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AND 간행물명 : 미술교육연구논총607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자기 주도적 미술 학습을 위한 공간 디자인 프로그램 설계 - 예비 초등 교사를 대상으로 한 미술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정회진 ( Jeong Hoe-jin ) , 박소영 ( Park So-young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19] 제56권 243~275페이지(총33페이지)
디자인은 인간을 둘러싼 모든 환경과 사물에 대한 반응이고, 의미 있는 변화를 시도 하려는 인간의 본성이다. 자연의 질서와 인간이 만든 질서의 혼재로서의 공간은 끊임없이 인간의 삶에 영향을 준다. 공간 디자인의 의미와 가치는 예술적, 미적, 재료적 특징에 매어 있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경험과 자기 주도성에서 시작된다. 환경에 대한 학습자의 적극적인 반응의 대상으로서 공간은 소통을 통해서 개인의 발전과 사회적 개선의 방향으로 이끌어 가는 자기 주도적 미술 학습 제재로 적합하다. 학습자가 미술 활동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면서 자기를 계발·성찰하고, 그 과정에서 타인의 생각과 느낌을 이해하고 존중·배려하며 협력할 때 자기 주도적 미술 학습 능력을 기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간과 자기 주도성의 관련성을 바탕으로 공간 디자인 프로그램인 ‘미래 교실 디자인’을 ...
TAG 디자인 교육, 공간 디자인, 자기 주도성, 자기 주도적 미술 학습 능력, design education, space design, self-directed, self-directed art learning ability
학교미술교육의 핵심 역량으로서 창의적 사고 역량에 대한 논의
이주연 ( Lee Joo-yon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18] 제55권 1~26페이지(총26페이지)
융합기술에 대한 국가적 관심은 융합인재교육(STEAM)으로 연결되었으며, 학교교육에서도 창의성, 융합적 사고, 문제 해결 능력 등을 강조한 국가 교육과정을 개정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창의·융합은 창의와 융합의 당위성만 있을 뿐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창의·인성만큼이나 둘의 조합에 대한 논의는 상대적으로 적다.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창의적 사고 역량과는 달리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는 창의·융합 역량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의 달성을 위하여 학교미술교육에서 학습 활동들을 어떻게 제시하고 있는지를 점검해본다면 두 요소간의 조합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창의·융합교육의 기본이 되는 STEAM 및 A-STEAM을 살펴보았으며, 현행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
TAG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창의·융합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STEAM, 2015 revised Korean National Art Curriculum, creativity and convergence competencies, creative thinking competencies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3,4학년 미술교과서 분석
류재만 ( Ryu Jae-man ) , 박미진 ( Park Mi-jin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18] 제55권 27~63페이지(총37페이지)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미술교과서 분석 및 이에 대한 전문가 교사들의 의견을 수렴함으로써 향후 교육과정 개정 및 미술교과서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개정 중점 방향 및 교과서 편찬상의 유의점, 검정 기준을 토대로 교과서 분석의 방향을 세웠으며, 아울러 교과서 집필 경험 및 분석을 위한 교과서 사전 검토를 통하여 전문가 교사들의 의견을 수렴할 필요가 있는 요소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전문가 교사는 초등학교에 재직 중이면서 미술교육 박사과정 이상의 교사로 총 6명이 참여하였으며, 분석결과에 대한 서면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미술교과서 분석 및 전문가 교사 의견 수렴결과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 역량과 같이 미술 교육을 통해서 길러질 수 있는 ...
TAG 2015 개정 교육과정, 미술교과서,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rt Textbook
자기연구를 통한 교사의 예술성 찾기
김외순 ( Kim Oae-soon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18] 제55권 65~103페이지(총39페이지)
최근 교육의 예술적 측면이 부각됨에 따라 교사에게도 가르침의 예술, 즉 예술성이 요구되고 있다. 교육학 전반에서 교육의 예술성이나 수업의 예술적 특성을 밝히려는 논의는 많았으나 교사의 예술성에 대한 논의는 없었다. 본 연구는 연구자 자신이 교사로서의 예술성을 어떻게 인식하고 형성해 나가고 있는지, 그리고 내면의 변화가 미술수업으로 어떻게 실천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교사가 자신의 삶과 수업에 의식적으로 주의를 기울이고, 자신을 끊임없이 성찰해보아야 한다는 말은 자기 연구, 즉 스스로를 연구자이자 연구대상으로 놓을 수 있어야 함을 말한다. 이에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 중에서 ‘자신의 교육적 실천 행위와 그 맥락’을 연구하는 자기 연구(self-study)를 기반으로 하였다. 구체적인 논의를 위해 교사를 예술적 존재로 바라본 맥신 그린과 슈타이너의 ...
TAG 교사의 예술성, 자기 연구, 질적 연구, 교육 예술, 성찰, teacher’s artistry, self-study, qualitative study, education as art, reflection
아동화에 나타난 감정표현 관련 상징적 기호의 유형 분석 - 초등학생의 인물화 중심으로 -
김정희 ( Kim Jeong-hee ) , 공완욱 ( Kong Wan-wook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18] 제55권 105~135페이지(총31페이지)
본 연구는 기호학적 관점에서의 아동화 분석 관련 연구를 살펴보고, 아동들이 감정표현을 위해 습관적으로 활용하고 의미작용이 일어나도록 하는 이미지를 분석한다. 특히 기쁨, 슬픔, 분노의 의미를 만들어 내는 이미지를 일반적 유형과 개별적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 유형에 나타난 형태의 특징을 분석하여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초등학생 총 293명의 인물화를 분석한 결과 아동들은 얼굴표정과 신체뿐만 아니라 감정표현을 위한 부가적 기호를 생성하여 활용했다. 아동들은 얼굴 표정과 팔과 다리의 움직임에 따른 자세, 만화적 기호, 감정을 상징하는 물건 또는 상황 등을 부가적으로 활용해서 감정표현을 했다. 감정을 표현한 인물화의 일반적인 유형에서는 도식적인 묘사의 비중이 높게 나타난 반면 개별적 유형의 인물화에서는 자신의 경험이나 느낌을 암시적으로 표현하는 상징적 기호의 다...
TAG 아동화, 감정표현, 인물화, children’s drawing, express emotions, portraits
팀 기반 학습전략을 활용한 A-STEAM 수업 실천 사례연구 - 미술영재 수업을 중심으로 -
강영숙 ( Kang Young Sook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18] 제55권 137~164페이지(총28페이지)
본 연구는 팀 기반 학습전략을 활용한 A-STEAM 프로그램을 미술영재교육에 적용한 사례에 대한 반성으로 A-STEAM 수업 방안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은 미술영재를 대상으로 한 STEAM 수업 과정에서 어떠한 수업전략이 필요한가에 대한 반성적 사고로 교사가 STEAM 수업에서 발견한 어려움 해소에 중점을 두었다.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은 S대학교 부설 미술영재원 중·고등학교 학생들과 수업을 한 지도교사이다. A-STEAM 수업 참여관찰 및 그룹 면담, 심층면담, 클래스팅 메모, 수업일지 등에서 자료를 수집하였고, 실행연구 방법으로 융합수업에서 요구되는 수업전략을 제시하였다. 협력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A-STEAM 수업 전략은 ‘팀 빌딩으로 협력체제 형성’, ‘협력 학습지 및 협력 토론 적용’, ‘사전학습 내용 정리 및 사전 점검’...
TAG A-STEAM, 미술영재, 실행연구, 팀 기반 학습, artistic gifted, action research, team-based learning
현대미술 감상 교육에서 미술과 문학의 융합
이상아 ( Lee Sang-ah ) , 안지연 ( Ahn Ji-youn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18] 제55권 165~184페이지(총20페이지)
본 연구는 현대미술 감상 교육에서 문학과의 융합을 통한 교수·학습이 가지는 의미와 사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융합 교육 담론에서 미술은 융합 교육 시행의 당위 아래 도구적으로 활용되곤 하였다. 그러나 미술교육에서 융합은 미술 외의 영역과의 연계가 교수·학습에 실제적인 도움이 될 때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본 연구는 융합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아닌, 융합 교육에 있어서 미술과 문학의 융합이 어떠한 의미를 지닐 수 있는지 현대미술 감상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현대 미술 감상 교육은 작품에 담긴 지식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그 이유는 감상자가 그림 자체만으로는 맥락을 파악하고 주체적으로 감상하는 데 어려움을 겪기 때문이다. 감상자들이 감상 시 주로 어려움을 느끼는 현대미술의 주된 특징 중 한 가지인 ‘비재현성’을...
TAG 문학, 융합, 현대미술 감상, Literature, Convergence, Contemporary Art Appreciation
초등학교 인성 함양 중심 미술 표현활동 방안 - 존중과 협동을 중심으로 -
정민경 ( Jeong Min-kyoung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18] 제55권 185~215페이지(총31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의 바람직한 인성 발달을 위하여 미술 표현활동 중심의 학습 방안을 구안하여 실제 효과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인성 가치·덕목 중 존중과 협동을 중심으로 미술 표현활동 교육을 실시하였다. 인성과 인성교육의 개념, 미술교육과 인성교육의 관련성, 미술교육과정에서 인성 관련 가치·덕목과 핵심역량을 살펴보고 미술 표현활동에서 가능한 인성교육 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인성 함양을 위한 미술 표현활동의 방향으로 교과 통합적 방향, 생활지도와의 연계, 표현활동 과정과 정서 발달을 중심으로 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미술 표현활동을 11회기로 계획하여 학생들의 생각, 행동, 작품을 살펴보고 결론을 도출하였다.
TAG 인성교육, 미술표현, 존중, 협동, Character education, art-expression activities, respect, cooperation
미술교육 관점에서 디자인 씽킹에 대한 비판적 고찰
공완욱 ( Kong Wan-wook ) , 임혜원 ( Lim Hye-won ) , 이미희 ( Lee Mi-hee ) , 박수정 ( Park Su-jeong ) , 이주연 ( Lee Joo-yon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18] 제55권 217~246페이지(총30페이지)
사회의 다각적 변화와 맞물려 미술이 아닌 타 분야에서 디자인 씽킹(design thinking)을 동력으로 하는 혁신적인 사고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디자인 분야의 디자인 씽킹과 타 분야에서 바라본 디자인 씽킹과의 차이점이 무엇이며, 미술교육에서는 이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에 대한 고민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디자인 씽킹의 역사 및 개념, 동향 등을 살펴보고, 미술교육 관점에서 디자인 씽킹을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타 분야의 디자인 씽킹에서 주요하게 논의되는 혁신적 사고 및 공감은 디자인 분야의 디자인 씽킹이 지닌 고유 특질로서, 새로운 것이 아님을 확인하였다. 또한 디자인 씽킹이라는 직접적인 용어 사용을 하지 않았을 뿐 미술교육 분야에서도 이의 개념 및 방법은 꾸준히 강조되어 ...
TAG 디자인 씽킹, design thinking, 미술교육,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art education, The National Art Curriculum revised 2015
교육적 방법론 기반의 기획 전시를 통한 미술관교육의 새로운 방향 모색 - 아르코미술관 ‘배움의 무대’의 <안테,나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전민기 ( Jeon Min-ki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18] 제55권 247~271페이지(총25페이지)
국내 미술관교육 연구가 이루어진 지 약 40년 정도가 흘러서 이제는 지금까지의 미술관교육을 되돌아보고 새로운 방향들에 대해 논할 때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과는 다른 관점으로 미술관에서의 교육을 실천한 프로젝트로서 ‘교육적 방법론 기반의 기획 전시’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미술관교육의 방향성에 대해 논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아르코미술관이 기획한 ‘배움의 무대’ 전시와 더불어 개발된 학교 연계 프로그램인 <안테,나 프로젝트>를 살펴보고, 이것이 미술관교육에 시사하는 바를 논하였다. ‘교육의 큐레토리얼화’의 현장에서 본 연구자가 기획 및 진행한 이 프로젝트는 ‘배움의 무대’ 전시와 연계한 중요 교육 프로그램이자 작품으로 기능하며 ‘배움’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한 곳에 수렴시키는 역할을 한다. 프로그램의 내용과 방법의 분석을 통해 미술관교육의 새로운 ...
TAG 교육적 방법론 기반의 기획 전시, 큐레토리얼, 미술관교육, 배움의 무대, 안테나 프로젝트, Special exhibition based on educational methodology, Curatorial, Art museum education, Stage of Learning, Antenna Project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