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230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다문화가정 여성 학습자의 담화상황별 화용교육1 -가정 내 담화상황을 중심으로-
문금현 ( Keum Hyun Moon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한국어와 문화 [2015] 제18권 327~366페이지(총40페이지)
다문화가정 여성 학습자의 화용교육은 초급부터 시작하고 중급에서는 감정표현과 고정 화용표현에 대한 중점 교육을 하며 고급에서는 화용표현에 대한 심화 교육을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먼저 호칭어 교육은 초급에서 직계가족 중 부모, 형제에 대한 기본 호칭어를 학습하고 상하 서열과 남녀 구분 및 친가, 외가 여부에 따라서 호칭·지칭어가 구분됨을 인지시킨다. 중급에서는 직계가족의 배우자 등으로 확장 학습이 필요하며 가계도에 대한 인식도 필요하다. 고급에서는 친척 호칭어와 난이도 높은 호칭어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감정표현 교육은 초급에서 긍·부정의 기본 감정표현을 결합구성을 통해서 익히고, 중급에서는 수식어에 의해서 감정표현을 더 상세하게 할 수 있도록 중점 교육이 필요하며, 특히 부정적인 감정표현에 대한 학습이 필요하다. 고급에서는 감정의 정도가 심화된...
TAG 호칭어, 감정표현, 화용표현, 공손표현, 담화상황, Address terms, emotional expression, pragmatic expression, polite expression, discourse situations
태몽담의 서사적 기능 연구 -고전서사문학을 중심으로
신명래 ( Myung Rae Shin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한국어와 문화 [2015] 제18권 367~401페이지(총35페이지)
이 논문은 고전서사문학 태몽담의 서사적 기능을 통해 태몽담이 고전서사문학에 어떻게 운용되었는지를 살피고자 하였다. 먼저 태몽의 개념을 규정하고 꿈에 대한 여러 관점을 살펴 태몽이 갖는 성격을 파악하였다. 태몽은 잉태될 혹은 잉태된 태아에 대한 메시지를 담은 꿈이다. 태몽의 민속적 성격은 계시성, 상징성, 신앙성 등이었다. 다음으로 태몽담의 개념을 말하고 형상화 방식을 분류하였다. 태몽담은 태몽을 기반으로 한 이야기로서 서사구조와 연관성을 가진 태몽을 말하였다. 끝으로 태몽담의 서사적 기능에 중점을 두었다. 각각의 태몽담 형상화 방식이 한 편의 문학 작품에서 어떤 서사적 기능을 하는지 지시, 암시, 계시, 제시로 나누어 해당 작품을 살펴보았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고전서사문학에서 태몽담의 형상화 방식과 서사적 기능을 알 수 있었으며 문학작품 속에서 한국인...
TAG 태몽담, 지시, 암시, 계시, 제시, Dream of Conception Tales, Direction, Foreshadow, Revelation, Suggestion
한국어교재의 비언어 표현과 문화교육
김정은 ( Jeong Eun Kim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한국어와 문화 [2015] 제18권 403~422페이지(총20페이지)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언어교육에서는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을 지닌 대화 참여자들의 성공적인 의사소통이 교육 목표이며 이때 요구되는 것은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이다. 의사소통은 언어와 비언어 표현으로 이루어지며 이때 비언어는 문화를 반영하므로 한국어학습자들은 자국의 비언어와 목표어인 한국어의 비언어 표현의 차이로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를 반영하는 비언어표현의 유형과 비언어 표현의 의사소통 유형을 알아보고 의사소통능력 배양을 위해 문화교육의 필요성을 두고 제작한 교재에 비언어표현이 교육내용으로 어떻게 제시되어 있는지 분석한다. 그리고 문화 감지도구 방법을 활용하여 교육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비언어 표현 교육 방안을 제시한다.
TAG 한국어교재, 비언어 표현, 문화교육, Korean Textbook, Nonverbal Expression, Cultural Education
피드백 제공 방식에 따른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작문에서 나타난 오류 수정 효과 연구
김경령 ( Kyung Ryung Kim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한국어와 문화 [2015] 제18권 423~440페이지(총18페이지)
본고는 외국인들이 한국어 쓰기를 배우는 과정에서 언어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현장 교육에서 자주 시행되는 피드백 입력에 대한 효과성에 대해 검증한 논문이다. 한국어 교실 현장에서 교사들은 한국어 숙달도 증진을 위해 여러 방법으로 학습자들에게 피드백을 제공해 왔다. 하지만 학생들의 오류를 교정해주는 작업이 한국어 습득에 어느 정도 효과적인지, 오류 교정 과정이 과연 효과적으로 학생들에게 전달되고 있는지, 수정된 오류를 인지하고 이것이 장기 기억으로도 전환되어 지속적인 오류 발생이 일어나지 않는지 등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다. 본고에서는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에게 두 가지 다른 종류의 피드백-재형태화, 직접수정, 이렇게 두 가지 다른 유형의 입력을 하여 작문 결과를 조사 분석하였다. B 대학에서 한국어 수업을 듣는 24명의 외국인 피험자들이 본 연구에...
TAG 피드백 유형, 작문 지도, 인지 과정, 재형태화, 직접수정, 알아차리기, Writing Proficiency, Written Feedback, Noticing elements
<삼한습유>에 나타난 환상의 성격 연구
김윤미 ( Yun Mi Kim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한국어와 문화 [2015] 제17권 5~51페이지(총47페이지)
본 연구는 김소행(金紹行, 1765~1859)의 <삼한습유(三韓拾遺)>에 나타나는 환상적 요소에 주목하여 작품을 분석하고, <삼한습유>에 나타난 환상의 성격이 무엇인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향랑의 실제 이야기를 소설화 한 작품인 <삼한습유>는 신라를 배경으로 하여 주인공 향랑을 천상의 패향옥녀의 화신(化身)으로 설정하고, 향랑의 환생과 재가(再嫁)의 이야기와 삼국통일의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향랑의 일생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서사의 흐름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환상성(幻想性)’이다. <삼한습유>의 서사에서 환상성을 발현시키는 요소는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초월적 인물’이다. <삼한습유>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주인공 향랑을 비롯하여 대부분 환상적 성격을 띠고 있다. 이들은 인간의 한계를 뛰어 넘는 초월적인 능력을 발휘함으로...
TAG 삼한습유, 김소행, 환상, 환상성, Samhanseupyu, Kim So-haeng, fantasy, the fantastic
세계화 속의 한글문학
이덕화 ( Duk Hwa Lee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한국어와 문화 [2015] 제17권 53~75페이지(총23페이지)
엘리스 먼로의 단편들이 예리한 직관으로 삶의 순간을 포착, 일상을 새롭게 인식하게 하는 문학의 힘을 보여준 작품들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작가 중에도, 해학과 위트로 문학사를 빛낸 김유정의 단편들이나 양귀자의 『원미동 사람들』, 이문구의 『우리 동네』, 이순의 『우리들의 아이들』 같은 작품은 엘리스 먼로의 단편들 못지않게 일상의 예리한 순간을 포착, 감동을 주는 단편들이다. 그러나 이 작가들은 대부분 일찍 요절했거나, 생존하더라도 병환으로 더 이상 작품생활이 어렵고, 아니면 작가로서의 정체성이 부족해, 작품 창작을 그만 둔 작가들이다. 엘리스 먼로의 경우, 1968년 작품 활동을 시작해, 작고하기 전까지 작가로 전 생애를 마감한 작가이다. 도리스 레싱이나, 오르한 파묵, 모엔 역시 작가로서의 정체성을 최고의 가치로 여기며 지속적으로 실험적인 작품을 써왔다. ...
TAG 한글문학, 세계화, 정체성, 보편성, 일상성, Korean literature, globalization, identity, universality, daily routine
A Study of Korean Learners Language Learning Style
김경령 ( Kyung Ryung Kim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한국어와 문화 [2015] 제17권 77~98페이지(총22페이지)
본고에서는 외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배우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학습 양식의 양상에 대해 조사 분석하였다. 대학에서 다양한 전공을 이수하고 있는 47명의 외국인 학습자가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학습 양식에 대한 조사를 하기 위해 높은 신뢰도와 인지도를 인정받은 다양한 테스트 도구를 사용하였다(Reid, 1987; Willing, 1988; Torrance, 1980). 테스트를 통해 발견된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학습자들은 한국어를 배울 때 언어문화권별로 매우 다양한 학습 양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흥미로운 점은 한국어에 능숙한 높은 단계의 학습자와 그렇지 않은 학습자를 구분하여 재분석을 한 결과 언어 능숙도에 따른 학습 양식 선호도가 변화한다는 점이다. 셋째, 특히 외국인 학습자의 읽기 실력에서 장독립형 학습자와 그렇지...
TAG 한국어 습득, 학습 양식,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Cognitive Learning Style, Reading Proficiency, Korean Language Learner
한국어 교육용 관용 표현 연구
김현진 ( Hyeon Jin Kim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한국어와 문화 [2015] 제17권 99~129페이지(총31페이지)
본고는 한국어 학습자가 학습해야 할 교육용 관용 표현을 선정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지금까지 관용 표현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지만 어떤 관용 표현을 어느 단계에서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논의는 쉽지 않은 일이다. 선행 연구들의 대부분이 현재 대학 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한국어 교재를 바탕으로 관용 표현을 추출하여 등급별로 재배치하였다. 그러나 각 기관별 교재에 수록된 관용 표현의 수와 목록의 차이가 크고 학습 단계 또한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점에서 논의를 시작하게 되었다. 1장에서는 기존 선행 연구의 한계점을 밝힘으로써 본 연구의 목적을 기술하고 연구 방법에 대해서도 밝혔다. 2장에서는 실제 한국인이 자주 사용하는 관용 표현을 파악하는 것이 먼저 선행 되어야 한다는 판단 하에 국립국어원에서 구축한 <21세기 세종 계획> 구어 말뭉치...
TAG 교육용 관용 표현 선정, 등급별 관용 표현, 사용 빈도, 의미의 투명도, 구성 어휘의 난이도, selects educational idiomatic expressions, idiomatic expressions by grade, idiomatic expressions based on the frequency of use, transparency of idiom meaning, vocabulary composed of difficulty
한국어 성격형용사의 분류와 교육 방안
박재남 ( Jae Nam Park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한국어와 문화 [2015] 제17권 131~157페이지(총27페이지)
지금까지 국어학에서 형용사의 유형 분류는 의미적 기준 또는 통사적 기준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왔다. 하지만 한국어교육에서는 교재 구성이나 수업 진행이 주제나 기능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므로 기존의 이러한 형용사 유형 분류보다는 ‘주제’를 중심으로 한 형용사 유형 분류가 더욱 요구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한국어 교재에서 다루고 있는 여러 가지 주제 가운데 ‘성격’과 관련된 형용사를 추출하여 성격형용사 목록 128개를 제시하였다. 더불어 많은 양의 성격형용사를 효율적으로 교수·학습하기 위하여 성격형용사의 의미적 재분류를 시도하였다. 의미적 재분류를 한 결과 성격형용사는 크게 ‘태도’와 ‘성질’로 이분되는데 ‘태도’는 다시 타인에 대한 태도와 외부사건에 대한 태도로 하위분류되며 ‘성질’은 심성, 말이나 행동, 사고 등으로 하위분류되어 모두 다섯 가지로 의미적 재분류가 이루어...
TAG 형용사 유형 분류, 성격형용사, 의미적 재분류, 어휘 학습, 어휘 교육방안, classification of Korean adjectives, personality adjectives, semantic re-classification, vocabulary learning, strategy for teaching vocabulary
음식을 통해 본 작가의식 고찰 -허균과 정약용을 중심으로
한경란 ( Kyung Ran Han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한국어와 문화 [2014] 제16권 3~32페이지(총30페이지)
음식이 계층에 따라 다양한 수단의 의미를 갖고 있지만, 생존에 대한 절대적인 요소라는 점에서는 누구에게나 일반적으로 인식되는 보편성을 안고 있다. 음식의 보편성은 문학 안에서는 수용자에게 큰 의미를 전달하지는 못하지만 상징적인 언어로 표현될 때 사회문화적 요소와 결합된다면 다양한 상징을 내포하는 특수성을 갖게 된다. 고전문학 안에서 다루어지는 음식은 작품이 쓰여지는 당시 사회의 반영과 작가의 의식 변화를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유의미한 소재이다. 조선시대에는 성리학이라는 국가 이념이 철학적 영역뿐만 아니라 사회·문화·경제 등 국가 전부를 아우르는 막강한 이념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조선 건국초기에는 절대적인 사회질서와 조화를 이루는 윤리적 가치관인 자기절제와 수양 수단의 하나로 이용되는 음식을 작품 안에서 확인할 수 있다. 사회의 변화에 따라 조선중기에는 성...
TAG 음식, 특수성, 성리학, 수단, 작가의식, food, writer consciousness, Neo-Confucianism, distinct characteristic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