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상문 역사를 살다 - 한신과 기장의 신앙고백

 1  감상문 역사를 살다 - 한신과 기장의 신앙고백-1
 2  감상문 역사를 살다 - 한신과 기장의 신앙고백-2
 3  감상문 역사를 살다 - 한신과 기장의 신앙고백-3
 4  감상문 역사를 살다 - 한신과 기장의 신앙고백-4
 5  감상문 역사를 살다 - 한신과 기장의 신앙고백-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감상문 역사를 살다 - 한신과 기장의 신앙고백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한신과 기장의 신앙고백
“‘역사를 살다’ - 한신과 기장의 신앙고백” 책을 읽으면서 나는 내가 지금 한신대학교 요람에서 왜곡되어지거나, 한 쪽으로 치우쳐진 신학이 아닌, 자유로운 신학을 공부 할 수 있음에 감사함을 느낀다. 훗날에 기장 목사가 되어가는 과정에서 흔들리지 않고 자랑스러운 정체성을 갖게 해주었다. 기장은 하나님께 선택받은 특별한 예언자적 사명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 민족사 속에서 그 누구도 하지 않은 이 땅의 정의와 진실, 그리고 평화를 위해 소리 없이 녹고 자기를 버리는 소금의 역할을 기장이 감당하였다. 고난 속에서 십자가를 지는 길이었음을 알면서도...
1. 요약
I. 새 시대를 꿈꾸는 창조적 소수자
제1부는 기장이 한국 교회 개혁의 주체적 교회 형성을 위해 1953년 박해와 고난 속에서 분립되기까지 과정을 정리하였다. 하나님 말씀의 권위를 회복하고, 교회를 교회되게 하기 위한, 신학해방운동으로 시작한 조선신학교 설립과 그 배후 주역들의 삶과 활동상을 논하였다. 기장은 교회들에 의해 설립되는 여타 대부분의 교단들과는 달리 신학 운동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이 신학 운동은 1940년에 서울에서 개교한 조선신학교를 그 일차적 결과물로서 만들어내었는데, 이 신학 운동과 학교가 기장이 기존의 예장과 갈라서게 되는 주요한 요인이 된다. 그 일련의 과정은 1945년에 일제 치하에서 해방을 맞이함으로서 본격화된다.
여기서 우리가 살펴보고 있는 기장, 그리고 그 모태에 있는 조선신학교는 여러 가지 면에서 주목할 만한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조선신학교는 먼저 외래 자본이 아닌 민족 자본으로 만들어진 학교라는 것에 큰 의의가 있다. 또한 그 설립 목적도 조선인 지도자를 양성하는 것에 두었다. 이것은 단순히 자주성의 문제에 국한되는 사안이 아니다. 이것은 미국 북장로교 선교사들로 대표되는 해외 선교사들로 인해 타성적이고 현실 도피적이며, 동시에 사대주의적, 근본주의적 성향을 지니게 된 한반도의 개신교 상황에 새로운 지평으로의 생명력을 불어넣는 선지자적 움직임이었다.
함태영 목사는 한국교회사에 있어서 3.1운동의 주역이었다. 또한 교회개혁의 선구자이자, 민주적 사회 건설자였다. 송암의 교역적 특징은 흔히 한국 교회의 목회자들이 주력하는 목양과 목회를 넘어 목민을 지향한 에큐메니칼 선교 활동에 있다. 송암의 목민영성은 참여적이며 화해적인 영성으로서 이 땅위에 정의와 평화 그리고 생태계가 보존되는 에큐메니칼 운동을 지향하였다.
금필헌(金必獻), 하나님께 드리는 거룩한 돈. 금필헌에 얽힌 신앙 3대(김대현 장로, 장남 김영철 장로, 차남 김영환 장로)이야기는 “조선인에 의한 세계적인 목회자 양성”을 위해 누구도 빼앗을 수 없는 금필헌 신앙의 귀한 열매요, 아름다운 믿음의 유산이다.
김재준의 신사참배에 대하여 저자는 김재준을 옹호한다. 교회 공동체를 지켜 나가기 위한 순응의 노선을 성숙한 차원에서 선택한 것이다. 신사참배를 하고 타협적인 노선으로 교육과 저술 활동을 통해 민족 계몽과 독립 역량을 고취한 민족운동도 한국 민족운동사에서 일정 한도를 인정해야 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