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무용역사기록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무용기록학회지283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무용교수매체로서의 국내예술자료관의 현황과 활용가능성 연구
휴미희 ( Mi Hee Yoo )  무용역사기록학회,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008] 제15권 33~59페이지(총27페이지)
본 연구는 무용정보센터의 기능을 하고 있는 예술자료관의 무용정보 현황을 조사, 분석함 으로써 교육적 매체로서의 그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연구대상은 국내 예술자료관 중 아르코 예술정보관, 국립민속박물관, 국립극장, 한국예술종합학교를 선정하여 무용관련 주제어 검색을 통해 무용자료의 보유 현황을 수집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방문조사(2007년 12월~2008년 2월)를 병행하여 교수매체의 개념과종류를 이론적 배경으로 살펴보고 인터넷 탐방과 현장방문을 통해 수집된 무용자료를 분류하여 기관별 특성을 파악한 후 교육전달 기능으로서의 각 분류된 기관의 활용가능성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료보유량에 있어서 네 개 기관의 무용정보량을 살펴보면 전체 자료량에서 예술자료가 차지하는 비율은 한국예술종합학교(24.72%)를 제외한 세 개의 기관이...
TAG 교수매체, 무용자료, 예술자료관, medium for education, dance resource, art data center
다원예술과 한국의 무용공연 -"창작 춤 집단 가관"사례를 중심으로
윤지현 ( Ji Hyun Yoon )  무용역사기록학회,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008] 제15권 61~92페이지(총32페이지)
이 글은 문화예술계에 유통 중인 다원예술이란 용어의 불안정성을 주목하고, 문헌조사와 현지조사 방법으로 용어의 실질적 개념에 접근하려는 소박한 목적에서 시작했다. 다원예술은 문화예술 지원정책에서 소외된 탈장르 및 복합장르의 실험성이 강조되고, 독립적 제작방식과 공공예술을 표방한 작품과 작가에 대한 정책지원을 위한 정책용어로 문화예술 현장에 유통되어 왔다. 그러나 2007년 국제다원예술축제가 해외의 다양한 다원예술 작품을 초청, 공개하며 학제적 예술(interdisciplinary arts)을 다원예술로 소개함에 따라 이 용어는 정책지원을 위한 현장용어이자 동시에 복합적이고 실험적인 새로운 예술경향을 아우르는 개념용어로 혼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우리나라 문화예술 현장에 유통 중인 다원예술의 개념과 해외 학제에서 명시하는 다원예술에 대한 자료를 수집, 정리함으로써 이...
TAG 다원예술, 학제성, 복합장르, 다문화주의, 다원주의, 포스트모더니즘, Interdisciplinary Art, Interdisciplinarity, Multi-Culture, Multi-Genre, Pluralism, Postmodernism
공연 팸플릿에 나타난 한국의 무용 장(Field) -부르디외의 이론을 중심으로
윤지현 ( Ji Hyun Yoon ) , 김재리 ( Jae Lee Kim )  무용역사기록학회,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008] 제15권 93~120페이지(총28페이지)
본 연구는 부르디외의 장 이론에 근거하여 무용공연팸플릿의 텍스트를 분석하고 현대 한국의 무용생산 장에서 유통되는 다양한 담론들과 담론 선점을 위한 행위자들의 상징투쟁을 살펴보고자 했다. 장 이론에 따르면 사회의 특정 장에 속한 행위자들은자본의 보유량에 따라 장내의 위치를 차지하게 된다. 즉, 장을 구성하는 행위자들은보유한 자본을 이용하여 특정 위치를 선점하기도 하고 상대적으로 제한적인 자본을 보유한 행위자들은 특정 위치를 얻기 위해 다양한 전략들을 사용한다. 상징투쟁이 이루어지는 장은 정태적인 공간이 아니라 끊임없이 변화하는 역동적인 공간이라고 할수 있다. 부르디외는 예술 장이 지닌 자율성 때문에 특정 장 내부의 행위자들 사이에 이루어지는 상징투쟁의 전략을 통해 장의 특수한 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고 했다. 한국의 무용생산 장의 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먼저 부...
TAG , , 한국의 무용생산 장, 상징자본, 상징투쟁, 담론, 부르디외, field, field of dance production in Korea, symbolic capital, symbolic violence, discourse, Bourdieu
중요무형문화재의 기록과 기록물의 활용: 무용분야를 중심으로
임장혁 ( Jang Hyunk Im )  무용역사기록학회,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008] 제15권 121~142페이지(총22페이지)
이 연구는 중요무형문화재의 개념을 정립하고, 중요무형문화재 중 무용분야를 중심으로 기록하는데 있어서 법적 근거와 기록의 방법과 내용 등을 검토하였다. 한편 기록물을 접하는 연구자와 전승자들은 어떠한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문화재보호법에 의하면 무형문화재는 음악·연극·무용·공예기술 등 무형의 문화적 소산으로서 역사적·예술적·학술적 가치가 큰 것으로 정의된다. 무형문화재는 종목과 기·예능으로 구분되는데 무형문화재는 기·예능이 문화재에 해당된다. 따라서무형문화재를 보호한다는 것은 기·예능을 전승하도록 하는 것이다. 무형문화재에서 원형보존이란 기·예능의 전통성과 전승성을 의미한다. 무형문화재에서 ‘원형’이란 용어의 사용은 1960-70년대 민속학의 학문적 경향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학자들은원형에 대해 ‘역사적 원형’론과 ‘심성적 원형’론으로 이해하...
TAG 중요무형문화재, 원형, 기록, 리커버리포인트,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ototype, recording, recovery point
강원도 강릉지역 사회교육기관의 무용교육 프로그램 현황 및 전망
장은실 ( Eun Sil Jang )  무용역사기록학회,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008] 제15권 143~173페이지(총31페이지)
본 연구는 강원도 강릉지역의 사회교육기관에서 운영되고 있는 무용교육 프로그램들에 대한 현장 실태를 파악하고, 이러한 무용교육 프로그램이 사회교육의 하나로서 양적인 측면과 질적인 측면에서 발전되어질 수 있는 기초자료와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강원도 강릉지역 사회교육기관에서 무용관련 프로그램을 담당하고 있는 강사와 프로그램을 수강한 수강생, 그리고 사회교육기관의 담당자를 비확률표집(Nonprobability Sampling)의 하나인 유목적표집법(Purposeful Sampling)으로 각각 3명씩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심층면담의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공식적인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공식적인 면담의 형식은 반구조화된 면담(semi- structured interview)과 비구조화된 면담(unstru...
TAG 사회교육기관, 무용교육 프로그램, 강릉지역의 무용, social education institutions, dance education programs, dance in Gangneung area
사회적 존재와 사회관계 표현으로서의 몸,춤,풍물
조경만 ( Kyoung Mann Cho )  무용역사기록학회,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008] 제15권 175~214페이지(총40페이지)
풍물은 복합적 예술형태로서 그 안에 이를 수행하는 사람들의 몸동작, 춤, 음악, 의례적 행위 등을 포함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몸동작, 춤, 그리고 이것들을 포괄하는 풍물의 전체적 진행을 다룬다. 이들의 형식적이고 외형적인 사실 및 과정이 서술되어있다. 또한 이것들을 통해 표현되는 사람들의 사회적 존재 및 사회관계가 해석되어있다.본 논문은 두 곳 사례를 중심으로 한 민족지(ethnography)적 연구이다. 2장은 1980년대 초 충남 부여군 초촌면 추양리에서 수집한 사례를 다루었다. 몸, 춤, 풍물을 작동시켰던 과거의 두레 관행이 주요 대상이다. 1980년대 조사 당시 제보자들이 기억했던 1940년경의 관행이다. 두레 관행 속에서 나타난 농민의 사회적 존재 표현을 다루었다. 농민들이 공유한 특유의 관행적 행위들을 통해 노동 효율성을 넘어 향유의 장...
TAG 사회적 존재, 몸 기술들, 두레 관행, 재해석, 지역방문, social beings, techniques of the body, Dure practice, reinterpretation, local visits
무용표현의 구조체계와 미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황인주 ( In Joo Hwang )  무용역사기록학회,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008] 제15권 215~236페이지(총22페이지)
무용표현이라는 용어가 산만하게 사용되고, 또한 무용표현이 지니고 있는 전체적 특성보다는 개별적 의미가 강조되면서 무용표현의 전달구조에 관한 개념적 모호성 및해석의 한계성으로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언어구조학적 연구결과를 토대로 무용표현의 구조적 전달체계를 제시하고, 그에 따른 미학적 특성을분석함으로써 무용표현의 개념적 모호성과 해석의 한계성을 극복하는데 연구목적을두고 있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무용표현을 통해 무용상징으로서 동작들이 무용작품을 나타내며, 또한 무용작품은 동작들이 지니고 있는 상징적 특성을 은유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무용표현은 동작들이 지니는 상징적 특성을 은유적으로 소유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무용표현은 은유적 소유를 의미하기 때문에 무용동작을 통해 표현되는 것...
TAG 무용표현, 무용표상, 은유적 소유, 은유적 예시, Dance Expression, Dance Representation, Metaphoric Possession, Metaphoric Exemplification
샌프란시스코 공연 및 디자인 박물관의 사례 연구 및 기술(記述), 분석
제프프리드만 ( Jeff Friedman )  무용역사기록학회,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008] 제15권 237~268페이지(총32페이지)
공연예술콜렉션은 공연예술에 관한 학문적 연구와 일반인들의 감상 모두를 돕는 가치로운 자원이다. 샌프란시스코 공연 및 디자인 박물관에 대한 집중적인 사례연구 및분석을 한 본 논문은 기관의 아카이브가 형성되게 된 역사 및 문화적 배경과 다양한 형태의 콜렉션 자료들에 대한 설명을 포함한다. 특히 본 논문에서 설명은 춤과 관련된 자료들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본 사례연구를 통해 샌프란시스코 공연 및 디자인 박물관의 임무, 정책, 교육 프로그램, 직원 개발, 시설 등에 대한 분석을 진행 하였으며 이에 대한 의견도 제시하였다. 또한 다양한 출판물들을 바탕으로 한 참고문헌과 함께 무용 기록과 보존 활동을 가장 잘 수행하고 있는 개인 및 지지 기관에 관한자료 목록도 제공하고 있다.
TAG 샌프란시스코 공연 및 디자인 박물관의 사례 연구 및 기술(記述), 분석, dance, library, archive, museum, oral history, primary source
춤아카이브의 창조: 예술 작품의 기록과 그 증거들의 수집
잰슈미트 ( Jan Schmidt )  무용역사기록학회,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008] 제15권 269~285페이지(총17페이지)
본 논문은 뉴욕 공립 공연예술도서관 내에 위치한 제롬 로빈스 댄스 디비전의 제롬 로빈스 기록영상 아카이브에 대한 내용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제롬 로빈스 댄스 디비전은 오랜 기간 춤에 관한 자료들을 수집, 기록, 보존하고 이를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노력을 꾸준히 해오고 있는 선구적인 기관이다. 본 논문은 도서관의 자료수집 정책 및 과정을 영상 기록물들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자료의 보존 및 목록화 작업에 관한 부분도 간략히 다루고 있다. 또한 안무에 대한 기록물으로서 춤을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하는 과정도 설명하고 있는데, 이때 춤 기록 비디오테이프는 그 편집과정에서 안무가와 비디오그라퍼 간의 협업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은 인터넷 상의 디지털 춤자료 사이트의 구현과 같은 향후 뉴욕 공립 공연예술도서관의 발전 계획 또 한 언급하고 있다.
TAG 뉴욕 공립 공연예술도서관, 제롬 로빈스 댄스 디비전, 기록영상 아카이브, The New York Public Library for the Performing Arts, Jerome Robbins Dance Division, Recording Moving Image Archive
조선왕조 의궤 소재 정재의 공연양상 인조 경오(1630) ~고종 임인 (1902.11)
宋芳松  무용역사기록학회,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008] 제15권 167~198페이지(총32페이지)
본 논문은 뉴욕 공립 공연예술도서관 내에 위치한 제롬 로빈스 댄스 디비전의 제롬 로빈스 기록영상 아카이브에 대한 내용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제롬 로빈스 댄스 디비전은 오랜 기간 춤에 관한 자료들을 수집, 기록, 보존하고 이를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노력을 꾸준히 해오고 있는 선구적인 기관이다. 본 논문은 도서관의 자료수집 정책 및 과정을 영상 기록물들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자료의 보존 및 목록화 작업에 관한 부분도 간략히 다루고 있다. 또한 안무에 대한 기록물으로서 춤을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하는 과정도 설명하고 있는데, 이때 춤 기록 비디오테이프는 그 편집과정에서 안무가와 비디오그라퍼 간의 협업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은 인터넷 상의 디지털 춤자료 사이트의 구현과 같은 향후 뉴욕 공립 공연예술도서관의 발전 계획 또 한 언급하고 있다.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