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무용역사기록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무용기록학회지283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논문 : 무용분야 문화기반시설에서 유비쿼터스도입을 위한 콘텐츠 연구동향의 계량서지학적 분석
황동열 ( Dong Ryul Hwang )  무용역사기록학회,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010] 제20권 135~168페이지(총34페이지)
유비쿼터스컴퓨팅시스템이 진화되면서 디지털콘텐츠의 활용범위가 확장되고 있고, 최근에 도서관과 박물관 등 문화기반시설에 도입되면서 새로운 기능과 역할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이에 따라 예술분야에서도 유비쿼터스기술의 활용을 위한 장르별 현황을 분석하고 동향을 제시하여, 디지털콘텐츠의 융합적 활용을 위한 대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이나 박물관, 아카이브 등 문화기반시설에서 유비쿼터스기술의 도입을 위한 연구현황을 분석하고, 무용분야의 디지털콘텐츠의 연구동향을 대입하여 상호 관련성과 향후 연계방안을 제시하였다. 디지털콘텐츠와 유비쿼터스기술의 연계활용에 대한 연구와, 무용분야의 문화기반시설과 콘텐츠현상에 대한 관련 석·박사학위논문을 계량서지기법으로 분석하여, 무용분야의 유비쿼터스기술의 도입 및 진행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동향의 분석결과, 무용분야의 ...
TAG 무용도서관, 무용아카이브, 무용박물관, 유비쿼터스기술, 디지털콘텐츠, Dance Library, Dance Museum, Dance Archives, Ubiquitous Technology, Digital Content
근대 서구식 극장 설립에 따른 기생공연의 변모 양상
강인숙 ( In Sook Kang ) , 오정임 ( Jeong Im Oh )  무용역사기록학회,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010] 제19권 1~27페이지(총27페이지)
춤은 시·공간의 예술이다. 춤에 있어 공간은 중요한 요소이다. 우리의 전통춤 공간은 19세기 말엽 서구의 문물이 유입되면서부터 급격히 변화한다. 이런 변화에 의해 탄생한 것이 극장이다. 극장의 탄생배경은 우리 전통사회에 서구스타일의 문화예술이 도입되고, 유행됨에 따라 전통예술의 향유방식이 서구화되기 시작하면서부터 변화하였다. 이런 변화의 요인은 외국과 교류가 빈번해짐에 따라 서구 스타일의 영향이 우리 전통사회에서 연행된 것과 경성이 상업도시로 변모하면서 시민들의 문화예술에 대한 향유욕구의 변화가 일어난 것이다. 이런 사회적 요구에 의해 생긴 것이 프로시니엄 스타일의 극장이다. 프로시니엄 스타일의 극장 설립은 연행주체의 변화를 초래하였다. 과거 연행 공간에 따라 구분된 연행 주체가 프로시니엄 스타일의 극장에서 활동함에 따라 연행 주체의 구분에 변화가 생겼...
TAG 기생, 프로시니엄 무대, 매일신보, 예단일백인, Gisaeng, Proscenium Style Theater, Maeilsinbo, One Hundred Artists in the Art Group
TV 광고 춤에 나타난 젠더 이미지(gender image)연구
오주연 ( Chu Yun Oh )  무용역사기록학회,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010] 제19권 29~45페이지(총17페이지)
본 연구는 TV 광고 춤의 움직임과 시선 활용을 살핌으로써 광고 속 새로운 젠더 이미지의 양상을 밝히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미디어 속 젠더에 대한 선행 연구는 주로 여성의 성이 성적으로 대상화되고 섹슈얼리티의 전형성을 강화하면서 남성은 시선의 주체, 여성은 객체로서 이분화되는 것에 주목했다. 이에 반해 본 연구는 섹슈얼리티의 강조는 여성에 국한된 것이 아니며 나아가 시선의 주체로서의 남성과 그 대상으로서의 여성이라는 전통적인 젠더 이미지가 해체되는 것에 주목하였다. 연구 대상은 행위자(댄서), 춤과 상품 유형에서 대표성을 띠는 2000년대 국내 주요 방송사에 방영된 네 편의 광고로 선정하였다. Laban의 에포트 이론(Theory of Effort)을 활용해 움직임을 분석하였으며 여기에 Berger(1972)가 제시한 직접적·간접적 시선, 교...
TAG 젠더 이미지, TV 광고 춤, 시 에포트 이론, 영상 이미지, Dances in Television Commercial, Gender Image, Gaze, Effort, Visual Image
무용창작에서 "새로움"에 대한 철학적 고찰 -미셀 포킨의 발레개혁을 중심으로
조기숙 ( Ki Sook Cho )  무용역사기록학회,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010] 제19권 47~63페이지(총17페이지)
`새로움`은 예술창작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이자 아주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는 용어이다. 전통을 그대로 보존하는 무용의 한 부분을 제외하고 예술로서의 무용에서 새로움에 대한 추구는 예술창작의 아주 근본적이고 핵심적인 개념이라 아니 할 수 없다. 물론 새롭다고 해서 모든 것이 예술로 인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새롭지 않고는 예술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그렇다면 `새롭다`는 것은 도대체 무엇을 말하는가? 새롭다고 말하는 것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새로움을 추구하는 예술은 어떤 조건을 갖추어야 하는가? 무용예술에서 새로운 것의 출현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 무용작품에서 새롭다고 한다면 그것은 어떤 점에서 새로운가? 모던발레의 아버지 미셀 포킨이 주창한 발레개혁은 어떤 점에서 새롭다고 할 수 있는가? 그리고 철학은 예술의 `새로움` 추구에 어떠한 존재론적 그리고 인식...
TAG 새로움, 역사철학, 헤겔, 아도르노, 니체, 미셀 포킨, Novelty, Philosophy of History, Georg Wilhelm Friedrich Hegel, Theodor Adorno, Friedrich Wilhelm Nietzsche, Michel Fokine
무용전공자의 성격특성에 따른 정서 및 신체의식의 차이
하혜석 ( Hye Seok Ha )  무용역사기록학회,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010] 제19권 65~82페이지(총18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무용(한국무용, 현대무용, 발레)전공자의 성격특성에 따른 정서 및 신체의식의 차이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전공자들의 성격특성과 전공에 따른 정서의 차이 조사에서 SP(Sensing Perceiving: 인식과 행동양식의 감각인식형) 유형의 성격특성은 발레의 숙련된 동작 요구, 제약적인 표현방식과 맞물려 자긍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완벽을 요구하는 자기비판 성향이 높은 NT(iNtuition Thinking: 인식과 판단양식의 직관사고형) 유형의 성격특성은 발레전공자들의 부정적인 정서와 관련이 높다. 또한 NF(iNtuition Feeling: 인식과 판단양식의 직관감정형) 유형의 성격특성은 현대무용이 추구하는 성격특성에서의 자유로움과 탈피와 관련하여 활력감과 자긍심...
TAG 정서, 신체의식, 성격, MBTI, Mood, Body-Consciousness, Positively, MBTI`s Typology
박은하의 민승무 중 법고무 연구
허순선 ( Soon Sun Heo )  무용역사기록학회,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010] 제19권 83~117페이지(총35페이지)
박은하는 광주 지역의 원로 춤꾼으로서 담양 출신의 조모안과 목포 출신의 이매방을 스승으로 춤을 다져 1960년대 초부터 춤꾼들을 많이 길러온 인물이다. 1950~1960년대에 사회에서 활발히 활동한 광주 지역의 춤 선생으로는 조모안, 한진옥, 이명석, 이상준, 박은하가 있었지만 현재 생존해 있는 분은 박은하 뿐이다. 김금옥, 조모안, 박은하로 이어진 민법고무는 김금옥, 박영구, 이매방으로 이어진 민법고무와 조금 다른 특징을 지닌다. 그러므로 박은하의 민법고무를 기록으로 남김도 의의가 있다고 생각하여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무보를 창안하여 표기 하였다. 민법고무의 무보는 가락보를 중심으로 아래쪽으로는 수타보(手打譜), 구음보(口音譜), 밑몸길(발과 무릎의 움직임)을 표기 하였고 위쪽으로는 맘결(감정), 숨결(호흡), 윗몸길(머리와 몸통의 방향)을...
TAG 윗몸길, 숨결, 맘결, 가락보, 수타보, 구음보, 밑몸길, Utmongil, Seumgyoul, Mamgyoul, Garakbo, Sutabo, Gueumbo, Mitmomgil
지역특성을 고려한 무용축제 연구 -부산시 무용축제를 중심으로
황인주 ( In Joo Hwang )  무용역사기록학회,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010] 제19권 119~132페이지(총14페이지)
현재 타 지역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지역 무용축제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은 부산으로서 부산에서는 `부산 국제해변무용제`와 `부산 국제여름무용축제`가 매년 열리고 있다. 부산 국제 해변무용제는 부산 국제영화제 및 국제락페스티발과 더불어 부산시가 국제문화에술행사의 하나로서 2005년부터 적극 추진하고 있는 무용축제이며, 부산 국제여름무용축제는 1988년 시작된 이래 꾸준하게 지역 무용문화의 창달과 무용의 질적 향상을 위해 경성대학교가 주관이 되어 추진하고 있는 무용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 무용축제에 대한 개요와 특징에 대한 분석을 통해 타 지역 무용축제의 성공적 개최 및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앞으로도 부산 무용축제가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부산 무용축제로부터 도출된 시사점은 무엇보다도 지역 무용축제의 성공적 수...
TAG 무용축제, 문화예술축제, 지역문화, 지역축제, Dance Festival, Art Festival, Regional Culture, Regional Festival
논문 : 한국무용기록에 있어서 호흡 표기에 관한 의미론과 전개방향 모색
김지원 ( JI Won Kim )  무용역사기록학회,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010] 제18권 1~21페이지(총21페이지)
한국무용의 기록은 현재 상당한 발전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 본 논고는 한국춤이 서양의 춤과는 상대적인 의미론에서 차이가 있음을 논하고, 어떤 관점에서 기록을 해야 하는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에 논점은 한국춤의 정서와 사상에 대해 보다 정밀한 기록적 요구를 필요로 함을 시사한다. 즉 한국춤을 기록할 수 있는 독자적인 형태를 추구함에 있어서, 호흡의 의미론과 표기법에 관련한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한국춤의 기록과 관련한 호흡은 각 동작마다 세세한 근육의 움직임과 골절의 구조에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이에 담긴 에너지, 힘 등을 계량적으로 파악하는 것도 춤동작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데 거쳐야 할 작업이다. 또한 현재의 디지털 방식, 예를 들어 모션 캡처(motion capture)는 춤에 담긴 정신의 지향성, 호흡에 따른 우주와의 교감과 음양...
TAG 한국춤, 무용기록, 호흡표기법, 모션켑처, 라바노테이션, 한국춤동작, Korean dance, record of dance, making method of breathes, motion capture, Labanotation, Korean Dance actions
논문 : 성경에 나타난 춤의 의미 및 특성에 관한 연구
박영애 ( Young Ae Park )  무용역사기록학회,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010] 제18권 23~39페이지(총17페이지)
성경에는 직접적으로 "춤"이라는 단어가 사용됐을 때 외에도 춤의 의미가 함축되어 있는 구절들이 많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성경에서 춤이나 움직임과 관련된 용어들이 어떻게 표현돼있는지 히브리어를 통해 조사하고, 더 나아가 그 용어들의 의미를 바탕으로 움직임의 특성들을 알아 보았다. 무용과 관련된 히브리어의 조사를 통해 성경에서 나오는 춤들은 대체로 예배와 경배, 기쁨과 감사, 예언, 절기와 축제, 그리고 유희와 여흥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춤의 형태를 보면 경배와 예배를 위한 춤에서는 무릎을 꿇거나 허리를 굽히는 움직임, 기쁨과 감사를 위한 춤에서는 발을 구르고 점프하며 빠르게 도는 활발한 움직임, 영감을 받아 추는 예언의 춤에서는 즉흥적인 움직임, 여흥이나 유희적 춤에서는 리드믹한 발동작과 자유로운 움직임들이 각각의 특징으로 나타...
TAG Christian dance, worship, bible, 기독교무용, 경배, 성경
논문 : 한국전통춤 연구를 위한 언어학적 접근은 어떻게 가능한가
송성아 ( Sung A Song )  무용역사기록학회,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010] 제18권 41~58페이지(총18페이지)
전통적 언어학의 입장을 고려하면 춤의 언어학적 접근은 원천적으로 불가능한 것이다. 본 논의는 stokoe의 "의미론적 음운론"을 통해 언어학적 접근가능성을 본다. 동시에 개념화의 산물인 몸짓과 육체적 사유의 산물인 춤이 다른 층위임을 또한 확인한다. 여기서 한국전통춤 형식 연구를 위한 언어학적 접근은 춤의 언어적 성격 및 구조원리 파악을 전제할 때 가능한 것으로 본다. 한국전통춤 언어는 형식과 내용 간에 구체적 지시대응물 또는 의의가 없는 것으로 형식이 곧 내용이 된다. 이러한 언어적 성격을 표현으로 간주한다. 또한 언어적 성격을 단순히 지시 관계에 의해서만 규정하지 않고 춤의 본질과 더불어 물음으로서 그 의미의 폭을 확장시키는 동시에 표음적 표현 언어로 구체화시키고 있다. 이로서 형식연구의 방향을 통사론에 주안점을 둔 `고유한 성격을 안고 있는 형식...
TAG Gestural syntax, semantic phonology, expression, Cross-stitched Seam Structure, Tying and Untying Structure, 몸짓통사론, 의미론적 음운론, 표현, 연산구조, 맺고 푸는 구조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