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바 메 키치의 교육사상 생의 철학의 계보

 1  치바 메 키치의 교육사상 생의 철학의 계보-1
 2  치바 메 키치의 교육사상 생의 철학의 계보-2
 3  치바 메 키치의 교육사상 생의 철학의 계보-3
 4  치바 메 키치의 교육사상 생의 철학의 계보-4
 5  치바 메 키치의 교육사상 생의 철학의 계보-5
 6  치바 메 키치의 교육사상 생의 철학의 계보-6
 7  치바 메 키치의 교육사상 생의 철학의 계보-7
 8  치바 메 키치의 교육사상 생의 철학의 계보-8
 9  치바 메 키치의 교육사상 생의 철학의 계보-9
 10  치바 메 키치의 교육사상 생의 철학의 계보-10
 11  치바 메 키치의 교육사상 생의 철학의 계보-11
 12  치바 메 키치의 교육사상 생의 철학의 계보-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치바 메 키치의 교육사상 생의 철학의 계보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개요〉 본장은 다이쇼 신교육의 사상가· 실천가인 치바 메키치의 교육사상을 1910년대 말부터 1920년대 초의 초기사상에 한정해서 고찰한 것이다. 치바의 이름은 8대 교육주장의 강연자로서 알려져 있는데, 그 교육사상은 충분히 연구되어 있지 않다. 치바의 초기 교육사상은 문제해결형 학습론부터 일체충동개만족론(一切衝動皆滿足論)에 이르기까지 독특한 생명사상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문제해결형 학습론에서 치바는 생명에 고유한 활동으로서 문제해결을 기반으로 학습활동을 생생하게 다시 그렸다. 일체충동개만족론에 있어서는 치바는 충동이라고 하는 생명의 근원적인 힘으로 거슬러 올라가서 자기긍정을 생명활동의 기초로 찾아냈다. 일체충동개만족이라고 하는 것은 충동의 자기긍정성에 의거해서 대립하는 충동군에 연대관계를 구축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치바는 아이들에게 힘의 단순한 결여가 아니라 생명의 잠재 세력을 찾아내서 잠재적인 힘의 현동화(現化)에 교육이라는 영위의 본질을 찾고 있었다.
#300
1.들어가며
본장은 다이쇼 신교육의 사상가· 실천가인 치바 메키치(1887-1959)의 교육사상을 1910년대 말부터 1920년대 초의 초기사상에 한정해서 고찰한 것이다. 치바의 이름은 8대 교육주장에 있어서 ‘일체충동개만족론’의 제창자로서 알려져 있는데, 그 교육사상은 충분히 연구되어 있지 않다. 치바의 사상은 듀이, 베르그송, 니체, 히라타 신토(平田神道) 등의 영향을 받은 생명사상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본장에서는 생명의 힘을 전면적으로 긍정하는 그 생명사상에 초점을 맞춘다. 먼저 선행연구를 검토한다. 현시점에서 치바에 대한 가장 포괄적인 연구는 호리마츠(堀松)이다(2003). 호리마츠는 치바의 사상배경으로서 베르그송과 일본 신도(神道)의 영향을 지적하고 있다(131-3페이지). 특히 치바는 다이쇼3년에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창조적 진화』의 영문 번역을 읽고 깊은 감명을 받았다고 한다(131페이지). 단 호리마츠(2003)는 인문연구의 관점에서 치바의 사상과 실천의 변천을 연구했기 때문에 이 점에 관해서 충분한 고찰은 이루어져 있지 않다.
베르그송과 일본 신도(神道)의 영향에 대해서 가장 깊이 있는 연구는 기쿠치(菊池)이다(1994). 기쿠치는 ‘일체충동개만족론’이 제창되는 이전의 치바의 저작에 해당되고 히라타 신도가 가져다 준 영향을 지적하고 있다. 치바는 일본 신도의 ‘생명의 연속성’의 관념과 베르그송의 ‘지속’의 관념과의 사이에 유사성을 발견했다고 일컬어진다(149-51페이지). 단 기쿠치는 베르그송보다도 일본 신도(神道)에 끌려서 치바의 사상을 해석해서 본장의 입장과는 대조적이다. 본장은 치바에 대한 일본 신도 그 외의 영향을 경시하는 것은 아니지만, 오히려 치바의 생명사상을 베르그송과 니체의 ‘생의 철학’의 계보에 접속한다. 그것에 의해 치바의 생명사상의 잠재력을 최대한으로 평가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301
단 본장에서는 우회로를 선택한다. ‘생의 철학’을 다른 방법으로 계승한 돌즈의 논의에 주목하고 싶다. 돌즈의 철학을 참조해서 치바의 생명사상이 내포한 풍부함과 그 난점을 명확하게 분석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앞서 말하면, 그 난점은 신교육사상에 싹튼 ‘기능주의’로 ‘생의 철학’이 길들여진 사태로서 분석될 것이다.
2. 생명과 문제해결
먼저 초기의 주요저작 『창조교육의 이론 및 실제』와 『창조교육-자아표현의 철학』(이하 『이론 및 실제』, 『자아표현의 학습』)을 중심으로 치바의 ‘창조교육’론의 기본적인 특징을 파악한다. 치바의 교육사상은 ‘창조’와 ‘독창’을 중심개념으로 하고 있다. 창조라는 것은 그 경우에 불만을 느끼는 생명이 새로운 경우를 만들어내는 것에 의해 만족으로 이르는 과정이라고 여긴다 (『이론 및 실제』 3-8페이지). 창조는 시점에 생명의 불만을, 종점에 생명의 만족을, 그 동인에생명의 충동을 둔 목적적인 문제해결 과정으로서 이해되고 있다. 치바는 생명의 문제해결 활동으로서 학습과정을 파악하고 그 기구에 의거해서 교수과정을 세운다. 참조되는 것은 듀이를 비롯한 영어권의 교육사상이다. 치바의 교수이론의 기본적인 구성은 구미의 문제해결형 학습론에 의거하고 있다. 치바는 학습의 진행과정을 자료수령 문제발견 문제구성 문제해결 창조발달로서 정리하였다(『자아표현의 학습』 433-8페이지). 해결안을 발표한다. 치바는 아이들이 스스로 문제를 ‘발견’ · ‘구성’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그러한 점들을 학습과정에 명확하게 위치매김하였다.
#302
치바는 문제해결을 생명에 본래적인 활동이라고 간주하였다. 그리고 아이들 스스로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에 몰두하는 ‘동기’를 ‘자기생명진전의 경우를 창조한다’라고 하는 생명의 자발적 요구에 기반한다(『이론 및 실제』 177페이지). 생명은 스스로를 계속 살리기 위해서 경우의 개선을 시도하고 생명의 요구의 만족을 목표로 한다. 문제를 묻는 것 자체가 경우 개선을 위한 수단으로서 위치매김되어 실효적인 문제해결이 지향된다(46페이지). 생명에 의한 자발적인 문제의 제기와 해결은 생명에 대해서 외부로부터 부과되는 목적합리성에 의거하는 것이 아니라 생명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려고 하는 내적인 목적합리성을 추구하는 것으로서 파악되고 있다. 이러한 견해들을 축으로 해서 치바의 초기교육론의 기본적 특징이 도출된다, 첫째, 양명학에서 말하는 ‘지행합일’이 문제해결을 위해 ‘잘 생각해서 잘 행동한다’라는 점에서 ‘프래그머티즘’과 동일시된다(25-6페이지). 지행합일이 강조되는 것은 치바의 최초의 저작 『지행합일고사혁신에 관한 연구』이래 일관되고 있다. 치바에게 있어서 사고와 행동은 모두 문제해결의 전체적인 과정 속에 위치매김되어 상보적으로 연관하는 것에 의해서 문제해결에 공헌해야 한다. 행동이 없는 사고와 사고가 없는 행동은 치바에게 있어서 반복되어 비판받는다. 둘째, 창조는 ‘예술’에 의한 경우의 ‘지배’로서 이해되고, 창조에는 기술적인 솜씨와 효율성이 요구된다. 새로운 경우의 창조가 이루어지는 것은 모든 경우의 요소들을 통제하는 것에 의해서인만큼 경우에 작용할 때의 ‘エフイセンシイ ?’가 문제해결 과정을 평가하는 관점으로서 제시된다(『이론 및 실제』 312페이지). 셋째, 문제해결은 생명을 진전시키기 위한 활동인 이상, ‘공리성’으로서의 가치를 지닌다고 여겨진다(312-45, 557-61, 572-5페이지). 대상으로 ‘흥미’를 품고, 결과로 만족을 느끼는 것은 문제해결이 생명을 위하는 것이기 때문이고, 그 과정 자체에 공리성으로서의 가치가 내재되어 있다고 주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