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철학회209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싱 오버 미』(Sing Over Me): 영화와 신학의 대화를 통한 동성애 고찰
서나영 ( Seo Na Young )  한국기독교철학회, 기독교철학 [2019] 제27권 57~99페이지(총43페이지)
본 논문의 목적은 신학자들의 연구와 영화 안에 담긴 구체적인 이미지 세계가 유익한 대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논제를 바탕으로, 영화 『싱 오버 미』(Sing Over Me)의 분석을 통하여 기독교와 동성애 문제에 대한 교회의 태도와 실제적 접근 방법에 대한 유익한 담론을 위한 것이다. 영화는 시청각 예술의 한 형식으로서 효과적인 방법으로 특정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기독교인들이 문화 속에서 쉽게 접하며 누리고 있는 이 영화예술의 영향력은 현재 신앙생활을 하는 그리스도인들의 삶의 방식을 변화시키고 재구성하기에 충분하다. 영화가 그리스도인의 삶에 긍정적 작용을 하여 하나님께 가까이 가도록 돕는 신앙생활의 동반자가 될 수 있는 반면, 다양한 세계관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하나님을 멀리하는 통로가 될 수도 있다. 그러나 ...
TAG 영화와 신학, 기독교와 동성애, 찬양의 능력, 하나님의 사랑, 성화, 예배, film and theology, Christianity and homosexuality, power of praise, God’s Love, sanctification, worship
자크 엘륄의 인격주의 운동과 혁명적 기독교
이상민 ( Lee Sang Min )  한국기독교철학회, 기독교철학 [2019] 제27권 101~149페이지(총49페이지)
기독교적인 토대 위에서 이루어진 엘륄의 인격주의 운동은 다음 같은 출발점으로부터 시작한다. 즉, 혁명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현존하는 모든 모델, 곧 민주 정당이나 각종 연맹이나 전체주의 정당의 모델에서 벗어나야 하고, 개인적인 동시에 집단적인 변혁을 이루어야 하며, 그 변혁에는 공동체적 방식만을 적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엘륄에게 혁명은 근본적으로 사회를 변혁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그가 ‘필요한 혁명’이라고 부르는 ‘진정한 혁명’은 사회 및 문명 전체와 관련되고, 기술화에 직접 연결되어 있으며, 기술 환경 속에서의 인간 존재 자체와 관련된다. 결국, ‘필요한 혁명’은 기술화된 국가와 기술 사회에 맞서 일어나는 것이다. 그렇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혁명을 통한 급격한 단절은 가능하지 않고, 기술 사회에서는 진정한 혁명 의식을 발견할 수 없다. 그 때문에, 기술...
TAG 자크 엘륄, 인격주의 운동, 필요한 혁명, 혁명적 기독교, Jacques Ellul, Mouvement personnaliste, Revolution necessaire, Christianisme revolutionnaire
기독교예술을 어떻게 정의하고 평가할 것인가
최태연 ( Choi Tae Yon )  한국기독교철학회, 기독교철학 [2019] 제27권 151~177페이지(총27페이지)
이 글에서 나는 기독교예술의 구체적 내용을 다루기보다는 기독교예술을 어떻게 정의해야 하며 어떤 예술작품이 좋은 기독교예술인지를 평가하는 기준에 대해 생각해 보고자 한다. 말하자면 다분히 기독교미학적인 내용이다. 다시 말해서 제가 이 글에서 다룰 문제는 두 가지이다. 첫째는 기독교예술의 정의의 문제이다. 두 번째로는 기독교예술의 평가에 관한 문제이다. 기독교예술이 무엇인지를 정의하는 일은 기독교미학의 첫 번째 중요한 과제라고 생각한다. 기독교예술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기독교예술의 내용과 범위가 달라지고 더 나아가서 기독교예술을 평가하는 기준도 달라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는 먼저 기독교예술을 정의하는 방법에 대해 생각해 보겠다. 첫 번째로는 신학자 폴 틸리히(Paul Tillich)가 제안한 ‘상관관계의 방법’(method of correlation)이다...
TAG 기독교예술, 정의와 평가, 틸리히, 시어벨트, 어거스틴, 형식, 내용, 세계관, 키치, 이데올로기, Christian art, definition and evaluation, Tillich, Seerveld, Augustine, form, content, worldview, Kitsch, ideology
가능세계(possible worlds)론
김완종 ( Kim Wan Jong )  한국기독교철학회, 기독교철학 [2018] 제26권 7~23페이지(총17페이지)
가능세계이론은 가능개체 또는 개별자를 철학적으로 설명하는 이론이다. 필연성이나 우연성 등과 함께 가능세계는 양상성의 현상들이다. 이러한 양상성의 현상인 가능세계는 반사실적 조건문에 사용된다. 본 논문은 반사실적 조건문을 위해 사용되는 가능세계가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다룬다. 가능세계는 양상실재론과 양상현실론이 있다. 전자는 현실세계와 그 안에 존재하는 사물들처럼 가능세계와 가능개체들이 현실세계와 독립적으로 존재한다고 믿는다. 후자는 가능세계와 가능개체들은 현실세계와 떨어져 독립적 존재로써 있다는 것을 거부한다. 반실재론은 이것과 반대되는 입장인데, 이것은 가능세계와 가능개체(개별자)를 인정하지 않으며 가능세계와 개체들을 인정하지 않고도 양상명제에 대한 가능세계를 설명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현실세계에 존재하는 것들 중 어느 것이 가능성들을 나타내주는 가능세...
TAG 가능세계, 현실세계, 양상실재론, 양상현실론, 반사실적 조건문, 사태, possible worlds, actual worlds, modal realism, counterfactual, states of affairs.
종교 중독에 대한 신학적 이해
박성철 ( Park Sung Chole )  한국기독교철학회, 기독교철학 [2018] 제26권 25~50페이지(총26페이지)
종교 중독은 개인적인 삶을 파괴하고 종교를 통한 극단적 억압과 폭력과 같은 사회적 문제를 발생시킨다. 기독교적 관점에서, 사람들이 하나님과의 관계가 아니라 개인의 삶을 통제하는 종교에 극도로 몰두할 때 신앙은 “해로운 신앙”이 된다. 해로운 신앙은 사람을 학대하고 조종하여 중독에 빠지게 한다. 종교 중독은 낮은 자존감, 상처받은 내면아이, 애착장애, 자기강박 등과 같은 개인적 요인과 현실도피, 자본주의적 구매욕구 등과 같은 사회적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이는 모두 외상의 문제와 연결되어 있다. 종교 중독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권위에의 복종으로 인한 삶의 극단적 수동성이다. 둘째, 권력 중독이다. 셋째, 감정의 고양(혹은 열광)을 위한 강박적인 종교행위이다. 넷째, 극단적 폐쇄성과 폭력성이다. 다섯째, 영혼의 학대로서 집단 압력이다. 영혼의 돌봄...
TAG 종교 중독, 종교심리학, 회복, 외상, Religious Addiction, Psychology of Religion, Recover, Trauma
성경 해석을 위한 다양한 연극적 읽기에 대한 고찰
서민정 ( Seo Min Jeong )  한국기독교철학회, 기독교철학 [2018] 제26권 51~101페이지(총51페이지)
본고에서는 성경 해석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연극적 접근들을 살펴보면서 각 작업들의 특성과 보완점을 고찰하고자 한다. 연극적 방법으로 성경해석을 접근한 실제 사례를 모노드라마, 비블리오드라마, 현장재현의 연극으로 나누어 소개하고 연극의 삼요소인 텍스트, 인물, 관객과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모노드라마는 성경 속 화자를 통해 저자이신 하나님의 관점을 발견하고 그 관점을 통해 구성되는 사건의 흐름을 파악하도록 한다. 비블리오드라마는 다양한 해석적 접근을 수용하여 독자와의 인격적 소통을 돕는다. 현장재현의 연극은 텍스트의 문자적 의미와 문맥에 신중한 주의를 기울이되, 주어진 장면을 충실히 재현함으로써 텍스트의 재현을 돕는다. 성경 해석이 문헌적 고찰을 통한 이해와 더불어 텍스트와 소통하는 상호작용이라고 할 때, 성경 읽기의 연극적 접근에 따라 어떠한 해석...
TAG 연극, 성경 읽기, 역할 연기, 모노드라마, 비블리오드라마, 현장재현의 연극, Drama, Reading the Bible, Monodrama, Bibliodrama, Replay of the Scene
개혁주의생명신학과 요더 신학의 중심사상 비교
소민재 ( So Min Jae )  한국기독교철학회, 기독교철학 [2018] 제26권 103~133페이지(총31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개혁주의생명신학(The Reformed Life Theology)의 중심 사상을 소개하고, 개혁주의생명신학과 존 하워드 요더(John Howard Yoder, 1927-1997) 신학의 공통점을 비교하여, 개혁주의생명신학의 발전에 유익한 교훈들을 살펴보는 것이다. 개혁주의생명신학은 21세기 한국 교회가 대면하고 있는 어려운 문제들을 극복하고, 한국 교회의 쇄신과 발전에 필요한 성경적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 시작된 개혁신학 중심의 신앙혁신 운동이다. 개혁주의생명신학의 근본이념인 생명을 살리는 신학은, 지난 20세기 중반 이후 한국 기독교에서 확산되었던 사변적 신학의 한계를 극복하고, 진정한 교회됨과 성경적 사회 참여에 유익한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는 신학을 의미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개혁주의생명신학 이...
TAG 개혁주의생명신학, 요더 신학, 한국 교회, 모범과 대안, 교회 됨, 사회 참여, Reformed Life Theology, Yoder’s Theology, Korean church, Examples and alternatives, Being church, Social engagement
인간과 음악 : 번민과 그 번민의 극복
오광만 ( Oh Kwang Man )  한국기독교철학회, 기독교철학 [2018] 제26권 135~170페이지(총36페이지)
음악은 인류의 역사와 함께 시작되었다. 인간은 기쁨과 슬픔, 번민과 갈등을 음악으로 표현했다. 사람은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되었는데, “하나님의 형상”은 지성이나, 감정, 또는 인간의 도덕적 속성 중 어느 하나에 속하는 것이 아니라, 총체로서 인간 존재에 해당한다. 인간은 생각뿐만 아니라 감정을 표현하는 존재이며, 그것은 인간의 모든 속성의 중심인 마음에서 비롯된다. 또한 인간의 마음의 표출은 하나님의 마음과 연결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인간의 마음의 바른 표출은 하나님과 관련되어야 하며, 그 마음의 여러 갈등과 번민은 하나님 안에서만 그 해결을 찾을 수 있다. 성경의 시편 저자는 한 인간으로서 겪는 번민과 슬픔을 음악으로 표현했고, 하나님 안에서 찾으려 한 대표적인 사람이다. 그러나 많은 음악가들은 한 인간으로서 살면서 실제로 갈등하고, 그 갈등한...
TAG 음악, 인간, 차이코프스키, 말러, 성경적 인간관, the image of God, Psalms, Music, anguish, heart, communion, Tchaikovsky, Mahler, human being.
조나단 에드워즈의 아르미니우스주의 비판 -아이작 왓츠의 자유의지 개념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강미진 ( Kang Mi-jin )  한국기독교철학회, 기독교철학 [2018] 제25권 7~28페이지(총22페이지)
이 글의 목적은 조나단 에드워즈가 개혁신학의 자유의지 개념을 성경적으로 어떻게 다져나가는지 살펴보는 것에 있다. 아르미니우스주의자들은 개혁신학의 자유의지 개념을 부정한다. 그들은 인간의 자유의지를 지나치게 강조하여 하나님의 주권을 약화시키며 인간의 의지 자체에 자기 결정력이 있다고 여긴다. 또한 무관심 중립 상태에서 의지가 활동할 수 있다고 여긴다. 왓츠는 아르미니우스주의자들에 입장에 동의하며 그들의 논의를 뒷받침하기 위한 자유의지 개념을 주장한다. 그는 의지가 외부의 영향이나 선행 원인의 영향 없이 스스로 결정할 수 있다고 여긴다. 또한 의지 자신의 의욕은 이전의 어떤 결정이나 환경이 아니라 순수 중립적으로 결정하는 의지자체를 의미한다. 이것은 하나님의 주권보다는 인간의 의지 자체의 절대 주권을 인정하는 것이다. 특히 인간의 구원에 있어서 아르미니우스주의자들은...
TAG 에드워즈, 왓츠, 자유의지, 무관심중립상태, 의지의 자기결정력, 양립가능성, Edwards, Watts, Free will, indifferent neutrality, The self-decision of will, compatibility
동서양의 진화론 수용과 기독교 -한국과 스페인을 중심으로-
고운이 ( Koh Oon-ee )  한국기독교철학회, 기독교철학 [2018] 제25권 29~48페이지(총20페이지)
이 연구는 동서양 문화 속에서 과학이론이 어떻게 전래되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한국과 스페인의 진화론 수용을 검토하였다. 진화론은 서양보다는 동양의 전통적 생명관과 닮아서, 양국의 수용 과정에서 동양종교와는 부딪치지 않았지만 서양 종교인 기독교와는 불협화음이 있었다. 진화론이 처음 전래되었을 때 스페인에서는 가톨릭 교회 및 학계의 반발이 있었고 이후 정치적 문제로도 검열을 수차례 겪는 등 부침이 있었다. 한국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는 발생하지 않았다. 반면, 한국은 당시의 시대적 상황으로 인하여 사회진화론 개념을 위주로 진화론을 받아들였다. 오늘날에는 스페인 국민이 한국인보다 진화론 이해도가 훨씬 높은 것으로 드러났는데, 이는 양국의 종교 실태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스페인에서 진화론과 가톨릭의 대결구도는 이미 종식된 것에 반하여 한국의 개신교는 여전...
TAG 실체 이원론, 인간인격, 동물주의, 구성 관점, Evolution by natural selection, Charles Darwin, Public engagement, Spain, Christianity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