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AND 간행물명 : 한국어문교육329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연군시조의 여성 목소리와 시조 교육
송재익 ( Song Jaeik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9] 제29권 249~275페이지(총27페이지)
이 글은 연군시조에 보이는 다양한 여성 목소리를 살펴보고, 여성 목소리가 지니는 효과를 정리해 보고, 여성 목소리의 연군시조를 문학교실에서 어떻게 교육하고 활용하면 좋을지를 짚어본 글이다. 연군시조에서 말하는 이의 성별을 읽는 이가 가늠해 보게 하되, 연군의 표지를 찾게 하는 활동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연군의 표지가 없고 여성임을 뚜렷하게 나타내주는 말이 없는 작품들의 화자의 성별 가늠은 늘 열어두어야 한다. 그리고 연군의 노래에서 지은이는 왜 여성의 탈을 쓰고 노래하는지 읽는 이나 학습자들이 그 의도를 헤아려 보게 하면 더 깊이 있는 감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더 나아가 시나 노래에서 말하는 이가 이러한 말투나 목소리로 노래하면 여성이라고 규정하고 여성 화자의 노래는 대개 이런 특징을 지니며 이것이 우리 문학의 전통이라고까지 설명하는 문학 교육은 ...
TAG 연군시조, 여성 목소리, 연군의 표지, 화자의 성별 가늠, 시조 교육, Yeongun-Sijo(Sijo about missing the king), Female voice, Signs about missing the king, Gender distinction of speaker, Sijo education
문학 수업과 정서적 지원에 관한 학습자의 인식 연구 - 초 · 중 · 고생 설문 조사를 중심으로
박치범 ( Park Chibeom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9] 제28권 7~53페이지(총47페이지)
이 연구는 문학 수업에서 정서적 측면을 다루는 것과 관련된 학습자의 인식을 살펴볼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초,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에서 응답자들은 스스로 문학 작품 읽기를 선호하고, 문학 작품을 읽고 잘 감동하는 편이며, 감동을 나누는 일의 필요성에 긍정적으로 답했다. 그러나 자신이 문학 작품에서 받은 감동을 자주 표현한다는 데에는 중립적으로 답했다. 또 스스로 문학 수업이 중요하다고 답했지만, 문학 수업에 대한 선호에는 더 낮은 점수를 매겼고, 문학 수업의 효용 중 ‘감정의 경험’에 가장 높은 점수를 부여했다. 한편 응답자들은 스스로 문학 수업에서 자신의 감정을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편이 아니며, 동료 학습자 또한 그러하다고 답했다. 아울러 문학 작품에 관한 자신의 감정을 더 다양한 방법(...
TAG 문학 수업, 정서적 지원, 학습자의 인식, 감정의 공유, 감정 교육, Literacy classes, Emotional support, Learner perception, Shared emotions, Education of emotions
문학의 의미와 문학작품의 교육적 활용에 관한 시론
이창희 ( Lee Changhui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9] 제28권 55~79페이지(총25페이지)
학교에서 수행되는 각 교과의 교육이 제대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각 교과가 지향하는 궁극적 교육목표를 정확하게 이해해야 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효율적이고 실용적인 교육이 진행되어야 한다. 문자의 기원을 아로새겨진 그림 무늬에서 시작한 것으로 여긴 데에서 출발하여 그런 문자를 기반으로 하여 완성된 문학 또는 문학작품은 ‘꾸밈’을 기본 속성으로 한다. 문학은 내용으로서의 ‘무엇’과 표현 형식으로서의 ‘어떻게’가 결합한 구조물이다. 따라서 문학을 문학으로 여기게 만드는 것은 ‘어떻게’ 표현했는가이다. 인간이 혼자서는 삶을 영위해 갈 수 없는 인류사회에서, 상호의사소통은 사회와 단체가 존립할 수 있는 바탕이 되며, 꾸밈을 활용한 표현의 방식은 사람들 간의 관계를 원만하게 만들어주는 요소이다. 문학 작품은 생산자로서 작가가 세상을 어떻게 관찰하고 인식하고 있는지, ...
TAG 문학의 의미, 꾸밈, 문학작품, 읽기와 쓰기, 문학교육, The Meaning of literature, Decorating, Literary works, Reading and writing, Literary education
다문화적 관점에서의 고전시가 교육 - 김충선의 〈모하당슐회述懷〉를 중심으로
백순철 ( Paik Sunchul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9] 제28권 81~104페이지(총24페이지)
다문화교육의 주요 개념으로는 ‘다문화주의’와 ‘다문화 문식성’이 사용되고 있다. ‘다문화주의’는 소수의 정체성을 인정하거나 수용하는 데 그치지 않고 적극적으로 다수 집단의 정체성의 일부로 받아들여 정체성의 통일 내지는 확장을 도모하는 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에 주목하였다. ‘다문화 문식성’에 있어서는 이를 함양해야 할 대상으로 소수자보다 다수자를 더욱 중요하게 언급하고, 이를 함양하기 위해서는 어떤 제재를 교과서에서 구체적으로 활용하느냐가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다문화적 관점에서 교과서의 제재를 선정하는 논의와 관련해서는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귀화인 또는 이주민의 역사에 주목하였다. 대체로 중국계, 일본계, 베트남계 민족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의 문화권에서 생산된 문학 또는 이들이 주체가 되어 생산한 문학을 주요한 교육 제재로 고려해야 한다는...
TAG 다문화적 관점, 다문화주의, 다문화 문식성, 다문화교육, 문화적 정체성, Multi-cultural perspective, Multiculturalism, Multicultural literacy, Multicultural education, Cultural identity
‘한 학기 한 권 읽기’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 및 실태 조사 연구
장은섭 ( Jang Eunseob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9] 제28권 105~133페이지(총29페이지)
이 연구에서는 전국의 중학생 625명을 대상으로 ‘한 학기 한 권 읽기’ 활동에 대한 인식과 실태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중학생들은 ‘한 학기 한 권 읽기’ 활동에 대해 대체로 부정적인 반응보다 독서에 대한 호기심과 흥미를 통해 자신감과 긍정적인 태도 형성에 도움이 되었다고 밝혔다. 다만, 읽을 책을 선정하면서 여전히 교사 주도의 모습과 읽은 책의 장르가 문학작품에 치중된 모습을 보였다. 특히, 한 권 읽기 활동을 교과 수행평가에 반영하는 경우가 많아 학생들에게 심리적 부담감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또한, 충분한 독서 시간을 확보하지 못해 다소 형식적인 활동에 그쳤다는 아쉬움도 드러냈다. ‘한 학기 한 권 읽기’ 활동은 학교 읽기 교육과 독서 진흥 측면에서 분명 의미 있는 시도임은 분명하다. 다만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교육 구성원들의 지속적인...
TAG 한 학기 한 권 읽기, 독서 교육, 국어과 교육과정, 국어 교과서, 온 책 읽기, Read One Semester, Reading education, Korean language curriculum, Korean textbooks, Read the whole book
초등학교 교과서의 순화 대상어 선정과 교과서 어휘 순화의 방향 - 국어 · 수학 · 사회 · 과학 · 도덕 교과를 중심으로
이관규 ( Lee Kwankyu ) , 정지현 ( Jeong Jihyeon ) , 신희성 ( Shin Heeseong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9] 제28권 135~174페이지(총40페이지)
본 연구는 대규모의 말뭉치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교과서의 순화 대상어 선정 작업을 소개하였다. 이는 국어 순화 운동의 맥락과 초등학교 교과서 어휘 연구의 맥락을 한데 다룬 것이다. 국어 순화 운동은 1948년 시작되어 현재까지도 국립국어원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초등학교 교과서 어휘 연구는 종합적 연구와 더불어 개별 교과들에서 교육 내용에 대한 검토로 이루어지고 있다. 초등학교의 국어, 수학, 사회, 과학, 도덕 교과서를 바탕으로 순화 대상어를 선정하였다. 선정은 교과서 말뭉치에서 어휘 추출, 추출 어휘에서 순화 대상어 선별, 순화 대상어에 대한 전문가 평정의 단계를 거쳤다. 그 결과 총 1,341개의 순화 대상어와 가장 순화할 필요가 있는 4등급 259개를 필두로 3등급 309개, 2등급 427개, 1등급 346개 어휘가 도출되었다. 다음으로 각 교...
TAG 초등학교 교과서, 교과서 어휘, 순화 대상어, 순화어, Elementary School textbook, Textbook vocabulary, Target words to refine, Refined words
문화콘텐츠 ‘간이역’에 대한 문학적 해석과 이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김한성 ( Kim Hansung ) , 최정아 ( Choi Junga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9] 제28권 175~199페이지(총25페이지)
이 논문의 목적은 우리 주변에 놓인 (폐)간이역을 어떻게 생산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을지를 글쓰기로 제시하는, 문제해결학습과 글쓰기를 결합한 교수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문제해결학습 방식을 통한 글쓰기는 주어진 주제에 집중한, 보다 실제적인 글쓰기 학습을 가능하게 한다. 다원화되고 세분화된 현대사회는 문제를 현실적으로 해결할 것을 주문하며, 그 실천적 기능으로써 글쓰기에 주목하는 측면이 있다. 이 수업에서는 현재 사용되고 있지 않거나 사용량이 드문 (폐)간이역을 어떻게 재활용할 수 있는지, 간이역 공간의 재활용 방안을 글쓰기 수업과 접목하였다. 식민지 근대화와 산업화의 잔재인 (폐)간이역은 방치되어 있거나 그저 문화유산으로 남아 있는 상태로, 보다 효율적인 관리와 문화콘텐츠 창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 수업은 간과되고 있는 간이역의 쓰임새를 재고하여, 그 ...
TAG 문화콘텐츠, 간이역, 문제해결학습, 글쓰기, 임피역, 탁류, 사평역에서, Cultural contents, Whistle-stops, Problem-based learning, Academic writing, Imp’i Station, The Muddy Current, At Sapyeong Station
삼호정시사(三湖亭詩社) 구성원들의 자의식 고찰
장산 ( Zhang Shan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9] 제28권 201~225페이지(총25페이지)
조선 말기, 여성 시사의 등장은 여성 시가가 규중에만 국한되지 않고 남성 중심의 문단에서 시인 공동체의 일원으로 활동하면서 독립적인 문학공간을 형성하고 확보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본고는 조선시대 유일한 여성 시사인 삼호정(三湖亭) 시사 구성원들의 작품들을 분석함으로써 이들의 자의식을 탐구하고, 시사가 결성된 사상적 기반을 밝혀내어 조선 후기 여성문학의 발전 방향을 고찰하고 하였다. 본고에서는 우선, 삼호정 시사 구성원들이 갖고 있던 규방여인으로서의 한계 의식을 분석하였다. 시인들은 작품에서 변치 않는 규방 생활에 대한 권태와 구속을 토로하고 있으며, 폐쇄적인 공간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바람을 표현하고 있었다. 그 다음으로, 그들 자신이 문인 계층에 속해 있다는 자각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들은 시인의 입장에서 글로 인생을 기록하고 감정을 표현하고 있을 뿐...
TAG 삼호정 시사, 자의식, 여성으로서의 한계 인식, 문인 자각, 산수유락의 동경, Samho-Pavilion Poetry Society, Self-consciousness, Constraints as a woman, Self-awareness as literati, Pursuit of nature
문학교육에서 작가론의 활용방안 연구
성은혜 ( Seong Eunhye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9] 제28권 227~267페이지(총41페이지)
본 연구는 문학교육에서 작가론이 지식과 정보로 머물면서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에 문제를 제기하면서 작품 이해의 한 관점으로서의 작가론의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현재 문학교육과정에서는 작가와 작품의 관계를 불가분의 관계로 인식하여 관련성 속에서 작품을 이해하도록 제시하고 있으나 실제 교육이 이루어지는 교과서에서는 이러한 방향이 제대로 구현되지 못하고 있다. 문학교과서의 작가론은 크게 작가 정보와 학습활동 등에서 활용되고 있는데, ‘작가소개’는 거의 대부분의 교과서가 천편일률적으로 작가의 기본적인 인적 사항과 작품 경향, 대표작들을 나열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본시 학습에서 다루는 작품과의 관련성이나 작품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정보라기보다는 피상적이고 형식적으로 제시되고 있어 교육적으로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또한 학습활동...
TAG 문학교육, 작가론, 교육과정, 교과서, 창작, 인간, 생산자, Literature education, Theory on authors, Curriculum, Learning materials, Creativity, Human being, Producers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문학적 표현 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정재림 ( Jeong Jairim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9] 제28권 269~294페이지(총26페이지)
우리나라 국어교육은 이해 중심, 지식 중심이라는 비판을 많이 받아왔다. 그래서 바람직한 국어교육을 모색하는 새로운 시도들은 학습자를 중심에 놓는 교육, 이해와 표현의 조화를 도모하는 교육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표현 교육의 필요성이 원론적인 차원에서 강조되고 있을 뿐 아직 표현 교육의 학문적 정체성이 확고하게 자리를 잡았다고 보기는 어렵다. 즉 ‘표현 교육의 성격’, ‘표현 교육의 내용과 교수학습방법’ 등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 연구는 최종적으로 바람직한 국어 표현 교육의 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이를 위한 첫걸음으로 문학적 표현 교육의 정체성과 현행 교과서의 문제를 검토하였다. 2장에서는 표현 교육의 연구 성과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문학적 표현 교육의 정체성과 과제를 해명하고자 하였다. 3장에서는 2009...
TAG 국어 교과서, 문학 텍스트, 표현 교육, 비유, 상징, Korean textbook, Literature text, Literature representation education, Metaphor, Symbol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