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중국학연구회 AND 간행물명 : 중국학연구1485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동국정운(東國正韻)』 후음(喉音)의 ‘청·탁’ 연구-초분절 자질의 관점에서-
김서영 ( Kim Seo Young ) , 문성호 ( Moon Sung Ho ) , 김민경 ( Kim Min Gyeong ) , 안영실 ( An Ying Shi ) , 이길경 ( Li Ji Qiong )  중국학연구회, 중국학연구 [2021] 제96권 1~45페이지(총45페이지)
청·탁은 『樂記』에서부터 사용되었던 음악 용어였고, 전통적으로 음운학에서도 淸은 고음, 濁은 저음을 가리키는 것이 통설로 되어있었다고 한다. 淸代의 江永이 『音學辨微』(1759)에서 청·탁의 개념을 성모에 국한해서 쓰기 시작했고, 칼그렌(Klas Bernhard Johannes Karlgren, 1889∼1978)의 연구 이후 청·탁은 무성음과 유성음의 분절 자질로 분석된다. 하지만 현재 한·중·일·베트남 어음을 살펴봤을 때, 후음에 해당하는 제로 음가와 성문 마찰음에서 무성음과 유성음의 대립은 변별 자질로 활용되지 않는다. 이는 칼그렌이 주장의 근거로 삼았던 吳방언에서도 마찬가지이다. 趙元任(1892∼1982)의 五度表記法 창안으로 초분절 자질에 대한 객관적 접근이 가능해졌는데, 漢語 中古音의 청·탁과 중국 남방 방...
TAG 『동국정운』, 『훈몽자회』, 후음, 한어 중고음, 세종, 칼그렌, Chinese Ancient Sounds, Donggukjungwoon, 東國正韻, Hunmongjahwae, 訓蒙字會, hhu yīn, 喉音, Karlgren
중국어 ‘对/对于’와 한국어 ‘에 대하여/에게’의 대조 연구
신미경 ( Shin Me-gyeong ) , 유위 ( Liu Wei )  중국학연구회, 중국학연구 [2021] 제96권 47~76페이지(총30페이지)
본고는 중국어 전치사 ‘对/对于’와 한국어 ‘에 대하여/에게’의 대응관계와 제약조건을 대조하였다. ‘对/对于’와 ‘에 대하여/에게’는 모두 일종의 ‘대상’을 나타낼 수 있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이들의 대응관계에는 일정한 제약조건이 있다. 이를 밝히기 위하여 본고는 우선 ‘对’와 ‘对于’의 후행명사와 술어 그리고 이들 사이의 의미 관계에 따라 의미항목을 분류하였다. 이에 기초하여 한국어 ‘에 대하여’와 ‘에게’를 대조하며 이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관찰하였다. 관찰 결과 ‘对/对于’와 ‘에 대하여/에게’는 의미항목에 따라 다음과 같은 제약조건을 만족해야 대응관계가 성립한다. 첫째, 정서를 느끼는 대상 또는 태도를 취하는 대상을 나타낼 경우, 선행(후행)명사가 사람이면 ‘에게1’은 ‘对1’과 대응할 수 있다. 선행(후행)명사가 추상개념, 사물, 사건이면 ‘에 대하...
TAG ‘对’, ‘对于’, ‘에 대하여’, ‘에게’, 대응관계, 제약조건, 对应关系, 制约条件
장지화(張志和)의 「어가(漁歌)」에 대한 고찰-사패명(詞牌名)과 당송사(唐宋詞)에 대한 영향(影響)을 중심으로-
문미진 ( Moon Mi-jin )  중국학연구회, 중국학연구 [2021] 제96권 79~107페이지(총29페이지)
한 폭의 淡彩 水墨畵를 연상시키는 張志和의 「漁歌(西塞山前白鷺飛)」는 唐宋詞壇에 커다란 영향력을 발휘하였을 뿐만 아니라, 日本과 高麗 朝鮮에도 傳播되어 東洋의 漢文學 發展에 일정한 공헌을 하였다. 西紀 823年에 日本王 嵯峨가 張志和의 「漁歌」에 唱和하여 「漁歌」 5首를 지었다는 기록이나, 高麗와 朝鮮의 韻文에 남아 있는 「漁歌」의 흔적들을 본다면, 唐宋詞가 중국만의 문학이 아니었음을 알 수 있다. 그의 詞가 唐宋詞壇에 커다란 영향력을 발휘한 이유는 그림 같은 경물 소재의 배치와 더불어 그 詞안에 담겨 있는 ‘漁隱’이라는 주제 사상이 詞人들의 마음을 움직였기 때문이다. 蘇軾과 黃庭堅은 張志和의 「漁歌」에 매료되어 詞牌를 바꾸어가면서까지 「漁歌」의 내용을 담은 「浣溪沙」와 「鷓鴣天」을 塡詞하였고, 「漁歌」와 관련된 내용을 붓글씨로 남기기까지 하였다. 그럼...
TAG 張志和, 玄眞子, 「漁歌」, 「漁歌子」, 詞牌, 唐宋詞
中国晚清至 “五四”教育制度变迁中的 “文学”演变
유해도 ( Liu Hai-tao ) , 장봉 ( Zhang Peng )  중국학연구회, 중국학연구 [2021] 제96권 109~134페이지(총26페이지)
이 논문은 중국 청말부터 5·4 시기까지의 교육제도 개혁에서 일어난 ‘문학’의 함의 변천에 대한 고찰을 통해 교육이 권력 체제의 구현으로서 어떻게 문학의 현대적 전환에 영향을 끼쳤는지를 논증하였다. 중국의 청말 민국 시기에 신식 교육과 현대 문학은 현대화 구조 전환을 동시에 완성하였는데 이들은 서로 작용하고 서로 영향을 주었다. 그 가운데 교육제도의 변혁은 신문학의 탄생과 발전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청나라 말에 학당 제도의 설립, 그리고 『奏定学堂章程』과 『钦定学堂章程』의 발표와 시행은 ‘문학’의 개념을 명확히 했을 뿐만 아니라 ‘문학 교육’에 조건을 제공하였다. 민국 초기에 ‘五育并举’의 교육 방침과 ‘문학에 대한 흥미를 함양하자’는 국문 교육 목표는 교육제도의 진보성을 나타내고 뚜렷한 계몽가치 취향을 가지므로 향후 신문화 운동이 조성하는 국민...
TAG 신문학, 교육제도, 문학교육, 변천, new literature, education system, literary education, reform, 新文学, 教育制度, 文学教育, 变革
시진핑 시기 인터넷 반부패 활동의 운용 분석-대중 참여와 인터넷 여론을 중심으로-
전세영 ( Jeon Sae-young )  중국학연구회, 중국학연구 [2021] 제96권 137~165페이지(총29페이지)
본 연구는 시진핑 시기 반부패 운동의 새로운 도구로서 나타난 ‘인터넷 반부패(网络反腐)’활동의 대중 참여 측면과 인터넷 반부패로부터 파생된 인터넷 여론의 사회적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중국의 반부패 운동과 대중 참여의 발전 가능성을 논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시진핑 시기 인터넷 반부패의 종류와 특징을 살펴본 후 대중의 인터넷 반부패 참여를 다양한 조사 결과로 입증하고자 한다. 그리고 경험 연구를 중심으로 다양한 인터넷 반부패 활동 사례들을 분석하고 최근 중국 사회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인터넷 여론’의 형성 배경을 제시하고 COVID-19 사태를 통해 인터넷 여론 활용을 분석한다. 본 연구를 통해 부조리한 현상을 인터넷에 제보·신고하여 의견을 표출하고 관심을 집중시키며 정부의 대응과 정책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인터넷 여론’의 역할과 사회참여...
TAG 반부패 운동, 인터넷 반부패, 인터넷 여론, 대중 참여, Anti-Corruption Campaign, Internet Anti-corruption, Internet Public Opinion, Public Participation
중국의 “폐기물 제로 도시(无废城市)” 사업 추진 현황 고찰
김혜진 ( Kim Hye-jin )  중국학연구회, 중국학연구 [2021] 제96권 167~201페이지(총35페이지)
본 연구는 나날이 증가하는 폐기물 발생 및 처리 문제를 안고 있는 중국의 입장에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움직이고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이 2018년 말부터 추진하기 시작한 “폐기물 제로 도시” 사업에 주목하고, 이의 구체적인 추진 방안을 자세히 고찰하였다. 중국의 “폐기물 제로 도시” 사업의 특징은 첫째, 개별 도시 차원에서 비전을 제시하고 시민이 참여하며 활성화된 것이 아니라, 중앙 정부에서 일괄적으로 특정 도시들을 대상으로 하는 시범 프로젝트의 형태로 실시하였다는 점이다. 둘째, 궁극적으로 폐기물의 “제로(0)”화를 실현한다기보다는, 다소 완화된 차원에서 폐기물의 “최소화”를 지향하고 있다는 점이다. 셋째, 넓은 의미에서 환경을 보호하고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한다기 보다는, 눈앞의 당면 과제, 즉 폐기물 관리 ...
TAG 폐기물, 공업 폐기물, 생활 쓰레기, 제로 폐기물, 폐기물 제로 도시, Waste, Industrial waste, Household waste, Zero-waste, No-waste city
중국 소비자의 스마트(AI) 스피커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알리바바의 티엔마오징링(天貓精靈) vs 샤오미의 샤오아이통쉐(小愛同學)를 중심으로-
손문호 ( Sun Wen Hao ) , 박상수 ( Park Sang Soo ) , 양연 ( Yang Juan )  중국학연구회, 중국학연구 [2021] 제96권 205~249페이지(총45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중국내 대표적인 AI 스피커인 티엔마오징링(天貓精靈)과 샤오아이통쉐(小愛同學)를 대상으로 2개 AI 스피커 제품 간의 개인적 특성, 제품특성, 인지된 용이성, 인지된 유용성, 사용의도 간의 영향 관계를 살펴보았다. 첫째, 개인적 특성요인 중 ‘혁신성’ 만이 인지된 용이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혁신성’, ‘맞춤성’은 인지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제품특성요인 중 ‘가격 적정성’만이 인지된 용이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디자인’, ‘가격 적정성’은 인지된 유용성에 대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지된 용이성’은 인지된 유용성에 대해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지된 용이성과 인지된 유용성은 모두 사용의도에 대해 ...
TAG 중국소비자, 스마트(AI) 스피커, 티엔마오징링, 샤오아이통쉐, 다중집단분석, Chinese Consumers, Smart(AI) Speakers, Tmall Genie, Xiao Ai, Multi-group analysis, 中國消費者, 智能音箱, 天猫精灵, 小爱同学, 多群组分析
『지정조격(至正條格)』 연도미상(年度未詳) 기록의 연도(年度)에 대한 소고(小考)
권용철 ( Kwon Yong-cheol )  중국학연구회, 중국학연구 [2021] 제96권 253~278페이지(총26페이지)
본고에서는 원대 후기 역사 연구를 위한 중요한 자료인 『지정조격』의 활용을 위해 연도미상 조문의 연도를 확정하는 분석을 시도해보았다. 원 제국에서 ‘至元’이라는 연호가 다른 시기에 두 번 사용되면서 이를 구별하는 수단이 없었기 때문에 『지정조격』 내에서 연도미상인 조문이 나올 수 밖에 없었다. 『지정조격』을 더욱 정확하고 폭넓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연도미상 조문 중에서 연도 확정이 가능한 것들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연도미상 조문들에서 시기 파악을 가능하게 만드는 증거로 인명, 지명, 관직명 등의 요소들을 『원사』의 기록과 비교해서 확인함으로써 조문들의 연도를 확정할 수 있는 기록들을 찾아내고자 했다. 분석 결과 연도미상 조문으로 분류된 대부분은 혜종 시기인 ‘後’至元 연간의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쿠빌라이 시기의 至元 연간에는 나...
TAG 『지정조격』, 몽골제국, 원 제국, 법률, 至元, Zhizhengtiaoge, Mongol Empire, Yuan Empire, Laws, Zhiyuan
額濟納漢簡草書考察
홍영희 ( Hong Young Hee )  중국학연구회, 중국학연구 [2021] 제95권 1~27페이지(총27페이지)
이 논문은 1999년에서 2002년까지 內蒙古 自治區 文物考古硏究所와 阿拉善盟博物館 및 額濟納旗文物所로 조직된 연합고고학술팀이 居延지역에서 세 번째 발굴한 5백여매의 簡牘인 額濟納 漢簡을 硏究對象으로 하였다. 額濟納 漢簡의 書體는 이전에 첫 번째 발굴한 居延漢簡이나 두 번째 발굴한 新簡에 비해서 수량은 적지만, 대부분의 簡牘시기가 西漢 宣帝부터 東漢 光武帝까지 약 80년의 문자 사용 기간으로 漢나라때 隸書가 古隷에서 漢隷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문자 형체를 갖추고 있고, 특히 草書는 이미 시작되었고, 章草가 시작되는 시기이므로 서체 연구에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本稿에서는 額濟納 漢簡의 글자에서 草書의 특징을 고찰해보고, 그 이전에 발굴한 居延漢簡의 草書와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額濟納 漢簡의 전체 5백여 매 簡牘 草書體 234...
TAG 액제납한간, 거연한간, 출토문자, 간독, 초서, 额济纳汉简, 居延汉简, 出土文字, 简牍, 草书, Ejina Bamboo Slips, Juyan Bamboo Slips, Zhang Caoshu scripts, Lishu, Caoshu
중국 내 소수민족 언어의 방향 관련 동사성 표현 고찰
박성하 ( Park Seong-ha )  중국학연구회, 중국학연구 [2021] 제95권 29~72페이지(총44페이지)
본 논문은 중국지역 소수민족 언어의 방향을 나타내는 동사성 성분을 연구하였다. 본고에서 다루는 중국지역 내 언어로는 ‘티베트 어군(Tibetan Languages)’ 4개, ‘징포 어군(Jingpo Languages)’ 7개, ‘몐 어군(Burmese Languages)’ 4개, ‘창 어군(Qiang Languages)’ 6개로 총 21개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 언어들을 대상으로 방향을 나타내는 동사성 표현들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분석을 진행하였다. 첫째, 본 논문에서는 방향동사를 가진 언어들을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 언어 21개 중에서 ‘페라어(Pela)’와 ‘셴다오어(Xiandao)’에서 방향동사가 있음이 확인되었는데, 이들 언어들은 모두 ‘오다’의 의미와 ‘가다’의 의미를 하나의 동사로 표...
TAG 방향접두사, 방향접미사, 향심방향, 向心方, 이심방향, 离心方, 직시, 언어유형론, 중국지역의 언어, directional prefixes, directional suffixes, venitive, andative, deictic, linguistic typology, languages of China
 1  2  3  4  5  6  7  8  9  10