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무용역사기록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무용기록학회지283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제주도 칠머리당굿 춤의 삼재론적 공간특성 연구
강지희 ( Ji Hee Kang )  무용역사기록학회,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008] 제14권 1~38페이지(총38페이지)
본 연구는 제주도 칠머리당굿 춤의 공간 분석을 통해 한민족 문화의 사상적 근간을 이루는 삼재론적 특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제주도 칠머리당굿 춤의 공간 특성을 연구하는데 있어 두 가지의 연구문제--첫째 ‘칠머리당굿 춤에서 무당의 개인공간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둘째, ‘칠머리당굿 춤의 개인공간을 통해 나타나는 삼재론적 공간 특성은 무엇인가?’를 연구문제로 선정하였으며,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제주도 칠머리당굿, 삼재론, 공간이론을 바탕으로 현지 조사에서 비디오로 촬영한 칠머리당굿 춤의 신청궤(용왕과 영등신을 노래와 춤으로 청해 모시는 부분) 과정을 모티프 라이팅분석, 안무측정표 분석, 심층면담 분석을 통해 무당의 개인공간에 나타나는 공간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무당의 개인공간은 2차원의 시상면(Sagittal Plane)과 수직면(Ve...
TAG 제주칠머리당굿, 삼재론, 공간, Jeju Chilmeoridang Gut, SamJae Theory, Space
무용공연의 환경요인과 관람만족 및 재관람의도의 관계
김가영 ( Ga Young Kim ) , 유원용 ( Won Yong Ryu )  무용역사기록학회,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008] 제14권 39~60페이지(총22페이지)
본 연구는 무용공연의 환경요인이 관람만족과 재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무용공연을 관람하기 위해 공연장을 방문한 관객을 대상으로 비확률표집인 편의표본추출방법을 활용하여 303명의 표본을 추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2.0 Version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그리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에 의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무용공연의 환경요인은 공연장요인, 공연상황요인, 공연비용요인이 관람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재, 무용공연의 환경요인은 공연장요인, 공연상황요인, 공연비용요인이 재관람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용공연의 관람만족은 재관람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무용공연의 ...
TAG 공연환경요인, 관람만족, 재관람의도, environmental factors, viewing satisfaction, repurchase intention
한국 문묘제례일무의 고유성과 이에 따른 재연 및 전승
김영숙 ( Young Suk Kim )  무용역사기록학회,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008] 제14권 61~99페이지(총39페이지)
우리나라의 현행 의례절차나 제례악은 중국으로부터 전해졌으나 중국의 것을 그대로 받아들이기 보다는 ‘한국화’ 되어져 전승되어져 왔다. 일무 역시 중국의 제도를 받아들여 오랫동안 우리나라에서 추어 오면서 우리의 독자성과 고유성을 살려 우리의 춤사위로 재현되어 추어왔다. 그러므로 한국의 문묘제례일무를 재현함에 있어서 어느한 시대에 재연되어졌던 기록만을 기준으로 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며, 한국적 공간성과 시대적 필연성 등 많은 부분을 고려하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이에 연구자는 본고를 통해 한국 석전의 개괄과 연변을 돌아보고 한국의 문묘일무가 갖고 있는 고유성과 의미를 강조하면서 이에 따른 전승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중국에서 건너온 의례절차가 한국에서 ‘한국형’으로 정착하면서 변화된 석전의 내용을 살펴보면 몇 가지의 특징들을 구분할 수 있다. 먼저 한국의 대성전...
TAG 문묘일무, 석전, 무보, Confucian Shrine Ritual Dance(Munmyo Ilmu), Seokjeonje, Dance Notation
당산동 부군당굿의 보존과 전승에 관한문화기술학적 연구
김재리 ( Jae Lee Kim ) , 박지숙 ( Ji Suk Park ) , 안나용 ( Na Yong Ahn )  무용역사기록학회,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008] 제14권 101~128페이지(총28페이지)
본 연구는 서울에서 행해지는 마을 굿의 하나인 당산동 부군당굿의 보존 현황과 전승의 의미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이 당산동 부군당굿 현장에 참여하고 관찰하면서 굿 현장에서 나타나는 현상들을 살펴보고 이해하여 당산동 부군당굿의 문화적 양상을 기술하는 문화기술학적 현지조사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방법으로는 당산동 부군당굿의 참여관찰과 제주와 만신과의 인터뷰, 그리고 문헌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문화 기술적 방법을 통해 당산동 부군당굿에서 나타나는 모든 현상들과 이것의 관계를 이해하고 궁극적으로 우리시대의 보존, 전승되고 있는 마을 굿이주는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당산동 부군당굿은 서울에서 가장 오래된 마을 굿의 하나로서 올해로 605주년을 맞았다.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목적으로 하는 당산동 부군당굿은 당산동 향우회를 비롯한 마을 토박이들을 ...
TAG 문화기술학적 연구방법론, 부군당굿, 당굿, 당고사, Bugundang-Gut, Dangsan-Dong, ritual ceremony, Ethnographic method
의궤의 검기무 정재도 연구 -『진찬의궤』,『진연의궤』를 중심으로-
손선숙 ( Sun Sook Son )  무용역사기록학회,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008] 제14권 129~144페이지(총16페이지)
본 연구는 의궤(儀軌)에 수록된 검기무(劍器舞) 정재도(呈才圖)의 내용 이해와 정리를 목적으로 『진찬의궤』(進饌儀軌) · 『진연의궤』(進宴儀軌)의 무도내용을 살펴보았다.검기무 정재도는 『진찬의궤』에 3편, 『진연의궤』에 2편이 수록되었고, 5편 모두 여령정재이다. 동일한 무도내용이 의궤에 중복되어 제시되었는데, 순조 기축 · 고종 신축 『진찬의궤』와 고종 신축 · 고종 임인 『진연의궤』의 검기무 내용이 같다. 반면 헌종 무신 『진찬의궤』의 내용과는 구별된다. 검기무 정재도에 나타난 공통된 내용은 모두 검(劍)을 중심으로 마주보고 춤을 춘다. 무원의 수가 4인이며, 정재대형이 좌우대형으로 모두 같다. 그리고 좌우 제1대는 마주보고 앉아서 추는 ‘상대궤무’이고, 좌우 제2대는 일어서서 마주보고 추는 ‘상대기무’로, 좌우 제1대와 2대 모두 마주보고 춤을 ...
TAG 검기무, 劍器舞, , , 상대궤무, 相對궤舞, 농검, 弄劍, 상대기무, 相對起舞, 정재도, 呈才圖, 의궤, 儀軌, geomgimu, geom, sangdaegwemu, nonggeom, sangdaegimu, jeongjaedo, euigwe
창작무용 프로그램이 노인의 즐거움에 미치는 영향
이주연 ( Ju Youn Lee )  무용역사기록학회,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008] 제14권 145~165페이지(총21페이지)
본 연구는 노인에게 적합하도록 개발된 창작무용프로그램이 노인의 즐거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노인에게적합한 창작무용프로그램을 길버트(Gilbert)의 이론적 근거를 기반으로 하여 개발하였으며, 둘째, 개발된 12차 창작무용프로그램의 참여가 즐거움의 5가지 하위영역(자신감, 재미, 건강유지 및 미적체험, 사회성,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양적, 질적부분으로 나누어 규명하였다. 12차 창작무용프로그램 참여 전후간의 차이는 Pairedt-test(twotailed)를 통해 검증하였으며, 창작무용의 효과에 대한 구체적인 원인규명을위해 전체 피험자 20명 중 5명을 무선표집(random sampling)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12차 창작무용프로그램 전후 노인들의 자신감은 통...
TAG 노인, 창작무용, 즐거움, elderly, creative dance, enjoyment
소매틱스 이론을 적용한 움직임 교육방법론에 관한 연구+
전미현 ( Mi Hyun Chun )  무용역사기록학회,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008] 제14권 167~186페이지(총20페이지)
본 논문은 소매틱스(Somatics) 이론을 적용한 움직임 교육방법론에 관한 고찰을 통해, 기존의 무용테크닉에서 사용하지 않는 동작유형을 발견, 이를 무용교육과정에 보완하도록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소매틱스 이론가운데 아기 움직임의 발달 모형을 연구의 시발점으로 선택하였다. 그 이유는 생후 1년간의 아기의 움직임 발달은 인간 움직임의 기본적인 패턴을 지니고 있으며, 이후 움직임 실행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연구자는 선행연구로서 움직임에 관한 아기의 잠재된 능력으로 알려진 원시행동반사를 고찰하여 보고, 소매틱적 교육방법론 가운데, 아기의 움직임 연구에서 비롯된 보니 베인브릿지 코헨(Bonnie Bainbridge Cohen)의움직임 발달모형(Developmental Movement)과 바티니에프 펀더멘탈(Bar...
TAG 소매틱스, 움직임 교육방법론, 움직임 발달모형, 바티니에프 펀더멘탈, Somatics, Developmental Movement, Bartenieff Fundamentals(BF), Simplified Movement Behavior Profile, SMBP
논문 : 라반 움직임 표현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자기표현능력 개발에 미치는 효과: 초등학교 1-2학년을 중심으로
강성범 ( Sung Bum Kang ) , 김재리 ( Jae Lee Kim )  무용역사기록학회,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007] 제13권 1~24페이지(총24페이지)
본 연구는 라반의 움직임 분석(Laban Movement Analysis: LMA) 이론을 활용한 라반 움직임 표현 프로그램을 저소득층 아동들에게 적용시켜 보고 이것이 아동의 자기표현 능력향상에 효과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저소득층 아동들은 중산층의 아동들에 비하여 경제적 빈곤이나 부모의 보살핌의 결핍 등의 불리한 환경으로 인하여 물질적, 사회적, 심리적 결핍을 경험하며 성장한다. 선행연구에서는 이러한 빈곤의 특성으로 인하여 저소득층 아동들은 공격적이거나 소극적인 자기표현의 특징을 보인다고 지적해왔다. 이미 음악, 미술, 언어 분야에서 이러한 저소득층 아동들의 자기표현 능력 개발에 관한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효과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신체움직임 활동을 통한 자기표현 능력 개발에 관한 연구를 찾아볼 수 없...
TAG 라반 움직임 분석, Laban Movement Analysis, LMA, 저소득층, 자기표현, 움직임 교육, Low-income group children, selfexpression, movement education
Teaching Method of Ballet Class -through Laban Movement Analysis
박성희 ( Sung Hee Park )  무용역사기록학회,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007] 제13권 25~52페이지(총28페이지)
라반동작분석(LMA)은 무용 동작을 인식하는 방법(awareness)을 가르치는 것으로 최근 가장 각광을 받고 있다. 이는 움직임을 서술하고, 관찰하고, 분석하고 표기하는 것 모두를 포함한다. LMA는 네 개의 영역으로 구분되는데, 신체, 에포트, 쉐입, 공간으로 나뉜다. 이 분석 방법은 테크닉의 한 종류가 아닌 동작을 이해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으며 움직임의 본질을 찾는데 의의가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LMA를 이용한 발레 교수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발레의 동작이 어떻게 행해지고, 신체가 어떻게 움직이는지, 어떻게 변화하는지 그리고 신체와 공간 관계가 어떠한지를 설명하고 발레 수업에 적용하였다. 또한 무용수들이 그들의 신체인식과 효과적인 테크닉 수행을 도와주기 위해 LMA/BF의 개념과 용어 및 모티프 표...
TAG 라반동작분석, 발레, Effort Phrasing, awareness, BESS, LMA, ballet
논문 : 해방공간기 무용교육연구
유미희 ( Mi Hee Yoo )  무용역사기록학회,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007] 제13권 53~80페이지(총28페이지)
본고는 해방공간기(1945년 8.15해방~1950년 6.25발발 이전)의 무용교육과 그 활동상황을 고찰함으로써 한국무용교육의 역사적 위상과 동향을 새로이 인식하고 향후 무용교육 발전방안 모색의 단초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해방공간은 우리 역사에 있어서 정치적 혼란 속에 각 분야에서 다양한 활동이 펼쳐진 시기로 민족의 해방을 기점으로 주체성 찾기에 여념이 없었으며 그 과정에서 혼돈과 반목을 거듭하면서 새로운 진로 모색에 집중한 시기였다고 할 수 있다. 무용의 역사에 있어서도 해방공간기는 시대적 변화와 조류에 편승하면서 현대 무용교육의 토대를 마련한 중요한 시기라 할 수 있다. 이에 본고는 이론적 배경으로서 해방공간의 사회 문화적 흐름과 교육계 동향을 살펴보고 무용에 있어서의 조직체를 중심으로 무용인들의 일반적 활동사항을 고찰한 후 그 속...
TAG 무용교육, 해방공간, 교육무용, 조선교육무용연구소, Dance Education, Choseon Educational Dance Institute, Post-Liberation Period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