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쌀.삶.문명연구원34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일본의"유서(類書)에서 백과사전에 이르기까지" -18세기『와칸산사이즈에(倭漢三才圖會)』를 중심으로
류사와타케시  쌀.삶.문명연구원, 쌀.삶.문명 연구 [2009] 제2권 109~140페이지(총32페이지)
본고에서 필자는 지식의 종합적인 집대성을 위한``유서``형식의 일본에서의 발전 과정을 『와칸산사이즈에』와 몇몇 텍스트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각 텍스트의 생산자 및 텍스트를 생산한 당대``도서 환경``과``독자``의 문제를 고려해야 하는 것이다. 데라시마 료안의『와칸산사이즈에』는 오키의『산사이즈에』를 계승하였다. 그러나 그 부문 체계에서부터 차이가 있다. 후자가 매우 고전적인 구조임에 반해 전자는 현실 세계를 중시하는 경향을 드러내고 있다. 즉 생활지이자 민속지로서의 성격이 강하며 독자들의 편의를 중시하였다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후 유서 형식의 출판은 독자들의 요구를 반영한 대규모 출판 형태를 보여주는 상업 출판의 성행 속에서 이루어졌다. ``간기``를 비롯한 서지 사항들에서 나타나는 유명 옥호들의 연기(連記)라든가 출판...
TAG 유서, 類書, 백과사전encyclopedia, 『와칸산사이즈에, 倭漢三才圖會』, 『산사이즈에, 三才』, "도서, 서적 환경", 상업출판, 독자의 요구, 지식의 집대성, 지식의 평준화
아시아적 시야에서 본 벼와 쌀
다나카고지  쌀.삶.문명연구원, 쌀.삶.문명 연구 [1998] 제1권 7~27페이지(총21페이지)
동아시아로부터 인도아시아 대륙에 펼쳐진 <아시아 도작권(稻作圈)>은, 벼를 재배하고 쌀을 먹는 사람들이 살아가는 세계 유수의 인구조밀지역이다. 그리고 각국 문화의 기저가 도작(稻作)과 미식(米食)에 의해 형성되었다는 전통을 공유한다. 아시아 도작권이 거쳐온 도작기술의 발전과정을 되돌아보면서, 도작이 지니는 현대적 의의를 생태, 환경, 문화의 면에서 검토한다. 또한 경제의 글로벌화 기치아래 식량생산이나 곡물무역과 같은 측면만이 강조되는 속에서도, 도작이나 쌀의 문제를 우리의``생명``과``삶``이라는 시점으로부터 재고해 나가는 일이 중요하다는 점을 지적할 것이다.
TAG 녹색혁명, the green revolution, 동아시아공동체, the East Asia community, 공유재, common property
서구화와 회귀 -내셔널 표상을 둘러싼 투쟁에 관하여
니시카와나가오  쌀.삶.문명연구원, 쌀.삶.문명 연구 [1998] 제1권 28~55페이지(총28페이지)
시간적 거리를 두고서``서구화와 회귀``라는 내용의 큰 틀이 보이기 시작한 것은 아닐까 생각한다. ``서구화와 일본회귀·재론``의 최종 절 에도 서술한 것처럼``서구화와 회귀``는 일본에 국한되지 않고``서구화의 팽창``에 수반하는 국민국가 시대의 글로벌한 현상이고, ``서구화와 회귀``를 생산하는 메커니즘은 기본적으로는 후발 여러 나라의 국민국가형성에 관련되어있다. 따라서``서구화``든, ``회귀``든, 혹은``전향``과``근대초극(近代超克)``이든, 국민국가 시대의 국가에 관련된 국가이데올로기(넒은 뜻의 내셔널리즘)의 권역 내에 있는 이데올로기적 반응이고, 내셔널표상을 둘러 싼 이데올로기투쟁이었다 고 우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일본회귀·재론』의``서``5쪽)
TAG 문명화, Civilization, 서구화, Europeanization, Westernization, 회귀, a return, 내셔널 표상, a symbol of national, 국민국가, a nationl state, 이데올로기투쟁, idelogical struggle
쌀과 철도 그리고 식민지화 -식민지조선의 철도운영과 미곡경제
임채성 ( Chai Sung Lim )  쌀.삶.문명연구원, 쌀.삶.문명 연구 [1998] 제1권 56~80페이지(총25페이지)
식민지 철도망 정비는 전통적인 상품인 미곡의 생산, 유통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즉, 철도와 더불어 일본인 진출이 이루어졌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개량품종 등 근대적인 농업기술이 전파되어 미곡생산이 증가하였다. 특히, 산미증식계획이 실현됨에 따라, 철도를 기반으로 미곡의 수이출이 이루어졌음을 계량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철도에 의한 수송 신속화와 저렴화는 조선내 증산된 양보다 많은 미곡의 일본 이출을 가능하게 하였던 것이다. 그 결과, 조선의 미곡생산은 일본의 토쿄, 나고야, 오오사카 등의 미곡시장과 연결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식민지 지소작제도가 심화되게 되었다. 요컨대, 식민지조선에서의 철도는 정치군사적인 목적을 중심으로 하여 건설되었지만, 이와 동시에 미곡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조선경제의 제국내 편입을 보장하는 사회기반이 되었던 ...
TAG 조선국철, 산미증식계획, 미곡경제, 미곡수이출, Korean National Railroad, Rice Production Increase Plan of Korea, rice economy, rice export
땅길과 물길의 근대적 변화와 지역사회
김종혁 ( Jong Hyuk Kim )  쌀.삶.문명연구원, 쌀.삶.문명 연구 [1998] 제1권 81~98페이지(총18페이지)
전근대 땅길과 물길은 18세기에 상품경제의 발달과 함께 근대적 변화를 단초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20세기 초에 물길은 더 이상 변화를 이어가지 못했고, 땅길에서는 철도가 근대적 변화를 주도하였다. 이러한 변화의 핵심을 이해하는 데에는 화석 연료의 사용을 당연하지만 새롭게 인식해야할 것 같다. 간단히 얘기하면, 이는 새로운 교통수단, 즉 증기기관차의 등장을 의미한다. 이점에서 도로교통에서의 근대적 변화는 포장도로 및 자동차의 보급과 밀접하게 연관될 것이다. 길의 근대적 변화는 교통수단의 변화, 도로 경관의 변화, 도로 기능의 변화, 교통주체의 인식의 변화 등을 초래하였다. 도로망의 변화가 지역구조를 변화시키는 주요 요인임을 인정한다면, 길의 근대성을 추적하는 것은 지역사회와 지역문화, 또는 지역의 근대성에 접근하는 중요한 방편이 될 수 있다.
TAG 도로망, 내륙 수운, 철도, 길의 근대성, 지역구조, road network, inland water transportation, rail road, modernity of traffic, structure of region
근대화 과정에 있어서 우편사업의 창설과 역할 -대만의 사례를 중심으로
리페이중  쌀.삶.문명연구원, 쌀.삶.문명 연구 [1998] 제1권 99~112페이지(총14페이지)
서양열강의 압력에 의해서 막부말 메이지기(幕末明治期)의 일본은 근대국가를 형성할 것인가, 식민지 지배를 받을 것인가 양자택일의 기로에 직면하였다. 서구열강으로부터 뒤쳐짐을 극복하기 위해서 서양의 제도를 본보기로 한 일련의 근대화정책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근대화정책을 서양적인``문명화``로 간주할 수 있을까. 이 문제를 검토하기 위해, 이 보고는 19세기 이후, 문명화·근대화의 일환인 우편제도, 특히 대만의 우편제도에 초점을 두어, 우편제도가 어떤 사상에 지탱되어 형성되고 만들어졌으며, 어떤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는지를 명확히 밝히고자 한다. 구체적인 분석과 고찰방법에 대해서는 첫째, 중국(청국)이 주권국가로서 근대화하는 과정에서, 그``주변부``에 위치한 대만의 우편제도가 어떻게 변용되었는지를 분석한다. 둘째, 명치일본이 제국주의국가로서 확대되어가는 ...
TAG 근대화, modernization, 문명화, civilization, 대만우편사업, the Taiwan mail business, 우편주권, the sovereignty of mail, 식민지지배, a colonial rule
일제하 식민농정과 조선 농업, 농민 연구의 현황과 과제
이송순 ( Song Soon Lee )  쌀.삶.문명연구원, 쌀.삶.문명 연구 [1998] 제1권 113~134페이지(총22페이지)
이 글은 일제 식민지기 조선에서 시행된 식민농정의 내용과 그로 인해 나타난 조선 농업의 생산력 변동과 농민 생활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식민지기 연구 중 농업부문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져 많은 성과를 도출했다. 이러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일제가 남겨놓은 통계자료 속에 보여지는 식민지 농업의 실상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일제의 식민농정의 구체상은 무엇이며 그 성격과 의미는 무엇인가를 정리해 보았다. 먼저 데이터 추계를 바탕으로 일제시기 경제상을 재조명하려는 연구는 식민지 수탈성에 대한 생산적 논의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연구라 할 수 있다. 일제 식민농정은 일제의 요구에 따라 이루어진 것으로, 그 결과는 자연적 조건이나 조선 내부의 역관계에 규정되며 계획과 다른 경우도 있었지만, 대체로 일본제국주의의 이해관계와 재조일본인들의 경제적 이해관계는 충실히 반...
TAG 식민농정, 농업생산력, 토지조사사업, 산미증식계획, 농촌진흥운동, 전시농업정책, 식민지지 주제, 소농사회론, 생활수준, 농민생활, colonial agricultural policy, agriculture productivity, standard of Living, peasant Life, colonial Korea
일제시대 식민"신도시"의 출현과 주변 농촌 -전북 리(里)와 대장촌(大場村)의 사례를 중심으로
정승진  쌀.삶.문명연구원, 쌀.삶.문명 연구 [1998] 제1권 135~157페이지(총23페이지)
이 글은 개발 중심으로서의 도시를 분석의 중점에 놓고 그것과의 관련 양상으로서 주변 농촌 지역상을 상대적으로 반추해보려는 것이다. 기존의 마을연구사가 특정한 지역을 하나의 사례로 삼아 미시적으로 분석했다면 여기서는 지역 간에 관계성을 통해 농촌 마을의 특질과 한계를 구명한다. 사례의 대상지역은 개항장 군산, ``신도시``이리, 전통 읍내 삼례 등을 포함하는 만경강 중하류 일대이다. 여기에는 대장촌(大場村)이라는 일본식 지명의``신식``마을도 존재하였다. 대장촌과 같은 농촌지역은 이리와 같은 주변 도시와의 지역연관을 갖으며, 복합사회(complex society)의 부분사회로서 존재했다. 이 일대는 특히 러일전쟁(1905) 이후 일본인의 내주(住)가 빈번해지면서 급격한 개발``붐(boom)``을 타게 되었다. 그러나 식민지 대장촌에서 개발이 되면 개발될수록 ...
TAG 신도시, 지역연관, 대장촌, 개발의 딜레마
근대 일본의 토지개혁
이마니시하지메  쌀.삶.문명연구원, 쌀.삶.문명 연구 [1998] 제1권 158~181페이지(총24페이지)
일본의 농업 발전단계를 볼 때 노동수단(노동생산성)의 발달에서 볼 것인지, 토지생산성을 중시할 것인지에 대한 오랜 연구사의 대립이 있다. 전자의 대표자로는 야마다 세이타로(山田盛太 )·이이누마 지로(飯沼二 )가 있고, 후자의 대표로는 가요 노부후미(加用信文)·나카무라 사토루(中村哲)씨가 있다. 최근에는``발전단계``를 논의하는 자체에 대해 비판적인 분위기가 있어 긴키(近畿)=선진지대, 도호쿠(東 )=후진지대라고 하는 발전단계설을 비판하여 각 지역의 자연에 대한 적응의 차이로 농법과 어업 등을 고려해야한다는 의견이 강해지고 있다.(다카하시 미키(高橋美貴) 외)지조개정으로 시작되는 일본의 근대적 토지개혁 역시 어떻게 전통사회의 생태를 파괴하고, ``산의 민``과``바다의 민``의 생활을 파괴했는가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서양에서 들여온``소...
TAG 메이지 농법, meiji farming-method, 지조개정, reformation of taxion in the earth, 화전, moving after the fire
식민지 근대도시의 형성과 공간 분화 -군산시의 사례
이성호 ( Sung Ho Lee )  쌀.삶.문명연구원, 쌀.삶.문명 연구 [1998] 제1권 182~201페이지(총20페이지)
이 논문은 군산을 사례로 하여 식민지 근대도시 형성과 성장과정을 분석한 것이다. 여기에서는 도시 공간의 성장과 분화과정이 근대적 사회적 관계의 분화를 반영하며, 이러한 도시의 사회적 관계는 다시 공간의 성장과정에 개입한다는 점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1899년 개항 이후 1930년대 중반까지 군산의 공간구조 변화 과정은 크게 세 단계로 분류될 수 있다. 첫 번째 시기는 개항 이후부터 조계가 폐지되던 1914년 이전까지의 기간으로 각국 조계가 설치되어 조계구역을 중심으로 도시공간이 형성되던 시기이다. 이 기간 동안에는 도시의 자원이 조계구역 내로 집중되어 일본인들에 의해 독점되었으며, 도시의 기능도 일제의 식민지 경영정책에 의해 일방적으로 결정되었다. 두 번째 시기는 조계가 폐지된 1914년 이후 도시공간이 조계 구역 밖으로 확장되면서 군산이 쌀 수출...
TAG 식민지 근대도시, 도시 공간, 각국 조계, 근대적 사회관계, 지방 유력자, colonial-modern city, urban space, a foreign concession, modern social relation, Local-gentry elite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