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무용연구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무용연구574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무용전공 대학생의 투지와 무용공연자신감이 무용중독에 미치는 영향
이명자 ( Lee Myung-ja )  한국무용연구학회, 한국무용연구 [2020] 제38권 제3호, 113~138페이지(총26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투지와 무용공연자신감이 무용중독에 대해 어떠한 영향력을 보이는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무용전공 대학생 210명이며, 연구도구로는 투지척도, 무용중독척도 및 무용공연자신감 척도를 사용하였고, 자료처리는 상관분석 및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무용중독에 대한 투지와 무용공연자신감의 상관분석결과에서 무용중독의 금단증세, 애착, 내성, 강박증 하위요인 모두와 투지의 흥미일관성과 노력지속성 하위요인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무용중독의 하위요인 모두와 무용공연자신감의 숙련 자신감, 인지효율자신감 및 회복탄력 자신감간에도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회귀분석결과에서는 무용공연자신감의 인지효율자신감은 무용중독의 애착과 강박증에, 그리고 숙련자신감은 금단증세와 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투지...
TAG 무용전공 대학생, 무용중독, 투지, 무용공연자신감, Dace major student, Grit, Dance performance confidence, Dance addiction
한영숙류 태평무 전승에 따른 춤사위 비교분석
한소정 ( Han So-jung ) , 윤수미 ( Yoon Su-mi )  한국무용연구학회, 한국무용연구 [2020] 제38권 제3호, 139~165페이지(총27페이지)
본 연구는 한영숙류 태평무의 전승 양상을 살핀 후, 기존의 태평무와 현행의 태평무를 비교 분석한 것이다. 이에 연구자는 문헌에 바탕을 두어 기존의 연구들을 수집 분석하였고, 영상을 활용하여 비교 연구하였다. 영상은 1985년 ‘우봉 이매방북소리2공연’에서 한영숙이 춘 태평무와 2019년 ‘벽사 한영숙 선생 30주기 추모공연’에서 박재희가 춘 태평무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왕비의 춤이란 점과 의상 그리고 전체적인 음악 구성을 그대로 수용한 점에서 유사성 있었다. 이에 반해 음악 안에서 장단의 순번과 장단 수에서는 차이점이 있었으며, 춤사위는 기존의 사위, 기존의 사위에서 발전된 사위 그리고 새롭게 추가된 사위가 나타나면서 무대예술로 장단과 춤사위에서 풍성해진 면모와 함께 예술적 가치가 한층 우수해졌다. 한영숙류 태평무는 1989년 한영숙 서...
TAG 한영숙, 박재희, 태평무, 춤사위, 새가락별곡, Han Young Suk, Park Jae-hee, Taepyeongmu, Choreography, Seagarakbyeolgok
전통춤 전용극장의 공간적 특성 연구
고효영 ( Ko Hyo-young ) , 윤수미 ( Yoon Su-mi )  한국무용연구학회, 한국무용연구 [2020] 제38권 제2호, 1~27페이지(총27페이지)
본 연구는 전통예술의 발전이라는 공동의 목적을 지니고 있는 ‘남산국악당’, ‘민속극 장풍류’, 국립국악원의 ‘풍류사랑방’, ‘한국문화의집(KOUS)’ 극장에서 공통적인 공간적 특성을 도출 및 제시하여 한국전통예술의 고유한 문화계승과 한국 전통춤 발전에 기여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국내 학위 논문과 학술지 및 언론 보도 자료, 공연장 각 기관의 사이트를 통해 정보를 수집하여 연구를 시도하고자 한다. 이에 전통춤 전용극장 공간적 특성을 도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마당의 장점을 살린 돌출무대의 구조를 지니고 있어 관객이 무대와 밀착된 상태로 있기에 공연의 몰입도가 높으며,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다. 둘째, 전통춤 전용극장은 자유로운 방향성에 중점을 두는 공통적 특성이 도출되었다. 셋째, 무대와 객석간의 거...
TAG 전통예술, 전통춤 공연, 전통춤 전용극장, 공간적 특성, Traditional Arts, Traditional Dance Performance, Traditional Dance Theater, Characteristics of spatial element
‘한국무용’ 장르의 연구동향
김미경 ( Kim Mi-kyung )  한국무용연구학회, 한국무용연구 [2020] 제38권 제2호, 29~51페이지(총23페이지)
이 연구는 1973년 이후 출판된 ‘한국무용’ 장르에 해당하는 학술지 게재논문을 대상으로 키워드네트워크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한국무용’ 장르의 연구동향을 파악함으로써 ‘한국무용’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첫째, ‘한국무용’ 장르 학술논문의 발표현황을 파악하고 둘째, ‘한국무용’ 장르 학술논문의 키워드를 분석하고 연관단어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최종 선정된 ‘한국무용’ 관련 논문은 2,483편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논문으로부터 얻은 키워드는 정제과정을 거쳤으며 최종 선정된 키워드 수는 4,569개이다. 학술논문의 네트워크는 동시출현(co-occurrence) 빈도와 비율, 연결중앙성(degree centrality) 지수, 연결망 지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관단어 분석은 전체 키워드 중 ...
TAG 한국무용, 연구동향, 무용학 학술논문, 키워드네트워크, NetMiner, Korean dance, research trend, journal of dance research, Keyword network
생물학적 관점에서 본 무용의 미적 진화 : 성과 윤리의 미적 경로를 중심으로
김정은 ( Kim Jeong-eun ) , 신현군 ( Shin Hyun-kun )  한국무용연구학회, 한국무용연구 [2020] 제38권 제2호, 53~72페이지(총20페이지)
본 연구는 ‘무용생물학(dance biology)’이라는 논제를 두고 자연적응의 진화로서 무용이 어떻게 예술적 전환을 맞이했는가에 관한 미적특성과 진화경로를 탐색해 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는 ‘성(sexuality)’과 ‘윤리(ethics)’라는 미학적 경험을 중심으로 고찰되었으며 예술에 관한 미적 진화론을 언급한 Dissanayake, 아름다움에 관한 진화생존능력을 기술한 Prum, 이기성과 이타성을 생물학적으로 설명한 Dawkins과 Blackmore의 이론적 견해들이 핵심 이론서로 차용되었다. 무용 생물학에 대한 미적 쟁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은 집단과 개체의 지속적 생존을 위한 사회적 적응의 형질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미적 기원이 논의되었다. 둘째, 무용생물학이 가지는 경제적 가치는 재화가 아닌 고결한 기부형태로...
TAG 무용, 생물학, , 윤리, 미적 진화, 사회생물학, Dance, Biology, Sexuality, Ethics, Aesthetic evolution
생태예술(eco-art)을 통한 무형문화재춤 콘텐츠 연구
김지영 ( Kim Jee-young ) , 김기화 ( Kim Ki-hwa ) , 유지영 ( Yoo Ji-young ) , 백현순 ( Baek Hyun-soon )  한국무용연구학회, 한국무용연구 [2020] 제38권 제2호, 73~99페이지(총27페이지)
무형문화재춤은 크게 상징적 양상의 예술춤과 의식적 양상의 의례춤, 행위적 양상의 놀이춤으로 분류 할 수 있으며 각 지방 자치제 대표축제의 표상으로 지역의 문화와 정체성을 만드는 중요한 작용을 한다. 이러한 지역축제의 무형문화재춤들이 이벤트성 보여주기 공연으로 고착 된 춤문화로 인식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지역의 독특한 문화와 전 방위적 환경을 통한 살아 숨 쉬는 생태학적 담론으로 그 해결책을 찾아보고자 한다. 이에 생태학적 접근을 통한 국가와 지역의 무형문화재춤 콘텐츠 필요성과 새로운 춤문화콘텐츠의 접근 방법론을 도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문헌연구방법을 적용, 생태예술의 미적 원리와 접화군생의 생명론을 근거로 제시하고 지역성과 독자성 그리고 세계성을 동시에 획득되고 있는 종합예술의 공동체적 인류문화유산인 무형문화재춤의 창조적 전형(典型)을 활용하였다....
TAG 무형문화재춤, 콘텐츠, 생태예술, 인류문화창조춤판, Danc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ance contents, Ecological arts, Human Intangible Creation Chumpan
하타요가의 생리적·심리적 효과
박은지 ( Park Eun-ji )  한국무용연구학회, 한국무용연구 [2020] 제38권 제2호, 101~128페이지(총28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하타 요가 수련이 여고생의 생리적 변인과 중년 여성의 심리적 변인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데 있으며, 이를 위해 하타요가 수행이 체력요인, 비만지표, 스트레스호르몬(코티졸,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것인지를 검증하였다. 측정은 경남 사천시 00여고 51명과 경남 S요가 센터 1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여자고등학생들의 요가운동이 비만지표와 스트레스호르몬에는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지 않았고, 체력에는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또한 중년여성들의 요가운동이 SRSI를 통한 이완 및 스트레스 경감에서는 큰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하타요가를 통해 여고생들의 경우 생리적으로 혈청지질과 체력에, 성인여성의 경우 정신건강과 관련된 이완 및 스트레스척도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 할 수 있다.
TAG 하타요가, 생리적변인, 심리적변인, 비만지표, 스트레스, Hatta Yoga, Physiological Variables, Psychological Variables, Obesity Index, Stress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무용교육 수업모형 개발 연구 : 유교제례무 체험을 통한 전인교육 실현
박지선 ( Park Jee-seon )  한국무용연구학회, 한국무용연구 [2020] 제38권 제2호, 129~153페이지(총25페이지)
본 연구는 창의인성을 함양한 인재양성을 위해 무용교육 수업모형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전인을 기르는 창의인성교육에서 무용의 역할과 유교제례무의 교육적 의의를 고찰함으로써, 본 연구대상인 유교제례무가 대부분의 무용교육이 창의에 치중되는 것과 달리 창의와 인성적 교육요소를 두루 갖춘 춤임을 밝혔다. 고문헌에 전하는 이 춤의 유형분석을 토대로 도덕심 배양’을 위한 <인성-예절교육>, 자존감 향상과 의로운 처신’을 위한 <인의-생명교육>, 예술적 소양 고취’를 위한 <창의-예술교육> 수업모형을 제시했다. 이 3종의 수업에 대한 교수-학습지도안에서 학습주제에 적합한 창의인성교육목표를 설정했고, 단계적으로 구성한 교수-학습활동을 통해 창의인성요소를 획득하게 했다. 수업의 마지막에는 학습평가 및 활동정리를 통해 비판적·반성적 사고를 하며 자기평가를 가능하게 했다. ...
TAG 유교제례무, 문묘일무, 창의인성교육, 전인교육, 무용교육, 예술교육, 수업모형, Confucian ritual dance, Munmyo-ilmu,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whole education, dance education, arts education, instructional model
휠체어무용수의 카타르시스(Catharsis) 경험에 관한 연구
손가예 ( Sohn Ga-ye )  한국무용연구학회, 한국무용연구 [2020] 제38권 제2호, 155~181페이지(총27페이지)
본 연구는 휠체어무용수의 공연에서 나타나는 카타르시스의 개념을 이해하고, 사례연구법을 활용하여 카타르시스의 경험들을 심리학적·예술학적으로 분류하고 파악하고자 하는 논문이다. 휠체어무용수들은 신체적 심리적으로 억압과 경제적 어려움 및 공연준비과정에서의 어려움을 공연에서 경험하는 카타르시스를 통해 해소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휠체어무용수들이 공연에서 경험하는 카타르시스에 대해 심리학적·무용학적 분석을 통해 카타르시스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도출하고자 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배경에서 카타르시스의 개념에 대해 분석하고, 카타르시스의 종류를 순화의 카타르시스, 중용의 카타르시스, 영성의 카타르시스로 분류하고 사례연구법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휠체어무용수들은 무용공연에서 자신을 돌아보고, 중용의 지향점을 찾았으며, 환희를 느낌으로써 카타르...
TAG 카타르시스, 휠체어무용수, 순화의 카타르시스, 중용의 카타르시스, 영성의 카타르시스, Catharsis, wheelchair dancer, catharsis of purifying, catharsis of moderation, catharsis of spirituality
창작무용 샤먼(Shaman)에 대한 자문화기술지적 작품분석 연구
윤명화 ( Yun Myung-hwa )  한국무용연구학회, 한국무용연구 [2020] 제38권 제2호, 183~214페이지(총32페이지)
본 연구는 한국창작무용 <샤먼>을 안무자의 자문화기술지를 통해 해석적으로 기술함으로써 무용작품의 의미와 본질적 가치에 대한 분석과 통찰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자문화기술지 연구방법은 연구자가 나의 삶이나 업적, 직업 등에 대한 사회와 문화적 관계를 자신의 생애사를 성찰하면서 직접 구술하고 논의하여 새로운 결과를 도출하는 질적 연구방법론이다. 무용학에 있어서 자문화기술지 연구방법론의 활용은 안무자가 공연장에서 작품을 통해서 다 보여주지 못하는 이야기를 상세히 살펴볼 수 있는 유리한 점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자이자 연구대상이기도 한 안무자의 작품 <샤먼>을 분석한 결과 안무자는 프로그램 상에는 밝히지 않았지만 ‘세월호’로 인해 희생된 생명들을 추모하기 위한 마음으로 만든 작품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것은 안무자가 춤과 그 외의 장치들을 통해 전달...
TAG 자문화기술지, 샤먼, 질적 연구, 무용분석, 한국창작춤, Autoethnography, Shaman, Dance Analysis, Korean Contemporary Dance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