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소외와 모던타임즈 - 글쓰기

 1  인간소외와 모던타임즈 - 글쓰기-1
 2  인간소외와 모던타임즈 - 글쓰기-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간소외와 모던타임즈 - 글쓰기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인간소외와 모던타임즈
영화 ‘이키루 : 살다’에 나오는 와타나베 씨는 돈을 벌기 위해서 자신의 일상, 시간에 속박되어 반복적인 일상을 보내다가 암 판정을 받고서야 그의 일생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뒤늦게 깨닫는 사람이다. 이러한 모습을 우리 주변 현실과 비교하면 어떨까. 돈을 벌기 위해서 자신의 꿈, 시간을 포기하고 돈을 벌기 위해서 기계처럼 움직이는 사람을 어떻게 바라보고 생각하는가. 일찍이 철학자 칸트는 ‘순수 이성 실천’을 주장했다. 주변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순수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활동을 정당하다고 보았다. 위의 철학자 칸트의 주장은 우리가 현실에서 마주하는 인간 소외 현상에 대해 의문을 품게 하고 우리가 추구해야 할 인간의 삶의 모습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한다.
찰리 채플린이 등장하는 영화 ‘모던타임즈’ 에서는 레일에서 반복적인 일을 하는 노동자들의 모습이 나타난다. 그는 공장에서 하루 종일 기계처럼 너트를 조이는 일을 한다. 공장의 사장은 공장의 효율을 위해서 철저한 감시를 한다. 뿐만 아니라, 음식을 입에 넣어 주는 기계까지 도입하려고 하였다. 기계에서 사람을 더 오랫동안 일을 부려먹기 위해서 만든 이 기계는 고장이 나서 도입하지 않았다. 인간이 단순히 기계처럼 일만 하는 존재란 말인가. 돈을 벌기 위해서 인간을 이렇게 속박시키는 사회 분위기가 안타까웠다. 억압과 스트레스가 얼마나 심하고 힘들었을까. 주인공 찰리는 공장에서 일을 하다가 나사와 비슷하게 생긴 것을 보게 되면 조이려고 하는 정신적 이상이 오게 되고 공장에서 쫓겨나게 되었다. 그는 정신 질환 치료를 하고 병원에서 나왔는데, 길가에 떨어져 있던 깃발을 주워서 시위대로 오인을 받는 바람에 감옥에도 갔다 오고 그 후에 조선소에서 일을 하는데 적응을 잘 하지 못하고 쫓겨나면서 점차적으로 사회에서 소외되었다. 그러던 어느 날, 빵을 훔치는 소녀를 만나게 되고, 찰리는 함께 도망을 친다. 그 후에, 찰리는 백화점 야간 경비로 일을 하게 되어서도 오래 하지 못하고 쫓겨났지만, 레스토랑에서 일하게 되었을 때 무국적어로 노래를 부르게 되는데 관중으로부터 극찬을 받는다. 사람들은 왜 노래 가사도 맞지 않는 무국적어의 노래를 좋아하였을까. 아마도, 그 전부터 말하지 않아도 사람들은 어떤 틀에서 벗어나고 싶었던 것은 아니었을까. 평소에 시간과 활동에 구속을 받던 사람들이 일정한 양식의 노래 가사를 집어던지는 찰리 채플린을 보고서 큰 희열을 느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극찬을 받음에도 소녀를 잡으려는 경찰관 때문에 도망쳐야 했다. 마지막에 그 둘은 잔디에 앉아 이야기를 하다가 소녀가 눈물을 흘릴 때 달래주는 모습, 태양이 비치는 길가로 손잡고 걸어가는 모습은 아무리 상황이 힘들더라도 각박한 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해서 인간 소외를 벗어나 행복을 찾아가는 모습이 아닐까. 아마도 상황이 안 좋게 바뀌어 가도 소녀를 계속 웃게 만드는 채플린을 보면 힘든 현실에서도 웃으려고 노력한다면 더 나아질 것이라는 것을 궁극적으로 표현하려는 것 같다.
우선, 찰리를 포함한 노동자들은 사회의 요구에 따라서 움직이는데, 스스로의 동기가 아니라 사회의 분위기와 당시의 흐름에 따라 움직이는 이러한 모습들은 사람들에게 행복을 가져다 주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나 역시 칸트처럼 사회가 요구해서 움직이는 인간이 아니라 스스로를 위해서 움직이는 인간이 행복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찰리 채플린과 와타나베씨가 다른 점이 있다면, 와타나베씨는 죽기 직전까지 일상의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였고, 기계처럼 맹목적으로 일만하던 사람이었다. 그래서 죽기 전, 자신이 꿈과 행복 없이 돈을 벌기위해서만 살아왔던 자신을 후회하는 장면이 나온다. 반면에, 찰리는 노래를 부르는 장면에서 틀을 벗어났고, 마지막에 희망을 가지고 앞으로 나아가는 모습을 보인다는 점에서 큰 차이가 있다. 우리는 앞으로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가. 나는 채플린처럼 우리에게 힘든 상황이 우리를 구속하고 힘들게 하더라도 웃으려고 노력하고 희망을 가지고 살아가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 틀에서 벗어나 ‘사회가 요구하는 인간’이 아니라 ‘인간이 요구하는 사회’로 만들기 위해서 자신의 행복과 꿈을 위해서 노력하는 인간이 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