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무용연구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무용연구574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무용 지도자의 연기 전공 입시 무용 특기 지도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손원미 ( Son Won-mi ) , 전순희 ( Jeon Soon-hee )  한국무용연구학회, 한국무용연구 [2020] 제38권 제4호, 71~107페이지(총37페이지)
본 연구는 연기 전공 입시 관련 특기로서의 무용 지도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로 현재 학교, 학원 등에서 무용 특기 수업을 진행하는 무용 지도자들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연기 전공 입시 특기 무용 지도의 현 상황을 탐구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연기 전공 입시생 무용 특기 작품 지도 경험이 5년 이상인 지도자로, 의도적 표본추출법으로 5명을 선정하여 심층면담 및 개별 문서자료를 작성하고, 연구 설계 3단계 구성에 따라 자료 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시간성 내러티브 탐구 결과 대부분 대학 전공시절부터 무용 지도를 경험하고, 다양한 분야의 경험이 향후 연기 전공생의 무용 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시기의 경험은 대학 졸업 후 생계와 적성을 이유로 지속 되었으며, 직업적으로 보람을 느끼고 있었다. ...
TAG 내러티브, 연기 전공, 무용 특기, 무용 지도자, 특기 지도, narrative, acting majors, dance specialty, dance instructor, specialty teaching
<도깨비 터>에 드러난 움직임의 예술적 특성에 관한 연구
안정연 ( An Joung-youn )  한국무용연구학회, 한국무용연구 [2020] 제38권 제4호, 109~130페이지(총22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 민족의 민간신앙인 도깨비 설화에 나타난 다양한 인물들의 성격과 현대인과의 유사점을 찾아 이를 예술적 움직임인 창작무용의 소재로 발전시키는 것이다. 중국, 일본, 인도, 러시아 등 여러 나라에서 도깨비 문화가 공존하고 있지만, 우리 민족 특유의 도깨비 설화는 친화성, 토속성, 공동체를 중시했던 한국인의 인간관이 투영되어 있다. 이를 통해 현대인들의 복잡하게 얽혀진 인간관계를 회복하자는 교훈적 의미도 담고 있다. 또한, 인간들이 도깨비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고, 도깨비의 내면은 어떤 모습인지 찾아내어 어떤 성격을 가진 도깨비를 만들었는지, 그 안에 어떠한 도깨비의 역할을 부여했는지 무용 작품에 적용하는 계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무용 작품 <도깨비 터>는 친근한 소재인 도깨비를 활용하여 도깨비와 인간의 모습을 역동적으로 그려내고자 하였으...
TAG 한국무용, 창작, 도깨비, 설화, 민간신앙, korean dance, creation, goblin, folk beliefs, tales
문화브랜드로서의 문묘일무의 상징적 가치 연구
유혜진 ( You Hye-jin )  한국무용연구학회, 한국무용연구 [2020] 제38권 제4호, 131~154페이지(총24페이지)
본고는 우리 고유의 문화유산인 문묘일무가 전통의례의 현대적 해석을 통한 문화브랜드로서 자리했을 때 얻게 되는 상징적 가치에 대한 연구이다. 문묘일무를 문화브랜드로 규정하고 이를 통해 상징적 가치를 탐구하여 우리의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함은 인성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한 현 사회에 문묘일무가 그 길잡이가 되어줄 문화적 자산이기 때문이다. 또한 문묘일무가 현대사회에서 보존·발전되어야 하는 이유와 정당성을 확보하여 우리문화를 올곧게 이어가고자 하는 의지의 실현이기도 하다. 문묘일무에 내재된 상징적 가치는 다음의 4가지로 덕성의 체화, 질서와 조화, 지과위무를 통한 화덕, 음양대대와 음양합덕이 지향하는 화합이다. 춤사위의 체현을 통해 덕의 내재적 가치를 체득하고, 예악의 체계를 견고하게 하는 정당한 규범으로서 질서와 조화의 가치를 이해하고, 화덕의 진정한 ...
TAG 문화브랜드, 문묘일무, 덕성, 화덕, 지과위무, 화합, cultural brand, Munmyo Ilmu, virtues, harmony, the primary of power as a means to achieve peace, living in harmony
삼재사상으로 본 향토민요춤 특성연구-용전들노래와 수영농청놀이를 중심으로-
이미영 ( Lee Mi-young )  한국무용연구학회, 한국무용연구 [2020] 제38권 제4호, 155~179페이지(총25페이지)
본 연구는 삼재사상에 들어있는 한국사상의 근본을 먼저 살펴보고 이에 따라 향토민요춤의 특성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에 향토민요춤 중에서 농경 생활에서 비롯된 농사노동 민요춤인 남도 광주지역의 용전들노래와 부산지역의 수영농청놀이를 중심으로 전개하였다. 또한 인터뷰와 함께 문화층차분석법을 활용하여 이를 천지인 삼재사상으로 대입, 향토민요춤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삼재사상으로 본 향토민요춤에 깃든 특성 중 첫째 지역성의 측면은 용전들노래가 영산강 상류 드넓은 농사를 짓기 좋은 지역에서 행해졌으며, 수영농청놀이는 조선시대 수영지역에서 농부들이 농청을 조직하여 집단으로 농사짓던 곳으로 하늘과 땅, 인간 생명의 귀함이 농사의 결실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용전들노래와 수영농청놀이를 전승하고 보존하기 위해 마을마다 또 사람을 이어주는 네트워크의 연결로서, 두레와 향약의...
TAG 삼재사상, 민요춤, 용전들노래, 수영농청놀이, 향토춤, Sam-Jae Thought, Korean folk dance, Korean local dance, Yongjeondeul song, Suyeongnongcheong play
강선영류 태평무 도살풀이 과장의 호흡유형에 따른 춤구조 분석
정경화 ( Jung Kyung-hwa )  한국무용연구학회, 한국무용연구 [2020] 제38권 제4호, 181~213페이지(총33페이지)
춤의 구조분석은 춤의 실체를 파악하고 형태를 보존하는 측면에서 개별적 춤 스타일의 고유성을 제공하는 것과 연관된다. 본 연구는 강선영류 태평무 도살풀이 과장의 호흡구조 분석을 통한 주요 호흡유형을 파악하고, 호흡유형에 따른 춤구조를 분석하여 춤구조의 특징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임학선의 ‘호흡표기법’을 적용하고 ‘춤구조 분석 방법론’을 활용하여 춤의 구조를 분석하였다. 호흡구조는 크고 깊은 호흡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첫 박이 날숨으로 시작하는 장단이 많았다. 들숨과 날숨의 규칙적 패턴과 엇박과 들숨멈춤, 날숨멈춤의 변형된 불규칙적 호흡패턴의 두 가지 양상으로 나타났다. 춤기법 구조는 맺음과 풀음으로 긴장과 이완의 역동적 조화를 이루며 특히 풀음기법의 효과를 최대화 시켰다. 동작선 구조는 힘의 연속에 의해 ‘점-선-원’의 호흡선이 동작으로 완성되어 공간 안에서...
TAG 강선영 태평무, 호흡표기법, 호흡유형, 호흡구조, 춤구조, Kang Sunyoung Taepyeongmu, breathing notation, breathing pattern, breathing structure, dance structure
공연예술 비대면 심사에 관한 사례연구 : ‘2020년 세종대왕전통예술경연대회’를 중심으로
최지선 ( Choi Ji-sun )  한국무용연구학회, 한국무용연구 [2020] 제38권 제4호, 215~232페이지(총18페이지)
코로나19 발생을 계기로 문화예술과 공연에 온라인 정보통신기술이 적극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전통예술에서도 무대공연 실기심사가 비대면 형식으로 진행된바 있다. 본 연구는 2020년에 개최된 제6회 세종대왕전통예술경연대회의 비대면 예선 심사에 대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대회 실무관계자와 평가에 참여했던 전문심사위원 6명을 선정하여 전화인터뷰와 면담을 진행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온라인 심사평가제도 정착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아울러 새로운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하여 전통예술의 대중적인 기반을 넓히는 동시에, 기존 오프라인 집단관람에 더하여 온라인에서도 생동감 있게 문화예술을 향유할 수 있는 산업과 수익 구조를 창출해 나가기 위한 공연 유통플랫폼을 지속적으로 개발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TAG 공연예술, 온라인, 평가제도, 대중적, 유통플랫폼, performing arts, online, evaluation system, popular, online performance platform
PBL과 블랜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을 활용한 교양무용 수업 사례연구
김소연 ( Kim So-yeon ) , 김정은 ( Kim Jeong-eun )  한국무용연구학회, 한국무용연구 [2020] 제38권 제3호, 1~31페이지(총31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원격학습에 있어 PBL과 블랜디드 러닝을 혼합한 교양무용 실기수업의 활용가능성과 혼합학습에 대한 인식경험을 탐색해보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국내 S여자대학교 27명의 학생들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양무용 실기수업에 있어 PBL과 블랜디드 러닝의 상호보완 학습은 VAK의 학습 유형 이론을 근거로 시청각 자료와 읽기자료, 안무 활동자료, 과제 등의 콘텐츠가 제시되었다. 둘째, PBL과 블랜디드 러닝을 통한 수업운영방식은 창의적인 과제 제시 및 자기주도적 학습을 확대시켜나가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셋째, PBL과 블랜디드 러닝을 함께 실시하였을 때 학습자가 느낀 교육 환경과 혼합학습에 대한 학습자 인식 경험은 각각의 장, 단점을 상호보완하고 있다는 긍정적인 진술을 탐색해 볼 수 있었다. 본 연구가 무용실기교육에 대한 ...
TAG PBL, 블랜디드 러닝, 온라인 콘텐츠, 교양무용 수업, 사례연구, PBL, Blending Learning, Online Content, Elective Dance Class, Case Study
디지털 교육에 있어 무용의 ‘초지능’, ‘초신체화’ 그리고 ‘신체적 헌신’에 관한 철학적 논고
김정은 ( Kim Jeong-eun )  한국무용연구학회, 한국무용연구 [2020] 제38권 제3호, 33~54페이지(총22페이지)
이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라는 변혁의 시대에 던져진 온라인 무용교육에 대해 비판적으로 논고해 보고자 시도되었다. 여기에는 디지털 공간 속 ‘초지능’, ‘초신체화’를 핵심 개념에 두고 온라인 무용교육에서의 ‘신체적 헌신’을 철학적 관점에서 성찰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공간, ‘신체 현전’에 대한 실존주의적 입장은 가상공간에서의 상호신체성을 다루었다. 둘째, 온라인 무용교육에서 ‘초지능’과 ‘초신체’가 주는 쟁점은 창의성의 자동화, 창조성의 단순화라는 비판적 고찰이 이루어졌다. 셋째, 디지털 무용교육에 있어 ‘신체적 헌신’은 온라인 공간에서의 심미적 가능성과 윤리적 행위를 통해 논거 되었다. 이 연구가 디지털 무용교육에 있어 인문학을 논하는 선행연구로서 축적되길 기대해 본다.
TAG 온라인 무용교육, 공간, 초신체화, 초지능, 신체적 헌신, Online dance education, space, super-somatization, super-intelligence, physical commitment
무무(武舞)의 지향점 탐구를 통한 한국 문묘일무의 독자성 연구
박지선 ( Park Jee-seon )  한국무용연구학회, 한국무용연구 [2020] 제38권 제3호, 55~81페이지(총27페이지)
석전대제의 춤인 문묘일무는 문무(文舞)와 무무(武舞)의 유형으로 구분된다. 이 연구는 한국만이 유일하게 전승하고 있는 무무 연구를 통해 문무(文武) 공존이 필수불가결한 것임을 규명하는 것에서 출발하며, 무무의 지향점을 탐색해 한국 문묘일무의 독자성을 밝히데 목적을 둔다. 이에 문묘일무의 무보(舞譜)와 무무에 관한 기록이 담긴 고문헌의 내용들을 연결시켜 교차연구함으로써 무무의 지향점을 탐색했다. 그 결과 무무는 전쟁을 묘사했지만 궁극적으로 평화를 추구하는 춤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전쟁으로 질서를 세운 후 문(文)으로 통치체제를 구축한다는 ‘이문지무(以文止武)’와 전쟁에서 사용한 무기들을 봉함으로써 다시는 전쟁을 일으키지 않겠다는 의지를 표한 ‘건고(建櫜)’의 의식절차에 나타났다. 이로써 정벌은 태평성대를 위한 차선책일 뿐, 반드시 문(文)으로 귀결됨...
TAG 문묘일무, 석전대제, 무무, 대무, 육대대무, 유교제례무, Munmyo Ilmu, Seokjeon Daeje, Mumu, Daemu, Six Dynasties Dance, Confucian ritual dance
최현류 산조춤의 특성 연구 - <연정>, <남색끝동>, <남천>을 중심으로 -
윤명화 ( Yun Myung-hwa )  한국무용연구학회, 한국무용연구 [2020] 제38권 제3호, 83~111페이지(총29페이지)
최현(崔賢 1929~2002)은 근대 한국 춤과 현대 한국 춤을 이어주는 징검다리이자 현대 한국 춤의 개척자 역할을 한 인물로 1929년 부산에서 태어나 2002년 지병으로 타계하기까지 무용수, 교육자, 배우, 창작안무가로서 많은 역할을 하였다. 섬세한 감성과 춤의 품격으로 동양적 심미성과 세계관을 작품으로 표출했으며 <비상>, <군자무>, <허행초>, <시집가는 날> 등 한국무용사에 기록될만한 작품을 만들었다. 이와 더불어 여러 편의 창작 소품을 안무하였는데 이중 여성 제자들을 위해 안무한 산조춤은 각각 다른 류파와 악기로 연주된 산조음악과 주제로 다양한 춤사위로 안무되었다. 안무된 작품 중 <연정(戀情)>, <남색끝동>, <남천(南天)>을 하나의 텍스트(Text)로 보고 무대 위에서 시·청각적으로 드러나는 동작, 음악, 의상, 소품 등의 co...
TAG 최현, 산조춤, 남색끝동, 연정, 남천, Choi Hyun, Sanjo Dance, Namchaekutdong, Yeonjeong, Namcheon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