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장분열의 사회 경제적 배경

 1  기장분열의 사회 경제적 배경-1
 2  기장분열의 사회 경제적 배경-2
 3  기장분열의 사회 경제적 배경-3
 4  기장분열의 사회 경제적 배경-4
 5  기장분열의 사회 경제적 배경-5
 6  기장분열의 사회 경제적 배경-6
 7  기장분열의 사회 경제적 배경-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기장분열의 사회 경제적 배경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기장(基長)분열의 사회·경제적 배경
1.서 론
해방과 더불어 교단을 재건하는 과정에서 장로교단은 크게 3차에 걸쳐 내적 분열을 겪게 되는데 그중 두 번째인 기장 분열에 대해 박용규는 “결정적인 원인은 해방 후 전개된 신학논쟁, 특히 성경관 논쟁” 박용규「한국기독교회사 2」서울:생명의 말씀사, 2004. 952
으로, 민경배는 “신학, 좀 더 정확히 말해서 신학방법론 때문에 갈라진 분열” 민경배「한국기독교회사」서울:연세대학교 출판부, 1993. 529
로, 『한국기독교의 역사』 3권에서는 “조선신학교 학생 진정서 사건과 그 문제의 해결을 둘러싸고 전개된 교단 지도부 내의 교권투쟁 및 신학적 입장차이가 직접적 요인” 한국기독교역사학회「한국기독교의 역사」서울: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9. 89
이라고 서술하고 있어 한국교회사 내에서의 역사적 평가는 거의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기장분열을 단순히 신학논쟁으로만 이해하는 것은 해방이후 남, 북의 분단 및 단독정부 수립, 그리고 6.25 등 남, 북한간의 격렬한 대립상황 등 시대적 상황을 감안하지 않은 평면적인 이해라고 할 것이며, 또한 신학논쟁이 갖는 사회·정치적 의미를 도외시한 역사 이해라고 할 것이다.
즉 기장분열은 해방이후 남, 북의 분단 및 정치세력 재편과정에서 기독교계의 대응으로 나타난 기독교 세력의 정치적 재편과정이었으며, 오늘날 한국 기독교가 반공, 숭미(崇美)기독교라고 비판받게 되는 근본적인 원인이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시각에서 본 발제는 분열 당시의 상황을 간략하게 나마 살펴봄으로써 기장분열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한다.
2.해방이후 북한 정권하에서의 대응
(1)정치·경제적 성향
해방전 북한의 기독교계는 반사회주의, 반공산주의를 이미 명확히 하고 있었지만 지역에 따라 그 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즉 북한기독교 세력을 대표하던 미국 선교사들의 절대적인 영향력하에 있던 서북지역은 1940년도 통계는 장로교인의 약 65%가 북한 지역에 살고 있었으며, 북한 지역 전체 기독교인의 83.3%가 장로교인 이었고 이들 대부분은 평안남북도,황해도 등의 서북지역에 있었다. 북한지역 기독교 인구의 약 90%, 교회수의 약 82%, 교역자수의 약 83%가 서북지역에 편중되어 있었다고 한다.
김흥수·류대영「북한 종교의 새로운 이해」서울:다산글방, 2002. 66
신앙이 보수적일 뿐만 아니라 미국이라는 나라와 미국식 시장 자본주의에 경도되어 있었고 류대영「초기 미국선교사 연구」서울: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1. 211-263, ‘제4장 미국 팔기와 자본주의 전하기’ 부분을 참고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