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공간환경학회681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편집의 글(editorial review) : 복수로서 연구자와 방법론, 현장을 재탐구하기
이보아 , 김현철  한국공간환경학회, 공간과 사회 [2020] 제72권 3~12페이지(총10페이지)
지리학계에 보내는 편지 : 지리학과를 떠난 두 여성 연구자의 이야기
정희성 ( Jung Heesung ) , 조규혜 ( Cho Kyuhye )  한국공간환경학회, 공간과 사회 [2020] 제72권 13~79페이지(총67페이지)
본 연구는 같은 지리학과에서 석사과정을 마친 두 여성 연구자의 경험을 데이터로 이성애규범적이고 남성중심적으로 구축된 지리학계의 젠더화된 규율권력을 협력 자문화기술지(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방법을 통해 분석한다. 두 저자는 강의실, 연구실, 학회장, 뒤풀이 장소 등 지리학과의 일상적 공간에서 겪은 경험을 분석하며 지리학계가 여성연구자를 훈육하고 규율하는 방식을 드러내고, 이를 통해 한국의 지리학계가 어떤 지식을 중요하고 의미 있는 지식으로 승인하고 관리하는지를 탐문한다. 이를 위해, 먼저 지리학계의 남성중심성을 비판하는 논의의 계보와 여성 대학원생의 위치성에 대한 논의를 살피며 본 연구의 필요성을 타진한다. 다음으로는 방법론으로서의 협력 자문화기술지에 대해 자세하게 논의하며 지식의 객관성과 과학적 엄정...
TAG 여성 연구자, 젠더화된 미시 정치, 감정문화, 규율권력, 협력 자문화기술지, 연결망, 연구실, 유리벽, women researchers, gendered micro politics, culture of emotion, disciplinary power,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network, laboratory, glass wall
지리학 현장연구에 대한 여성주의적 성찰 : 박사과정 여성연구자의 위치성과 권력 관계
김수정 ( Su-jeong Kim )  한국공간환경학회, 공간과 사회 [2020] 제72권 80~109페이지(총30페이지)
본 연구는 연구란 절대적이며 객관적이기보다는 연구자와 연구참여자 모두 연구의 일부분으로 강조되어야 한다는 관점을 견지하면서, 연구자가 박사학위 논문을 집필하면서 수행한 현장연구(fieldwork) 경험을 성찰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여전히 객관적 관찰자로서의 연구자를 당연시하고 교육·훈육하는 관행에 비판적 질문을 던지고자 한 글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자는 연구 과정에서 항상 한 발 떨어져 중립을 지키고 객관성을 유지하는 절대적 존재가 아니라, 연구 과정에서 끊임없이 재구성되고 연구에 개입하는 주관적이며 부분적인 주체라 할 수 있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은 연구자가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존재하는 수동적인 객체가 아니라 각자가 처한 상황적 맥락에 따라 경계를 넘나들고 연구자와 수평적 또는 수직적 관계 맺기를 수행하며 연구 과정에...
TAG 위치성, 현장연구, 경계, 권력 관계, 자문화기술지, Positionality, Fieldwork, Border, Power Relation, Autoethnography
IRB 연구윤리 심의의 한계 : 연구자-연구대상자의 관계와 연구대상자 보호에 대하여
고민경 ( Minkyung Koh )  한국공간환경학회, 공간과 사회 [2020] 제72권 110~140페이지(총31페이지)
본 연구는 IRB의 규정과 제도가 초래하는 문제점을 여성주의 연구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현재의 IRB 시스템의 한계를 지적하고자 한다. 여성주의 연구의 관점은 연구자와 연구대상자가 역동적인 권력 관계를 구성할 수 있으며, 연구대상자의 보호 역시 심의 절차와 규정에 의존할 것이 아니라 다양한 방법이 모색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어 분석에 적합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보호를 목적으로 한 IRB의 연구윤리가 실제로 그렇지 않을 수 있음을 나타낸다. 둘째, 연구조력자 역시 연구대상자를 보호하려 하지만 보호의 범위, 방향 및 방법 역시 이들의 입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이를 통해 연구자와 연구대상자의 권력 관계를 바꿀 수 있다. 셋째, 연구대상자와의 거리를 좁힘과 동시에 이들로부터 더 많은 정보를 얻기 위해 연구대상...
TAG 여성주의 질적연구, 연구윤리, 기관생명윤리위원회, IRB, 위치성, 자문화기술지, feminist qualitative research, research ethics,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positionality, autoethnography, female marital immigrants
스마트 도시론의 급진적 재구성: 르페브르의 ‘도시혁명’론을 바탕으로
박배균 ( Park Bae-gyoon )  한국공간환경학회, 공간과 사회 [2020] 제72권 141~171페이지(총31페이지)
본 논문은 주류 스마트도시 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르페브르의 ‘도시혁명’과 ‘도시사회’ 개념을 바탕으로 스마트도시론을 급진적으로 재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한국의 스마트도시론을 그에 내재된 국가중심적 발전주의, 산업주의, 기술결정론에 초점을 두어 비판한다. 이어서, 르페브르의 도시혁명과 도시사회 개념을 소개하고, 그를 바탕으로 스마트도시 현상을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특히, 스마트 도시에 대한 ‘방법론적 국가주의’와 ‘방법론적 도시주의’적 인식론을 비판하면서, 만남과 마주침을 통한 도시적 과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스마트 도시를 접근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도시적 만남과 마주침의 과정이 스마트 기술과 연결되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긍정적·부정적 영향에 대해 논하고, 보다 해방적인 도시사회의 형성을 위해서는 자유로운 만남과 마주침을 가로막는 장애...
TAG 스마트도시, 도시혁명, 도시사회, 마주침의 정치, 4차 산업혁명, smart city, urban revolution, urban society, politics of encounter, 4th industrial revolutions
‘공유도시 서울’과 도시 커먼즈적 전회
이광석 ( Kwang-suk Lee )  한국공간환경학회, 공간과 사회 [2020] 제72권 172~208페이지(총37페이지)
이 연구는 ‘공유도시 서울’ 정책의 지난 1, 2기 사업(2013~2020) 기조와 내용을 되돌아 보면서 주류 공유경제 모델에 기댄 도시 혁신 정책 사업의 문제점들을 비판적으로 진단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글은 지난 서울시 정책 사업의 분석을 통해 ‘공유도시 서울’ 정책은 도시의 공생적 자원 생산과 협력 방식을 시민과 함께 도모하기보다는 유휴 자원 중개를 통한 효율성 극대화의 ‘공유경제’ 논리를 공적 지원 정책 사업으로 이식해 가져오는 내적 딜레마를 안고 있다고 평가한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시의 지난 ‘공유도시 서울’ 정책 기조를 개선해 실제 시민 자립과 협력의 공동 자원 생산과 공생공락의 가치를 확대하려는 ‘도시 커먼즈’적 지향을 제시한다. 즉, 기존 자원 중개 효과에 주로 의존해 왔던 ‘공유도시 서울’의 근본적 한계들을 밝히고, ...
TAG 공유경제, 공유도시, 도시 커먼즈, 데이터 커먼즈, 플랫폼, 엔클로저, 종획, 피지털, Sharing economies, Commons, Data Commons, Platform, Enclosure, Phygital
글로벌 공간금융투자의 금융사슬 : 한국의 공모형 해외 부동산펀드를 중심으로
홍다솜 ( Dasom Hong )  한국공간환경학회, 공간과 사회 [2020] 제72권 209~253페이지(총45페이지)
공간시장과 금융시장의 결합과 자본의 세계화로 인해 글로벌 공간금융투자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금융지리학의 금융사슬 개념을 통해 글로벌 공간금융투자의 작동 메커니즘과 확장 과정을 탐구한다. 금융사슬 접근법은 자본순환의 지리적·제도적 경로와 행위자 네트워크를 분석하여, 자본순환이 다양한 공간성·행위자·제도와 상호작용하는 과정을 포착한다. 이러한 금융사슬의 관점을 공모형 해외 부동산펀드에 적용함으로써 글로벌 공간금융투자가 여러 사회적·공간적 특성과 상호작용하며 자본순환을 확장하고 자본을 축적하는 메커니즘을 고찰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요한 목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공모형 해외 부동산펀드의 투자구조와 현금흐름을 바탕으로 금융사슬의 가치 이동 경로와 행위자 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글로벌 공간금융투자가 더욱 넓은 범위의 공간을 공통된...
TAG 금융사슬, 자본순환, 금융지리, 글로벌 공간금융투자, 공모형 해외 부동산펀드, Financial Chains, Circuits of Capital, Financial Geography, Global Real Estate Investment, Publicly Offered Overseas Real Estate Funds
사회네트워크분석을 통해 본 도시새뜰마을사업 주체 간 네트워크 특성 및 역할
김홍주 ( Kim Hong Joo ) , 이영환 ( Lee Young Hwan ) , 임정민 ( Lim Jung Min ) , 백혜선 ( Paik Hae Sun )  한국공간환경학회, 공간과 사회 [2020] 제72권 254~279페이지(총26페이지)
도시새뜰마을사업은 주거지원사업의 사각지대인 도심 취약지역을 집중적으로 재생하고자 시작된 정책사업이다. 본 연구는 도시새뜰마을사업의 실행과정에서 중요 행위자로 참여하고 있는 총괄코디네이터, 마을활동가, 마을대표, 공무원의 네트워크 내의 각 주체별역할을 살펴보았다. 2015년 시작된 도시새뜰마을사업은 2019년 대부분 준공단계로, 전체 30개 지역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행위자들의 네트워크를 분석했다. 이를 통해 실제 도시새뜰마을사업의 진행과정에서 초기정책수립단계에서 의도했던 바와 같이 각 주체들이 역할을 수행했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도시새뜰마을사업 초기 전 지역을 대상으로 주체별 역할을 네트워크 측면에서 규명한 데에 의의가 있다.
TAG 도시새뜰마을사업, 네트워크분석, 활동가, 총괄코디, 공무원, 마을대표, Urban Saetul-Village Projects, Social Network Analysis, role of Actors, Network structure
인류세 시대, 한국의 녹색전환
이상헌  한국공간환경학회, 공간과 사회 [2020] 제71권 5~9페이지(총5페이지)
도시새뜰마을사업은 주거지원사업의 사각지대인 도심 취약지역을 집중적으로 재생하고자 시작된 정책사업이다. 본 연구는 도시새뜰마을사업의 실행과정에서 중요 행위자로 참여하고 있는 총괄코디네이터, 마을활동가, 마을대표, 공무원의 네트워크 내의 각 주체별역할을 살펴보았다. 2015년 시작된 도시새뜰마을사업은 2019년 대부분 준공단계로, 전체 30개 지역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행위자들의 네트워크를 분석했다. 이를 통해 실제 도시새뜰마을사업의 진행과정에서 초기정책수립단계에서 의도했던 바와 같이 각 주체들이 역할을 수행했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도시새뜰마을사업 초기 전 지역을 대상으로 주체별 역할을 네트워크 측면에서 규명한 데에 의의가 있다.
인류세를 위한 녹색전환
최병두 ( Choi Byung-doo )  한국공간환경학회, 공간과 사회 [2020] 제71권 10~47페이지(총38페이지)
이 논문은 ‘인류세’와 ‘녹색전환’의 개념에 근거하여 오늘날 인류가 처한 지구적 생태 위기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에 내재된 두 가지 근본 문제로서 서구의 근대성에 내재된 사회와 자연 간 이원론적 인식론의 한계, 그리고 이러한 근대성에 기반을 두고 산업화·도시화를 추동했던 자본주의적 사회-자연의 문제를 고찰하면서, 사회-자연에 관한 대안적 인식론과 녹색전환을 위한 사회생태적 과제들을 논의하고자 한다. 이 논문은 우선 인류세에 관한 논의에서 제시된 지구적 생태위기의 특성을 ‘행성적 한계’와 관련하여 살펴보고 이러한 생태위기를 해소하고 진정한 의미의 ‘인류세’를 맞기 위하여 녹색전환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인류세를 위한 이러한 녹색전환은 지구적 생태위기를 초래한 인간의 의식과 사회구조의 근본적 변화를 요구한다는 점에서, 사회/자연의 이원론의 한계와 이를 극복하기 ...
TAG 인류세, 녹색전환, 지구적 생태위기, 사회-자연의 재개념화, 사회생태적 과제들, Anthropocene, green transformation, global ecological crisis, reconceptualization of socio-nature, socio-ecological issues for green transformation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