광섭에 대하여-4
 5  이산 김광섭에 대하여-5
 6  이산 김광섭에 대하여-6
 7  이산 김광섭에 대하여-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이산 김광섭에 대하여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이산(怡山) 김광섭에 대하여
생애 및 활동사항
이산(怡山) 김광섭은 1905년 9월 22일 함경북도 경성군에서 아버지 김인준과 어머니 노옥동 사이에서 3남 3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어린 시절에는 한약방을 경영하던 조부의 덕택에 비교적 풍요롭게 지냈다. 하지만 6세 때 조부의 죽음으로 가세가 기울자 북간도로 이주하는 가족을 따라 타국에서 모진 고생을 겪고 1년 만에 돌아왔다. 이 후 그는 마을 서당에서 한문을 익히고 10세 때 경성공립보통학교 3년으로 편입해 이 학교를 마쳤다. 1920년에 서울로 올라와 중앙고보에 입학했으나 1학기를 마치고 중퇴하였고 2학기에 중동학교로 전학해 그곳을 졸업하고, 일본으로 건너가 愛知(아이치)의대에 응시한다. 그러나 학과시험에는 합격하였으나 신체검사에서 색맹임이 드러나 불합격 판정을 받고 만다. 결국 그는 의대 진학을 포기하고 이듬해인 1926년 와세다(早稻田)대학교 영문과에 입학한다. 이때 이 학교 신입생 환영식에서 같은 함경북도 출생인 이헌구와 만나 함께 지낸다. 1927년에는 와세다대학교 내의 조선인 동창회지 《R》을 발간하고, 여기에 시 「모기장」을 발표한다. 이듬해에는 정인섭과 만나 ‘해외문학연구회’에 가담하며 순문예지 《해외문학》, 《문예월간》의 창간에 관여하는 등 문학 활동에 깊이 발을 들여 놓으며 대학생활을 보내게 된다.
1933년 와세다 대학을 졸업하고 귀국한 그는 모교인 중동학교에서 영어교사로 부임하는데 이 때 극예술연구회 극예술연구회 : article_1 극연(劇硏)이라고도 한다. 1931년 홍해성(洪海星)·유치진(柳致眞)·서항석(徐恒錫)·김진섭(金晋燮) 등이 결성하였다. 창립 취지는 에 대한 일반의 이해를 넓히고 진정한 의미의 신극을 수립하는데 있었다. 처음에는 여름 연극강좌를 개최하여 이 방면의 계몽에 노력하였으며, 뒤에 실험무대(實驗舞臺)를 조직하여 실제로 공연활동을 전개하였다.
에 가담하여 서항석, 함대훈, 모윤숙, 노천명 등과 사귀게 된다. 해외 문학파의 후기 동인의 한 사람으로 동경에서 학업을 마치고 귀국한 후에도 영미문학의 수입 소개에 노력을 기울이다가 1935년에 접어들어 본격적인 시를 발표하였는데 1938년 제 1시집인 『동경』이 간행된다. 그러나 1941년 창씨개명을 거부하고 수업시간에 일제의 내선일체, 조선어 과목 폐지, 동아일보와 조선일보 폐간 등을 비판하는 발언으로 학생들에게 민족사상을 고취시켰다는 이유로 일제에 의해 구속되어 3년 8개월간 수감된다.
해방 이후 김광섭은 왕성한 사회활동을 벌인다. 민족진영문인들과 중앙문화협회를 창립하고 전조선문필가협회 총무부장, 조선신문인기자협회 총무부장, 미군정청 공무국장등을 역임했다. 1948년에는 정부수립과 더불어 초대 이승만 대통령의 공보비서관에 취임하기도 한다. 그리고 1949년 제 2시집 『마음』을 발간하고 1950년 『문학』창간호를 발간하지만 6ㆍ25 전쟁으로 인해 중단된다. 1952년에는 경희대학교 교수로 취임하여 시론ㆍ평론ㆍ문예사조사ㆍ수필론 등을 강의한다. 1955년에는 한국자유문학가협회 위원장에 선출되며 세계작가대회에 한국대표로 참석하여 한국을 정식 회원국으로 가입시킨다. 1957년 서울시문화상을 수상하고 국제 펜클럽 한국지부 부위원장에 선출되며 제 3시집 『해바라기』를 발간한다. 이후 세계일보 사장에 취임하고 제 29차 세계작가대회 한국대표단 단원으로 참석하기도 하며 국제 펜클럽 한국본부 부위원장에 선출되고 한국 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이사로 선출되는 등 문단에 큰 영향력을 가지게 된다.
1964년 『자유 문학』지(1956-1964)를 운영난으로 무기 정간하게 된 충격으로 고혈압 증세를 보였는데, 이듬해 서울 운동장에서 야구 구경을 하다가 뇌출혈로 졸도하여 일주일간 사경을 헤매게 된다. 그리고 의식을 회복하여 투병하던 중 1969년 제 4시집 『성북동 비둘기』를, 42년간 고락을 같이 한 부인이 사망한 1971년 제5시집 『반응』을 내었다. 1968년 68세에는 만해 문학상 심사위원을 지냈고, 69세에는 예술원상을 받았다. 이후『김광섭시전집』,『겨울날』,『나의 옥중기』를 발간했으며, 1977년 5월 23일 서울 중화동에서 별세하였다.
2. 시기별 작품경향
구 분
대표작품
특 징
초기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