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1921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Data Science 기반 기후변화 대응 지원 플랫폼 구축을 위한 전략 마련 연구
이명진 , 진대용 , 신지영 , 홍한움 , 김근한 , 홍현정 , 한국진 , 조윤랑 , 김도연 , 강선아 , 강병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기후환경정책연구 [2020] 제2020권 1~431페이지(총431페이지)
Ⅰ. 서론 ❏ 연구 배경 및 목적 ㅇ 최근 해외에서는 국가적 차원에서 정보통신기술(ICT) 융합을 통한 Data Science로의 전환을 시행하고 있음 - Data Science는 데이터를 통해 실제 현상을 이해하고, 데이터 속에 담긴 패턴 및 신호를 찾는 것 등을 아우르는 것 ㅇ 기후변화 관련 연구는 온실가스 ‘감축’을 통하여 기후변화 발생을 저감시키는 연구와 기존 배출된 온실가스에 의한 환경변화에 적응하는 ‘적응’으로 나누어짐 - 기후변화의 원인이 단일하지 않고 복합적 원인에 의하여 발생하기 때문에 온실가스 감축과 적응의 세부 분야는 다양하게 구분되어 있음 ㅇ 본 연구는 Data Science와 기후변화 ‘대응’ 연구를 KEI 중심으로 진행하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함 ❏ 연구 범위 ㅇ 대내외적 변화에 효율적으로 대응하며, 향후...
TAG 데이터사이언스, 기후변화, 데이터플랫폼, DMP, IDR, Data Science, Climate Change, Data Platform
재생에너지 확산 이행방안 연구(Ⅰ)
이상엽 , 박주영 , 박종윤 , 이창호 , 임동순 , 석광훈 , 최영웅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기후환경정책연구 [2020] 제2020권 1~243페이지(총243페이지)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범위 ❏ 연구의 목적 ㅇ 국내 재생에너지 목표 달성을 전제로 재생에너지 확산을 위한 이행방안 모색 ❏ 재생에너지 확산을 위한 연구범위 ㅇ 전환부문에서 정부 목표 재생발전 비중 달성 가능성 및 에너지시장의 구조적 문제로서, 특히 전력시장과 재생에너지 기술개발과의 관계 분석 ㅇ 재생에너지 환경영향평가 및 제주지역 사례를 대상으로 수용성 측면 분석 2. 연구의 내용 및 수행체계 ❏ 국가 재생에너지 목표와 이슈 ㅇ 국가계획에 제시된 재생에너지 목표 현황과 재생에너지 확산을 위한 점검 요소 분석 ㅇ 현재 정부에서 추진 중인 재생에너지 제도개선 상황 정리 ❏ 전환부문 현황 및 과제 분석 ㅇ 전력수급 및 에너지믹스 전망기반 에너지믹스 대안 설정 및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 여부 분석 ㅇ 에너지전환 및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 위한 ...
TAG 재생에너지, 에너지전환, 에너지시장, 환경평가, 지역에너지, Renewable Energy, Energy Transition, Energy Marke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gional Energy
기후변화에 따른 미세먼지 대기질 변화 추정 및 관련 정책 지원 연구
이승민 , 최기철 , 최지원 , 나건수 , 이주희 , 권지수 , 허선경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기후환경정책연구 [2020] 제2020권 1~140페이지(총140페이지)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 필요성 ❏ 2000년대부터 꾸준한 대기오염물질 배출 저감 노력에도 획기적으로 개선되지 않는 미세먼지 대기질 문제 ㅇ 미세먼지 및 전구물질에 대해 지속적으로 관리정책을 이행한 결과 2010년대 초반까지 서울시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과 (초)미세먼지 농도는 계속해서 감소하는 추세 ㅇ (초)미세먼지 농도는 2013년부터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2017년부터 다시 소폭 감소하긴 하였으나 여전히 연평균 PM2.5 농도 25μg/m3 안팎에서 증감을 반복하며 정체하는 경향 ❏ 미세먼지 농도와 기상조건·기후변화 간의 관련성 규명을 위한 연구들이 시도되고 있으나 정책적 개선점 도출을 위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 ㅇ 현재까지의 관련 연구들은 기후변화가 대기질에 미치는 영향 규명 또는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대기질 농도 예측 등에 대...
TAG , 미세먼지, 기상, 기후변화, 기여도, 모델링, 대기관리정책, Ultra, fine Particulate Matter, PM, Weather, Climate Change, Contribution, Modeling, Air Quality Management Policy
기후변화 적응정책 10년 : 현주소 진단과 개선방안 모색을 중심으로
장훈 , 송영일 , 김윤정 , 김미래 , 박진한 , 박송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기후환경정책연구 [2020] 제2020권 1~144페이지(총144페이지)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기후변화 적응 현황과 성과를 다각도로 진단한 연구사례는 극히 미흡한 실정이나, 지난 약 10년간 추진되어 온 기후변화 적응정책 적응노력의 진척(progress), 갭(gap)을 진단하고 향후 기후변화 적응정책의 실효성 강화를 위한 방안 모색 필요 ㅇ 우리나라는 ‘제1차 기후변화 적응대책(2011-2015), 제2차 기후변화 적응대책(2016-2020)’을 수립, 이행하며 각종 적응조치(adaptation measures)를 확대해왔으나 그간 적응노력의 성과를 포괄적으로 진단한 사례는 부재 ㅇ 기후변화 적응은 완화(mitigation)와 달리 정량적 수치로 측정할 수 있는 목표가 부재하여 그간의 성과평가가 어려운 특성을 가지나 적응에 대한 현황을 점검하고 적절성을 진단할 수 있는 체계의 도출, 우리나라를 대...
TAG 기후변화 적응, 적응추적, 적응 갭 분석, 적응 진척도, 적응평가, Climate Change Adaptation, Adaptation Tracking, Adaptation Gap Analysis, Adaptation Progress, Adaptation Outcome
기후정의 실현을 위한 정책 개선방안 연구(Ⅱ)
한상운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기후환경정책연구 [2020] 제2020권 1~212페이지(총212페이지)
Ⅰ. 서론 ❏ 연구 배경 및 목적 ㅇ 산업화시기부터 배출되어온 온실 가스는 지난 130여년(1880~2012년) 간 지구 연평균 기온은 0.85℃, 지구 평균 해수면은 19cm 상승을 유발하며 기후위기를 가속화 ㅇ 하지만 기후위기로 인한 피해와 영향은 모두에게 동일하게 적용되지 않으며, 이러한 양극화와 불평등 현상의 증대는 기후정의의 필요성으로 이어짐 ㅇ 기후정의를 기본원칙으로 삼아 기후위기대응을 위한 국내정책에 기후정의를 실현하기 위한 정책방안이 요구됨 ㅇ 본 연구에서는 기후정의의 개념을 구체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후위기 대응정책의 실현방안을 제안하고자 함 ❏ 연구 범위 및 구성 ㅇ 총 3개년에 걸쳐 국내적인 관점에서 기후정의 개념의 구체화 및 그 실현방안을 계획함 ㅇ ’19년도 시행된 1년차 연구는 기후정의 개념을 구체화하고 분...
TAG 기후위기, 기후변화, 절차적 기후정의, 생산적 기후정의, 기후정의, Climate Crisis, Climate Change, Procedural Climate Justice, Production Climate Justice, Climate Justice
포스트 코로나 시기 국가 온실가스 배출 반등효과 전망 및 대비 방향
이상엽 , 박주영 , 양유경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기후환경정책연구 [2020] 제2020권 1~121페이지(총121페이지)
Ⅰ. 연구의 목적 및 범위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ㅇ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세계 에너지수요는 급감하였고, 이러한 영향으로 IEA는 2020년 전 세계 CO2 배출량이 전년대비 8% 감소될 것으로 추정함. 이러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단기적인 배출 감축은 결코 긍정적일 수 없으며, 포스트 코로나 시기에 배출량의 급격한 반등을 예방하기 위한 대비책 마련이 필요함. ㅇ 포스트 코로나 시기 국가 온실가스 배출 반등효과를 사전에 파악하여, 반등효과를 최소화하는 한편, 궁극적으로 저탄소사회 전환 추진에 대비해야 하는 상황임 ㅇ 포스트 코로나 시기에 효과적으로 대비하기 위한 한국판 뉴딜 추진방안을 다각도로 모색 중인 상황에서, 저탄소사회로의 전환적 관점에서 그린뉴딜의 동력화 방안 마련이 요구됨 ㅇ 코로나19 ...
TAG 온실가스 반등전망, 온실가스 소득탄력성, 온실가스-경제성장 비동조화, 저탄소 R, D정부투자, Rebound of GHG Emission, Income Elasticity, Decoupling, Governmental Investment in Low-carbon R, D
그린뉴딜 추진을 위한 친환경에너지 전환 포럼 운영
신동원 , 양유경 , 최영웅 , 추장민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기후환경정책연구 [2020] 제2020권 1~284페이지(총284페이지)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한국판 그린뉴딜의 시행으로 친환경에너지 전환 가속화 촉진에 따른 에너지 전환정책에 대한 이해와 정책 이행을 위한 방안과 추진 중 발생할 수 있는 해결책 마련이 필요함 ㅇ 그린뉴딜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에너지정책 관련 현안 해결에 대한 정책적 요구는 증가하고 있으나 대응은 미흡한 실정 ㅇ 국내 전문가 그룹 의견수렴을 통한 구체적인 세부 정책의 현황 파악과 이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며, 각 분야별 전문가의 제안에 대한 논의 필요 ㅇ 이를 통해 정부 에너지 전환정책 현안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체계를 마련하고, 그린뉴딜 정책의 보완방안 마련에 기여 ❏ 그린뉴딜에 대한 정책적 해결방안 마련을 통해 국민 불안감 해소에 기여하고, 체계적 연구계획 수립에 따른 연구효율성 제고, 연구협력체계 마련을 통한 성과 확산을 도모해야 함 ㅇ 에너지 ...
TAG 그린뉴딜, 친환경에너지 전환, 기후·에너지 연구 로드맵, 산업구조 전환
국가 리스크 관리를 위한 기후변화 적응역량 구축·평가 극한기후 리스크의 경제적 분석
채여라 , 박주영 , 최영웅 , 김대수 , 양유경 , 김현규 , 서승범 , 성재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사업보고서 [2020] 제2020권 1~267페이지(총267페이지)
Ⅰ. 서론 1. 연구배경 □ 불확실한 기후 및 사회·경제 여건 변화에 따른 리스크와 적응 정책의 비용 및 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필요성 증대 ㅇ 미래 기후변화 및 극한기후로 인한 피해 규모 파악, 리스크 및 적응역량 분석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음 ㅇ Weyant(2014)는 기후변화의 영향을 예측하고 정책적 대응방안을 고려할 수 있는 기후변화에 대한 통합평가 모형(IAM)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 □ 신기후체제에서 적응역량 확보에 대한 중요성 강조 ㅇ 지속가능개발(SDG) 달성과 적응 관련 보고서 제출 의무화 ㅇ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 적응에 관한 나이로비 작업 프로그램(NWP) 제50차 부속기구 회의는 우선순위 분야로 극한기후, 가뭄, 물부족, 토지 황폐화 중립, 산림과 초원, 해양, 연안지역 및 생태계, 농업과 식량안보에 대해 ...
TAG 극한기후, 경제적 정량화, 기후변화 모형, 기후변화적응, Extreme Climates, Economic Quantification, Climate Change Model, Climate Change Adaptation
동아시아 환경공동체 발전전략 개발 및 협력사업
이현우 , 명수정 , 추장민 , 강택구 , 김성진 , 김혜림 , 박준현 , 김이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사업보고서 [2020] 제2020권 1~283페이지(총283페이지)
Ⅰ. 사업의 배경 및 추진체계 ❏ 사업 배경 및 목적 ㅇ 동아시아 지역은 동일한 환경영향권 내에서 공동의 환경문제를 공유하고 있어 지역차원의 환경협력이 필수적임 ㅇ 우리나라는 국제사회에서 전 지구적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에 동참하고, 동아시아 국가 간 환경협력 강화를 정책의 기조로 하고 있음 ㅇ 본 사업은 동아시아 환경협력을 위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국가별 환경정보 및 정책정보를 공유하고, 환경공동체 인식을 확산하여 지속가능한 발전 실현을 위한 협력체계 구축에 기여하고자 함 ❏ 사업 내용 ㅇ 본 사업은 동아시아 지역 환경 상태 및 정책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동아시아 환경협력 전략 개발을 위한 연구·조사 활동과 환경공동체 인식 확산을 위한 국내외 네트워크활동 및 정보공유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음 Ⅱ. 네트워크 구축 및 운영 1. 국내 네트워크 ❏ 중국환...
TAG 동아시아, 환경협력, 포스트 코로나, 중국환경규제대응, 스마트시티, East Asia, Environmental Cooperation, Post-COVID-19, Responding to Environmental Regulations in China, Smart Cities
물환경 서비스와 물 인프라의 지속가능성 평가(Ⅶ)
류재나 , 한혜진 , 김호정 , 김수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사업보고서 [2020] 제2020권 1~192페이지(총192페이지)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 물 인프라 시설의 노후화로 인한 안전사고가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음 ㅇ 1970년대 구축된 물 인프라 시설들의 노후화로 인해 하수관로 파열, 싱크홀 발생, 붉은 수돗물, 유충 사태 등 안전사고가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안전사고의 발생위험 증가는 국민의 생명과 직결되는 중요한 문제임 ❏ 인프라 노후화에 대한 선제적 유지·관리가 필요하지만, 시설물의 노후화 수준 및 안전상태 등의 현황을 객관적으로 파악하는 것조차 어려운 실정임 ㅇ 노후화된 인프라의 재구축을 위한 투자 계획과 재원 마련방안이 부재함 ㅇ 인프라의 선제적 유지·관리를 위해 먼저 시설물에 대한 실태 파악이 필요하며, 관리주체가 되는 지자체가 보유한 자산 및 해당 자산의 상태, 사용자를 고려한 서비스 수준 등에 대한 파악을 기반으로 자...
TAG 물환경 서비스, 물 인프라, 지속가능성 평가, 자산관리, 서비스 수준, Water Services, Water Infrastructure, Sustainability Assessment, Level of Service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