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AND 간행물명 : 미술교육연구논총607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학교교육에서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의 실행 방안에 대한 논의
전민기 ( Jeon Min-ki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20] 제63권 259~288페이지(총30페이지)
본 연구는 학교교육 현장에서 교사들이 지역사회와 연계한 미술교육을 실행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안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국가 교육과정이 개정될수록 지역사회 연계 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교사들이 지역사회와 연계한 미술교육을 다소 실행하기 어려운 영역으로 느끼는 이유를 교수ㆍ학습 내용과 방법에 대한 실질적 가이드라인의 부족 때문이라 판단한 바, 학교 미술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지역사회 연계 미술 실행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에 대한 이론적 탐색을 하고, 지역사회와의 적극적인 연계와 협력을 기반으로 이루어진 미술 사례를 선정 및 분석하였으며, 이의 교육적 변환을 통해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의 6가지 중점 요소, 즉 ‘지역을 탐방하면서 특징 인식하기’, ‘지역에서 표현 재료 탐색하고 수집하기’, ...
TAG 지역사회 연계 미술, 교육적 변환,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 Community-Linked Art, didactic transposition, Community-Linked Art Education
포스트 코로나 시대 미술교육 커먼즈 연구
전수현 ( Jeon Soo-hyeon ) , 이하림 ( Lee Ha-rim ) , 송명길 ( Song Myung-kil ) , 조원상 ( Cho Won-sang ) , 이주연 ( Lee Joo-yon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20] 제63권 289~321페이지(총33페이지)
COVID-19로 인하여 일상의 재배치가 요구되고 있다. ‘비대면’, ‘언택트’(untact) 등이 일상인 ‘포스트 코로나’(post Corona) 시대에 가장 큰 사회적 이슈로 거론되는 것은 뜻밖에도 불평등과 생존의 문제이다. 여기에는 디지털 플랫폼의 확대로 인한 디지털의 보유와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교육 불평등까지 포함된다. ‘노멀’(normal)에서 ‘뉴노멀’(new normal)로의 변환에서 ‘호모 디페랑스’(Homo Difference)적 자질과 새로운 ‘공공선’(common good)으로서의 공생에 대한 공감이 필요한 때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논의되고 있는 뉴노멀의 개념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뉴노멀로서 시대를 보는 새로운 ...
TAG 포스트 코로나 시대, 커먼즈, 커머닝, 커머너, 미술교육 커먼즈, post COVID-19 era, commons, commoning, commoner, commons in art education
학교미술교육에서 정의적 영역의 평가 적용 방안 연구
고황경 ( Ko Hwang-gyung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20] 제62권 1~33페이지(총33페이지)
미래 정보화 사회에 요구되는 역량을 갖춘 창의적인 인재를 기르는 교육, 학생들의 행복한 삶을 위해 전인적인 성장을 돕는 교육이 학교 교육을 통해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인지적 영역, 심동적 영역 뿐 아니라 자신감, 흥미, 가치, 협력, 태도 등 정의적 영역을 고루 다루어 학생들에게 균형적인 능력이 길러질 수 있도록 학교에서 교육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현행 교육과정인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인지적, 심동적, 정의적 능력의 균형적인 평가를 주요한 평가의 방향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정의적 영역 평가의 개념 및 필요성 등을 서술하고, 2015 개정 교육과정,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되어 현재 학교에 적용되고 있는 미술 교과서를 대상으로 정의적 영역 관련 평가 내용을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미술과에서...
TAG 정의적 영역, 미술과 평가, 2015 개정 교육과정, 미술 교과서, 학교 미술교육, affective domain, assessment in art education, 2015 revised national art curriculum, art textbook, school art education
도예교육과 바자회 프로그램을 통한 사회성 함양 방안
김정민 ( Kim Jeong-min ) , 류재만 ( Ryu Jae-man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20] 제62권 35~61페이지(총27페이지)
현대 사회에서는 이미 존재하고 있는 지식을 수동적으로 전달받는 것을 넘어 능동적으로 지식을 구성하고 그것을 타인과 공유, 협업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특히나 초등학교에서 아동들의 사회적 관계망이 넓혀지는 만큼 이 시기에 건전한 사회성을 갖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흙을 주재료로 하여 이루어지는 도예와 물건을 사고파는 것을 넘어 공동의 연대를 키울 수 있는 바자회, 그리고 타인과 관계를 형성해나가는 사회성은 서로 긴밀한 관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전까지는 이 세 가지의 요소를 주제로 하여 진행된 사례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예교육과 바자회 프로그램을 통하여 사회성을 함양시킬 수 있는 지도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프로젝트 학습모형을 토대로 도예교육과 바자회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초등학교 고학년 대상으로 적용하여 사회성 함양 효과를 검증하였다...
TAG 도예교육, 바자회, 사회성, 자주성, 의사소통능력, 배려·협력, ceramic education, bazaar program, sociability, self-reliance, communication ability, consideration and cooperation
미술교육에서 실천적 배움의 의미와 과정
김정희 ( Kim Jeung-hee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20] 제62권 63~85페이지(총23페이지)
본 연구는 미적 체험이 개인들이 공유하는 삶의 형식들을 변화시킬 뿐만 아니라, 세상을 변화 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추구하도록 한다는 이론들을 근거로 미술교육에서 실천적 배움의 의미를 고찰하고, 실천적 배움의 과정을 구조화하여 제시한다. 미술교육에서 실천적 배움은 학습자가 미적 체험을 통해 인식한 것을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실행에 옮기는 것을 의미하며, 학습자가 미술과 대면한 상황에서 능동적으로 대상이나 현상을 관찰하고 마음을 열어 인지하는 정신적 활동과 감각적 경험이 통합된 즉, 주목하고, 반응하고, 파악하고, 감정과 정서를 포착하고, 판단하는 활동에 의해 자신의 존재감을 깨닫고 세상의 변화에 참여함을 말한다. 이러한 실천적 배움의 과정은 첫째, 대상과 현상 또는 미술품을 낯설게 보고, 의문을 갖고 답을 찾으려는 의지로 집중하는 낯설음의 단계, 둘째, 학생...
TAG 미적 체험, 미술교육, 실천적 배움의 의미, 실천적 배움의 과정, aesthetic experience, art education, the meaning of practical learning, the process of practical learning
종이의 가변적 물성을 활용한 입체조형 수업 사례연구 -초등 예비교사 2학년을 대상으로 한 수업사례를 중심으로-
나상세 ( Na Sang-se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20] 제62권 87~122페이지(총36페이지)
미술은 재료를 자유롭게 탐색하고 표현하는 활동이며, 그 결과물로 소통한다.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 교육대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종이의 물성을 탐색하고 평면성을 탈출하여 노작 활동을 통한 입체조형 제작 과정을 분석한 수업사례이다. 종이를 활용한 입체조형 표현활동은 오래전부터 미술 수업 현장에서 다양한 표현활동으로 활용됐다. 학생들은 친숙하게 다가오는 다양한 색상과 종류의 종이를 쉽게 생각하고 있지만, 종이의 평면적 특성이 강하다는 선입관으로 입체표현의 주재료로 활용하기 어렵다고 느끼고 있다. 또한, 평면표현보다 입체표현에 관심과 흥미를 나타내면서도 과정상 수정이 힘들다는 이유로 표현에 소극적이다. 본 연구는 종이 조형 제작 과정을 통한 창의적인 조형적 사고력 확장과 미술 수업 현장에서의 적용 방안에 관한 내용을 정리했다. 본 연구에서 정리한 수업을 통해 얻은...
TAG 종이, 입체조형, 가변성, 노작활동, 창의력, 교육적 의미, paper, three-dimensional modeling, expression activity, creativity, educational results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빅 아이디어’의 설정과 적용 -캐나다 BC주 시각예술 교육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류지영 ( Ryu Ji-yeong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20] 제62권 123~154페이지(총32페이지)
본 연구는 미술과 교육과정에서의 ‘빅 아이디어’ 개념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미술과 교육과정 설정을 위한 적용 방안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미술교육에서 교과 교육과정 설계 방안으로서 빅 아이디어를 도입한 교육과정 총론의 원래 취지를 살리며 그 취지에 따라 미술교육의 성격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이를 위한 사례 연구로서 제 외국의 교육과정 문서를 살펴보았다. 그 가운데 특히 캐나다 공교육인 BC주의 교육과정을 통해 미술과 교육과정의 내용과 구성을 탐색하였다. BC주의교육과정에서는 학년별 목표로 빅 아이디어, 핵심개념, 내용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교육과정 설계 및 내용의 구조화를 의도하고 있다. 그리하여 국가 교육과정에서 빅아이디어와 핵심 개념, 내용의 제시 방식 및 구조화에서 실제 적용 사례를 살펴볼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간학문적 통합 개념으로...
TAG 미술과 교육과정, 빅 아이디어, 미술교육, BC주, 핵심 개념, national art curriculum, big idea, art education, British Columbia, BC, core concept
샌드박스 게임의 미술관 교육 활용 가능성 탐색
송명길 ( Song Myung-kil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20] 제62권 155~174페이지(총20페이지)
미술관의 경계를 허물고 전시 경험을 지속시키는 방안으로 샌드박스 게임을 통한 접근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샌드박스 게임은 높은 자유도와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미술관 교육에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중접속 샌드박스 게임인 동물의 숲과 마인크래프트를 활용한 미술관 교육의 가능성을 외국 미술관들의 사례를 통해 알아보았다. 샌드박스 게임은 가상 미술관 체험과 작품 재수용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이를 교육에 활용한다면 성찰, 재창조, 확장의 경험을 갖게 될 것으로 보여진다. 샌드박스 게임의 특징을 살려 미술관 교육이 지향하고자 하는 바를 성취하도록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가 지향하는 바는 교육을 위한 게임을 활용을 넘어서, 게임에서의 교육적 접근을 통해 자발적인 배움이 일어나도록 하는 가능성을 조망하고자 하는...
TAG 샌드박스 게임, 교육적 활용, 미술관 교육, sandbox game, educational use, art museum education
문화유산을 활용한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 -한성백제문화유산을 중심으로-
이상민 ( Lee Sang-min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20] 제62권 175~201페이지(총27페이지)
지역사회의 삶의 맥락 속에서 학생들의 경험과 학습이 어우러지는 방향으로 교육과정이 개정되면서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박물관, 미술관 등의 지역사회 자원 연계에 치중되어 있거나, 산출물 중심의 단편적 활동에 그쳐 학생들의 실질적인 지역문화 참여 기회가 다소 부족하다. 또한 문화유산은 지역문화정체성 함양과 지역문화 참여 기회를 제공할 수 있어 교육적 가치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유의미하게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지역성, 참여성, 예술성, 확장성의 특성을 가진 문화유산은 맥락적, 참여적, 개방적 성격을 띠는 지역사회 연계미술교육에서의 활용 가치가 높고, 지역사회와 문화유산 간의 교육적 결합을 통해 교육효과를 증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역문화정체성을 확립하고, 지역문화 참여를 증진하며 지역문화공동체를 활성화할 수 있도록 문...
TAG 문화유산,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 지역문화 참여, 한성백제문화유산, cultural heritages,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participation in community culture, Hanseong Baekje cultural heritages
포스트 코로나,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서의 학교와 미술관 연계 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이은적 ( Lee Eun-jeok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20] 제62권 203~225페이지(총23페이지)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발달은 예술, 문화산업 및 교육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코로나 19 사태는 이를 더욱 가속화 하고 있으며 우리에게 큰 변화를 촉구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학교와 미술관 연계교육은 디지털 환경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확장되어야 한다. 논문에서는 포스트 코로나와 디지털 미디어 환경 속에서 학교와 미술관 연계 교육을 검토해보고 활성화시키는 방안을 모색해보았다. 우선 포스트 디지털 미디어 시대와 그 시대를 살아가는 세대의 특성, 문화예술 현상 그리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와 에듀테크의 가속화를 검토해보았다. 이어서 미술관이 디지털 미디어 환경 속에서 어떠한 디지털 전략을 준비하며 변화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최종적으로 디지털 환경을 활용한 학교와 미술관 연계 교육을 미술 교과 역량별로 논의해보며 활성화 방안을 찾아보았다. 디지털 환...
TAG 포스트 코로나 시대, 포스트, 디지털, 미디어, 시대, 학교와 미술관 연계교육, 에듀테크, Post-Corona Era, Post-Digital, Media, Era, education linking school and art museum, Edutech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