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순화] 우리말에 남아있는 일본어 잔재 심층 분석

 1  [국어순화] 우리말에 남아있는 일본어 잔재 심층 분석-1
 2  [국어순화] 우리말에 남아있는 일본어 잔재 심층 분석-2
 3  [국어순화] 우리말에 남아있는 일본어 잔재 심층 분석-3
 4  [국어순화] 우리말에 남아있는 일본어 잔재 심층 분석-4
 5  [국어순화] 우리말에 남아있는 일본어 잔재 심층 분석-5
 6  [국어순화] 우리말에 남아있는 일본어 잔재 심층 분석-6
 7  [국어순화] 우리말에 남아있는 일본어 잔재 심층 분석-7
 8  [국어순화] 우리말에 남아있는 일본어 잔재 심층 분석-8
 9  [국어순화] 우리말에 남아있는 일본어 잔재 심층 분석-9
 10  [국어순화] 우리말에 남아있는 일본어 잔재 심층 분석-10
 11  [국어순화] 우리말에 남아있는 일본어 잔재 심층 분석-11
 12  [국어순화] 우리말에 남아있는 일본어 잔재 심층 분석-12
 13  [국어순화] 우리말에 남아있는 일본어 잔재 심층 분석-13
 14  [국어순화] 우리말에 남아있는 일본어 잔재 심층 분석-14
 15  [국어순화] 우리말에 남아있는 일본어 잔재 심층 분석-15
 16  [국어순화] 우리말에 남아있는 일본어 잔재 심층 분석-16
 17  [국어순화] 우리말에 남아있는 일본어 잔재 심층 분석-17
 18  [국어순화] 우리말에 남아있는 일본어 잔재 심층 분석-18
 19  [국어순화] 우리말에 남아있는 일본어 잔재 심층 분석-19
 20  [국어순화] 우리말에 남아있는 일본어 잔재 심층 분석-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순화] 우리말에 남아있는 일본어 잔재 심층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시대에 따른 일본어의 간섭
1. 기원 전 2세기에서 기원 7세기까지 (이두 형성 시대)
2. 통일 신라 이후의 땅이름의 바뀜과 의식 구조
3. 경덕왕(757) 때의 토박이말의 수난
4. 고려(928)에서 조선조까지
5. 조선조 초기에서 대한제국 말까지
6. 이두식 표기를 살리고 우리말 깎아 내림
7. 일제 침략 시대
8. 1945년 광복에서 현재까지
Ⅲ. 우리말에 남아있는 일본어 잔재 사례
Ⅳ. 국어순화 교육
Ⅴ. 국어 순화 방안
Ⅵ. 결론
본문내용
일본어 오염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은 개화기 이후였으며 해방 후에는 정치적 이유 때문에 언어 순화가 일찍 이루어 질 수 있음에도 그렇게 되지 못하였다. 만약 이때 언어 순화가 제대로 이루어졌더라면 거의 확실하게 일본어 찌꺼기를 순화시켰을지 않을까 하는 아쉬운 생각을 하였다. 그리고 일본식 한자어의 오염은 우리말로 쉽게 혼동되며 오늘날까지 그 영향을 미치고 있어서 가장 순화하기 힘든 일본어이었으며 일상 생활 뿐만 아니라 군대나 법조계 같은 특수한 집단에도 일본어의 찌꺼기가 많이 남아있다는 것은 충격이었다. 언어 순화를 위해서는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국어 교육이나 언어 순화 운동뿐만 아니라 , 군대 같은 장소와 법조계 같은 전문적인 직업에 남아있는 일본어 찌꺼기를 순화시키려면 국가적 차원에서 언어 순화 운동을 하여야 할 것이다.
일본어 잔재의 문제를 객관적이고 실제적으로 볼 수 있었다. 일본어 찌꺼기의 문제를 인식하고는 있었으나 이미 자연스럽게 사용되고 있기에 혹은 그에 관한 정보가 부족하기에 알면서도 고치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 마디로 일본어의 잔재는 너무나 자연스럽게, 우리 언어에 잔재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언어란 한 번 널리 사용되면 바꾸기 어렵다는 것을 확실하게 알 수 있었다.

Ⅱ. 시대에 따른 일본어의 간섭

1. 기원 전 2세기에서 기원 7세기까지 (이두 형성 시대)

우리 나라의 이두 형성 시기를 꼭 집어 말하기는 어려우나 대체로 기원 전 2세기쯤에서 초보적 형태로 쓰이다가, 차차 정돈된 형태로 발전하여 기원 7세기쯤에는 원숙한 경지에 이르지 않았나 추측된다. 약 7?8백 년의 긴 시기에 걸쳐《삼국사기》ꡐ지리지ꡑ에 실린 땅이름, 벼슬 이름, 사람 이름들의 이두식 표기가 형성, 발전되었으리라고 추측된다.
한편 중국과의 교류가 활발하여지면서 이두식 표기와 병행하여 중국식 한문 체계로의 표기도 서서히 자리잡히기 시작하여, 그 체계가 원숙하여지면서 대세는 한문식 체계로 쏠리기 시작하였으리라 추측된다. 글자가 없던 그 때의 실정에서 이두식 표기에서 한문식 표기로 쏠려 가면서 의식 구조도 바뀌기 시작하여, 말살이는 배달말로 글살이는 중국 한문으로 하는 사이에 같은 말살이 사회나 말살이 겨레보다 글살이의 종주국인 중국을 본받고 떠받는 의식 구조로 차차 바뀌기 시작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