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교육 정책

 1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교육 정책-1
 2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교육 정책-2
 3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교육 정책-3
 4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교육 정책-4
 5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교육 정책-5
 6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교육 정책-6
 7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교육 정책-7
 8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교육 정책-8
 9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교육 정책-9
 10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교육 정책-10
 11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교육 정책-11
 12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교육 정책-12
 13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교육 정책-13
 14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교육 정책-14
 15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교육 정책-15
 16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교육 정책-16
 17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교육 정책-17
 18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교육 정책-18
 19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교육 정책-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교육 정책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기

2. 한국어 교육 수요와 공급 현황
2.1 수요자 집단의 분류
2.1.1 순수 한국어 연수생
2.1.2 직업과 관련한 연수생
2.1.3 외국 내 대학, 대학원에서 한국어를 수강하는 학생
2.1.4 중․고등학교의 제2외국어로 한국어를 배우는 학생들
2.1.5 해외 입양아 집단
2.1.6 외국인 취업 연수생
2.1.7 해외교포
2.2 공급자 집단의 분류
2.2.1 국내 대학 부설 한국어 교육기관
2.2.2 국내 대학의 교환학생 프로그램
2.2.3 국내 사설 한국어 교육 기관
2.2.4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등 국내의 NGO
2.2.5 정부 산하의 한국어 교육 기관
2.2.6 해외 정규 대학, 중․고등학교, 시민단체, 사설학원의 한국어 교육
2.2.7 한국학교, 한국교육원, 한글학교에서의 한국어 교육
2.3 현행 한국어 교육의 주요 특징

3. 한국어 교육 정책의 현황
3.1 정부 내 한국어 교육 정책 관련 부서 및 업무
3.2 한국어 교육 관련 법규
3.3 정부 산하 기관 또는 유관 기관의 한국어 교육 사업
3.3.1 국제교육진흥원
3.3.2 재외동포재단
3.3.3 한국국제교류재단
3.3.4 한국국제협력단
3.3.5 국립국어연구원
3.3.6 한국학술진흥재단
3.3.7 한국교육과정평가원
3.3.8 중소기업청과 한국산업인력공단
3.3.9 한국어세계화재단

4. 한국어 교육 정책의 바람직한 방향과 과제
4.1 교육과 보급의 상호보완적 추진
4.2 한국어 교육 관련 부서, 유관 기관의 업무 통합 및 조정
4.3 한국어 학습자의 활용 방안 수립
4.4 한글학교 이수자에 대한 과목 인정 추진
4.5 수요자 집단 파악 및 적극적 접근
4.6 한국어 교육 모델의 개발
4.7 민간 차원의 교육과 연구 지원

5.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2.1.1 순수 한국어 연수생
개인적 목적에 따라 순수하게 한국어만을 배우는 집단이다. 이는 한국어 학습을 통하여 개인적 이익을 추구하는 집단이다. 이는 몇몇 하위 집단으로 분류가 가능하다.

① 본국에서 고등학교, 2년제 대학(전문대학․단기대학), 4년제 대학을 졸업한 후 취업을 목적으로 한국어를 배우는 집단
② 한국인과의 교제를 위해 배우는 집단
③ 한국에 대한 호기심으로 배우는 집단
④ 직장 퇴사 후 새로운 일을 찾기 위해 배우는 집단
⑤ 기타 집단
이들은 짧게는 중간 알선 기관의 프로그램에 따라 3주정도 단기 프로그램에 참여하기도 하나 대체로 한국어를 배우기 위해 3개월에서 2년 정도 한국에 머문다. 현재 국내에서 개설하는 한국어 과정의 최소 단위는 3주인 것으로 보인다. 이는 외국대학, 고등학교의 요청에 따라 방학 동안 개설하는 위탁 프로그램도 있으나 대체로 일부 중간 알선 기관과의 협력 하에 개설하는 부정기적 프로그램이다. 한편 국내 한국어 교육의 대다수를 맡고 있는 대학 부속 한국어 교육기관은 대체로 3개월(10주)을 단위로 하여 한 등급을 이수토록 하고 있으며 등록 또한 3개월 단위로 실시한다. 그리고 최고 6등급~8등급까지 개설함으로써 최대 재학 기간은 2년이 된다.



2.1.2 직업과 관련한 연수생
한국어 교육 초기에 주를 이루었던 집단으로 신부, 수녀, 선교사, 외교관, 언론인, 직업 군인, 외국 회사 주재원, 외국인 한국어 교사가 대표적이다. 다만 종교 계통의 수요자 집단은 한국이 사회․경제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줄어드는 추세이다. 이들 집단은 한국에 오기 전에 이미 어느 정도의 한국어 학습 경험을 갖고 있으며 한국에서 약 1년 정도 한국어를 배움으로써 직무 수행 능력을 키우는 것으로 보인다.

2.1.3 외국 내 대학, 대학원에서 한국어를 수강하는 학생
재학하는 동안 본교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것이 보편적이지만 이들 중 상당수가 한국에 와서 일정 기간 한국어를 배우기도 한다. 이들이 한국에 오는 형태는 크게 세 가지로 ① 방학을 이용하여 10주 정도 한국에서 배우는 경우 ② 1년을 휴학하고 한국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경우 ③ 한국국제교류재단, 국제교육진흥원 등 한국 정부 관련 기관의 장학생으로 선발되어 3개월-1년 정도 한국어를 배우는 경우이다. 최근 한국어 과정을 개설한 외국의 대학이 지속적으로 늘고 있어 이들 집단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

2.1.4 중․고등학교의 제2외국어로 한국어를 배우는 학생들
최근 일본, 미국, 중국, 호주 등에서 한국어를 외국어로 채택하는 중․고등학교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이들은 현지에 거주하는 한국인 교사로부터 한국어를 배우는 경우도 많으나 현지 국가의 중․고등학교 정규 교사 자격증을 갖춘 한국인이 없는 곳도 많아 외국인 교사로부터 한국어를 배우는 경우가 많다. 특히 외국인 교사가 주를 이루는 곳에서는 방학을 이용하여 한국에 학생들을 파견하여 한국어 교육을 시키기도 한다. 이 경우 국내 프로그램은 3주 정도의 단기 프로그램으로 운영되나 그 횟수가 점점 늘고 있는 추세이다.

2.1.5 해외 입양아 집단

참고문헌
국제조사문제연구소(1996), 해외 한민족의 현재와 미래, 도서출판 다나.
김용찬(2000), 남북한의 재외동포 정책, 민족연구 제5호, 한국민족연구원.
김중섭(1999), 한국어 교육의 새로운 방법, 국어교육연구 제6집, 서울대 교육종합연구원 국어교육연구소.
동북조선민족교육과학연구소 편(1988), 중국조선족학교지.
김하수(1999), 한국어 교육의 방향에 대하여, 제3회 중국 내 한국어 교수 연토회 기조연설문.
김하수 외(2000), 한국어세계화 2000년도 사업 최종보고서, 문화관광부 한국어세계화추진위원회.
박영순(200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론, 도서출판 월인.
새천년준비위원회(2000),「우리말 보급」사업추진계획(안).
성광수(1996), 한국어의 세계적 보급을 위한 언어정책 검토, 이중언어학회지 제13호: 한국어 세계화의 제문제, 이중언어학회.
손호민(1999), 미국에서의 한국어 교육 방법,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방법,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오가타 가오루(2000), 일본 내 고등학교에 있어서의 한국어 교육의 시도,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제10차 국제학술회의 발표문.
이선근(2000), 해외 동포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과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제10차 국제학술회의 주제 발표문.
조항록(1997), 한국에서의 한국어 교사 연수: 현황과 발전 방안, 한국어교육 제8집,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최은수(1999), 재외동포 교육정책에 관한 고찰: 재미동포 사회를 중심으로, 해외 한민족과 차세대 제3집, 계명대학교 아카데미아 코리아나.
한국국제교류재단(2001), 2000 한국국제교류재단 연차보고서
Cho, Youngdal(2001), Directions of Resarch in Overseas Korean Studies in Korean Studies in Oceania and Southeast Asia: Strategic Cooperation in Research and Education, Proceedings of First Biennial International Symposium, KAREC.
Sohn, Ho-min(1990),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이중언어학회지 제6호: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Ⅰ, 이중언어학회.
Yoon, Hi-Won(2001), A Stud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 in Korean Studies in Oceania and Southeast Asia: Strategic Cooperation in Research and Education, Proceedings of First Biennial International Symposium, KAR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