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1074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청년의 젠더의식은 어떻게 생산되는가
김선기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정책리포트 [2019] 제37권 1~14페이지(총14페이지)
청년의 정치적 대표성 강화를 위한 정치개혁 방향
김푸른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정책리포트 [2019] 제36권 1~15페이지(총15페이지)
청년과 도시 : 청년세대의 미래를 위한 지방도시의 재편
박근영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정책리포트 [2019] 제35권 1~18페이지(총18페이지)
청년에게 ‘재벌개혁’이란?
박상인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정책리포트 [2019] 제34권 4~17페이지(총14페이지)
청년이 일어서야 세상이 바뀐다 - 2019 신년에 생각하는 민주주의의 전망 -
김동춘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정책리포트 [2019] 제33권 4~21페이지(총18페이지)
한국 민주주의 기원의 재구성
김정인 ( Kim Jeongin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기억과 전망 [2018] 제39권 11~54페이지(총44페이지)
본고에서는 먼저 민주주의 외삽론을 해방 직후 미국에 의해 민주주의 제도와 자유민주주의 이념이 이식되었다고 보는 민주주의 이식론과 19세기에 민주주의가 사상과 정체(政體)로서 수용되었다고 보는 민주주의 수용론으로 나누어 그 연구경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민주주의가 외적 계기에 의해 이식된 선진적인 제도와 이념이라는 민주주의 외삽론은 민주주의 제도의 실현에서 민주주의의 기원을 찾고자 하는 시각에 근거해 있다. 여기서는 이와 같은 민주주의 외삽론에 대한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문화적 관점에서 민주주의의 기원을 만민평등의 문화, 저항운동의 문화, 집단민주주의 문화라는 민주주의 문화 형성기의 특질을 중심으로 다루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한국 민주주의가 만민평등, 저항운동, 집단민주주의라는 문화적 특질을 형성하며 시작되었음을 밝히고자 한다. 또한 1919년의 3.1운동과 민...
TAG 민주주의 외삽론, 민주주의 문화, 만민평등, 저항운동, 집단민주주의, Argument of Implanted Korean Democracy, Democratic Culture, Universal Equality, Resistance Movement, Group Democracy
촛불집회와 한국 민주주의의 진자 운동, 1987-2017 : 포스트권위주의와 포스트민주주의 문제의 동시성을 중심으로
신진욱 ( Shin Jin-wook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기억과 전망 [2018] 제39권 55~100페이지(총46페이지)
이 글은 1987년 이후 한국 민주주의의 핵심 문제와 그로부터 이명박 정권과 박근혜 정권 하의 재권위주의화로 이르게 된 과정을 분석한 뒤에, 그 맥락에서 2016~2017년의 촛불집회와 탄핵이 한국 민주주의 역사에서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 그리고 아직 미결로 남았거나 새로이 등장할 수 있는 민주주의의 위험이 무엇일지를 논한다. 각 목표에서 이 글의 주장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민주주의는 ‘포스트권위주의’ 사회의 민주주의 결손 문제와 성숙한 민주사회에서 신자유주의화와 더불어 심화된 ‘포스트민주주의’의 문제를 함께 갖고 있었으며, 포스트민주주의 문제의 심화가 재권위주의화의 촉진제가 되었다. 둘째, 2016~2017년의 촛불집회는 한국 정치의 재권위주의화를 저지하고 1987년 민주주의 체제를 복원하는 방어적 항쟁으로서 성공적이었을 뿐 아니라, 시...
TAG 포스트권위주의, 포스트민주주의, 결손민주주의, 촛불, 탄핵, Democratization, Defective Democracy, Post-Democracy, Candlelight Protest, Presidential Impeachment
‘제국의 신민’에서 ‘재한피폭자’로 : 한국 원폭피해자 운동에서 한·일 시민연대의 사회문화적 토대와 그 변화
오은정 ( Oh Eunjeong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기억과 전망 [2018] 제39권 103~147페이지(총45페이지)
이 글은 한국 원폭피해자 운동에서 한·일 간 시민연대의 형성과 그 사회문화적 토대, 그리고 변화 과정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둔다. 논문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째, 1950~1960년대 한국 원폭피해자 운동과 한·일 시민연대의 초기 형성과정을 짚어본다. 한국 원폭피해자 운동이 일본 시민사회와 연결되는 지점들을 운동에 참여한 일본 시민사회 단체의 주요 인물들의 체험과 반성의 사유라는 미시적 차원과, 일본의 피폭자 운동과 유일피폭국 담론의 양가성이라는 측면에서 교차하여 살피기 위함이다. 둘째, 1970~1980년대 냉전 질서가 자리 잡은 한반도의 정치질서 하에서 한국 원폭피해자 운동에 한계를 지운 안보와 반공담론 등의 정치사회적 제약과 이로 인해 생겨난 운동의 방식과 대외 교류 활동의 양상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1990년대 이후 한국원폭피...
TAG 한국 원폭피해자 운동, 한·일 시민연대, 반공 담론, 수첩 재판, 피폭자, Korean Atomic Bomb Survivor’s Movement, Korea-Japan Civil Solidarity, Anti-Communistic Surveillance, Techo-Trial, Hibakusha
한국인 원폭 피해자와 증언의 서사, 원폭 문학 : 김옥숙, 『흉터의 꽃』(2017)
이행선 ( Lee Haeng-seon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기억과 전망 [2018] 제39권 148~190페이지(총43페이지)
이 글은 한국인 원폭 피해자를 다룬 김옥숙의 『흉터의 꽃』(2017)이 한국의 ‘원폭 문학’으로서 갖는 의미를 고찰하고자 했다. 세월호 사건 이후 억울함을 호소하는 다양한 구성원의 목소리가 분출하는 사회분위기하에서 한국인 원폭 피해자를 다룬 김옥숙의 장편소설 『흉터의 꽃』이 출간되었다. 이 소설이 간행된 2017년 5월은 ‘한국인 원자폭탄 피해자 지원을 위한 특별법’이 시행된 달이기도 했다. 하지만 대다수가 ‘특별법’ 시행이나 원폭 피해자의 존재 여부를 모르고 있다. 피해 당사자의 염원이라고 할 수 있는 ‘특별법’이 시행된 해에 나온 소설은 무엇을 독자에게 전달하고자 했을까. 또한 구술 증언집과 달리 소설은 어떠한 효과를 발휘하고 있는 것일까. 세월호 이래 진실과 공감을 공유하고자 하는 여러 전달자가 ‘어떻게 쓸것인지’ 고심하던 때에 산출된 소설이기에...
TAG 동일본대지진, 세월호, 김형률, 히로시마, 합천, East Japan Great Earthquake Disaster, Sewol Ferry, Kim Hyung Ryul, Hiroshima, Hapcheon
여성 정치와 페미니즘 정치 사이 : 촛불혁명 이후 젠더 민주주의 구축을 위한 모색
이진옥 ( Lee Jinock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기억과 전망 [2018] 제39권 193~242페이지(총50페이지)
이 논문은 최초의 여성 대통령을 탄핵 시킨 촛불혁명과 그 이후의 대선과 문재인 정부의 출범이라는 일련의 과정에 배태한 젠더 동학을 분석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촛불혁명의 여진은 미투운동, 낙태죄 폐지, 불법 촬영 및 편파수사 규탄시위 등의 페미니스트 운동에 의해 이어지고 있으나, 촛불혁명 과정에서 확인된 남성주의의 재생은 6.13 지방선거에도 이어졌다. 이 현상의 이면에 존재하는 대의 정치에서 여성의 참여를 강조하는 여성 정치와 페미니즘 의제로 광장 정치의 지속을 주장하는 페미니즘 정치 사이의 이중적 긴장에 대해 분석하며, 이 논문은 ‘정치적인 것’과 여성 대표성 및 여성 범주의 재구성을 통해 여성 정치와 페미니즘 정치와의 접속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페미니스트의 관점에서 여성 대표성은 대의 민주주의의 치명적 모순과 한계를 집결시키는 양가적이고 모순적 ...
TAG 촛불혁명, 여성 정치, 페미니즘 정치, 여성 대표성, 젠더 민주주의, Candle Light Revolution, Women’s Politics, Feminist Politics, Women’s Representation, Gender Democracy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