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570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유아 생태소양척도 개발
임진경 ( Lim Jin Kyung ) , 허혜경 ( Huh Hae-gyeoung )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생태유아교육연구 [2018] 제17권 제4호, 221~253페이지(총33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생태소양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SPSS 23.0, AMOS 22.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전 문항 응답 값의 평균, 표준편차, 빈도, 백분율을 구하였고, 연구변수로서 요인을 구성하는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였다. 더불어 연구변수를 구성하는 문항 간 신뢰도 분석을 하였다. 또한, 연구변수의 기술 통계량을 제시하고 정규성을 검토하였다. 유아 생태소양척도의 개발 단계에 최종 도출된 문항 개수는 전체 50문항이며, 그 중 5개의 역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척도의 측정 형태와 양식 구성은 성인 평정용, 5점 Likert 척도로 하였다. 서울, 경기, 충청, 전라, 경상, 강원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73개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만 4, 5세 유아 1,249명에게 유아 생태...
TAG 생태소양, 척도, 생태유아교육, ecoliteracy, scale, eco-early ehildhood education
유아의 공감능력과 리더십이 친사회적 거짓말에 미치는 영향
박미희 ( Park Mi Hee ) , 최미숙 ( Choi Mi Sook )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생태유아교육연구 [2018] 제17권 제4호, 255~273페이지(총19페이지)
본 연구는 유아의 공감능력과 리더십이 친사회적 거짓말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시에 소재한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만 5세 유아 108명을 선정하여 공감능력과 리더십, 친사회적 거짓말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earson의 상관계수 분석과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유아의 공감능력과 친사회적 거짓말은 유의미한 상관관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의 공감능력이 친사회적 거짓말을 예측하는 의미 있는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리더십과 친사회적 거짓말은 유의미한 상관관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의 리더십이 친사회적 거짓말을 예측하는 의미 있는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공감능력과 리더십이 친사회적 거짓말에 영향력이 있...
TAG 공감능력, 리더십, 친사회적 거짓말, empathic ability, leadership, pro-social lie
메타포 분석을 통한 부모의 유아 놀이공간 인식 연구: 놀이터와 키즈카페를 중심으로
강승지 ( Kang Seung Ji ) , 손연주 ( Son Yeon Ju )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생태유아교육연구 [2018] 제17권 제3호, 1~24페이지(총24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포 분석을 통하여 놀이공간에 대한 부모의 인식을 탐구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연구자는 부모 109명에게 메타포 설문지를 배부하여 유아의 놀이터 및 키즈카페에 대한 메타포와 그 근거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놀이터는 다양한 놀이로 몰입하는 즐거움의 공간, 사고(思考)가 자라나는 공간, 친구와 관계 맺는 공간, 휴식과 여가를 즐기는 공간, 위험한 여행이 시작되는 공간으로 총 5가지의 주제로 명명되었다. 키즈카페는 매력적인 놀이의 공간, 만들어진 놀이 세계, 부모를 위한 탈출의 공간, 놀이와 상업의 경계에 서있는 공간, 끊을 수 없는 중독의 공간으로 제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놀이터와 키즈카페라는 놀이 공간의 특성을 은유적으로 살핌으로써 각 공간에 대한 부모의 인식을 알아보고, 우리의 삶에 긍정...
TAG 놀이공간, play space, 놀이터, playground, 키즈카페, kids cafe, 메타포, metaphor
보육교사가 지각한 직무만족, 전문성인식, 동료교사협력과 어린이집 조직효과성 간의 구조관계
성진희 ( Sung Jin Hee )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생태유아교육연구 [2018] 제17권 제3호, 25~47페이지(총23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가 지각한 직무만족, 전문성인식이 동료교사협력을 매개로 어린이집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어린이집 조직효과성의 질적 향상에 대한 이론적인 기초자료를 얻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J지역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83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21.0과 AMO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보육교사가 지각한 직무만족, 전문성인식 및 동료교사협력은 조직효과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은 동료교사협력을 매개로 조직효과성에 부분매개하고 있으나, 전문성인식은 동료교사협력을 매개로 조직효과성에 의미 있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직무만족, 전문성인식, 동료교사협력, 어린이집 조직효과성 간의 구조관계모형이...
TAG 직무만족, job satisfaction, 전문성인식,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동료교사협력, collaboration, 조직효과성, nursery school effectiveness
영아교사 이미지에 대한 어린이집교사와 유치원교사의 인식 연구
김남희 ( Kim Nam-hee ) , 김미영 ( Kim Mi-young )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생태유아교육연구 [2018] 제17권 제3호, 49~72페이지(총24페이지)
본 연구는 어린이집교사와 유치원교사가 인식하는 영아교사에 대한 이미지를 알아보고 바람직한 영아교사 이미지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강원도지역 유아교육기관에 근무 중인 어린이집교사 182명, 유치원교사 21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영아교사 이미지에 대한 은유를 묻는 개방형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은유분석 과정을 통해 분석되었다. 그 결과 영아교사 이미지는 인성적 특성 이미지, 전문적 특성 이미지, 직업적 특성 이미지로 범주화되었고, 어린이집교사와 유치원교사 모두 영아교사 이미지로 인성적 특성 이미지를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각 범주별 영아교사 이미지에 대해 어린이집교사와 유치원교사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AG 영아교사 이미지, image of infant teacher, 전문성, professionalism, 돌봄, caring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경험 이야기 : 관계형성을 중심으로
손수민 ( Sohn Soomin )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생태유아교육연구 [2018] 제17권 제3호, 73~103페이지(총31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 교육실습 기간 동안 예비교사들이 작성한 저널과 면담자료를 중심으로 그들의 실습 경험과 그 의미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교사들은 실습 과정에서 유아와의 관계형성 및 상호작용을 통해 다양한 정서적 경험을 하며 실습생으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해 나가는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예비교사들은 실습지도교사와의 관계가 실습과정 중의 어려움을 상쇄하거나 가중시키는 등 실습 성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실습생들은 교실 안에서 자신의 위치와 구체적인 역할을 스스로 정립하지 못해 혼란스러워하였고, 수업 중에는 스스로의 평가나 유아의 반응을 보며 좌절과 당황 등 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예비유아교사가 실습과정을 통해서 직전교사교육으로써 의미 있는 경험을 할 수 있도록 ...
TAG 예비유아교사,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교육실습, teaching practice, 관계형성, building relationships
예비유아교사의 그릿과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에서 여가만족의 매개효과
박진홍 ( Jin-hong Park ) , 서현아 ( Hyun Ah Seo ) , 김수진 ( Su Jin Kim )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생태유아교육연구 [2018] 제17권 제3호, 105~126페이지(총22페이지)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그릿이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여가만족이 어떠한 매개역할을 하는지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부산, 경남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교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한 뒤, 응답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그릿, 주관적 행복감, 여가만족에 대한 인식 정도는 보통보다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예비유아교사의 그릿, 주관적 행복감, 여가만족의 총합에 있어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그릿과 여가만족이 주관적 행복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예비유아교사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그릿의 하위요인에서는 지속적 관심, 꾸준한 노력 순으로, 여가만족의 하위요인에서는 신체적 만족...
TAG 예비유아교사,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그릿, grit, 주관적 행복감, subjective happiness, 여가만족, leisure satisfaction
유아교육기관 중간관리자의 멀티플라이어십 증진 요인에 대한 인식 : IPA 분석을 활용하여
김은정 ( Kim Eun Jung )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생태유아교육연구 [2018] 제17권 제3호, 127~152페이지(총26페이지)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중간관리자의 멀티플라이어십 증진 요인에 대한 인식의 우선순위를 파악하고, 근무기관 유형, 중간관리자 경력, 총 경력별로 유아교육기관 중간관리자의 멀티플라이어십 증진 요인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기관 중간관리자 199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멀티플라이어십 증진 요인의 중요도와 실행도를 조사하고 대응표본 t-test 및 IPA 분석을 실시하여 결과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전체 중간관리자가 인식한 집중이 요구되는 멀티플라이어십 요인은 ‘강점 발견하고 활용하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간관리자의 근무기관 유형, 중간관리자 경력, 총경력에 따라 집중해야 할 멀티플라이어십 요인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추후 유아교육기관 중간관리자의 멀티플라이어...
TAG 유치원 중간관리자, middle manager of kindergarten, 어린이집 중간관리자, middle manager of day care center, 멀티플라이어십, multipliership, IPA 분석, important-performance analysis
“지상의 별처럼”을 통해 살펴본 강점기반평가에 대한 소고
황해익 ( Hae-ik Hwang ) , 이강훈 ( Kang-hoon Lee )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생태유아교육연구 [2018] 제17권 제3호, 153~182페이지(총30페이지)
본 연구는 최근 유아교육분야에서 긍정심리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현상과 더불어 유아에 대한 평가에 있어서도 강점에 기반한 평가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교육을 소재로 한 영화 “지상의 별처럼”을 중심으로 행복한 유아교육과 강점기반평가에 대한 유아교육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영화 속 주인공들이 경험하는 다양한 사건들을 긍정심리학적 관점에서 바라보고 유아행복교육을 위한 평가방법으로서 강점기반평가의 의의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유아행복교육을 위해서는 문제해결식 접근보다는 강점기반적 접근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계지향적인 관점에서 또래, 교사, 부모, 유아교육기관의 유기적인 노력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긍정심리학적 관점에서 유아의 발달에 대한 평가가 강점기반평가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AG 유아행복교육, happines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강점기반평가, strengths-based evaluation, 관계지향유아교육, relation-oriented early childhood education
초등학교 1학년 어머니가 생각하는 유초연계의 방향 : 생태적 접근을 중심으로
김미진 ( Kim Mijin ) , 김정미 ( Kim Jeongmi ) , 조아라 ( Cho Ara ) , 임홍남 ( Im Hongnam )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생태유아교육연구 [2018] 제17권 제3호, 183~214페이지(총32페이지)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어머니들이 생각하는 자녀의 유초연계 방향을 생태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1학년 어머니 5인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연속적 비교분석법(constant comparative method)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초등학교 1학년 어머니들은 아이의 생의 흐름에 토대하여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유초연계, 아이의 개별성과 다양성을 존중하는 유초연계, 아이 삶 전반을 고려하는 유초연계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아이의 비동일성을 고려하여 아이의 생명성을 살리는 유초연계 방향과 유아교사 및 초등교사가 유초연계를 재 이해하는 교육의 필요성을 중심으로 논하였다. 나아가 본 연구는 유초연계를 경험하는 ...
TAG 유초연계, connected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and elementary school, 어머니, mothers, 초등학교 1학년, first grade student of elementary school, 생태적 접근, ecological approach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